맨위로가기

가우아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우아섬은 바누아투 토르바 주에 위치한 섬으로, 잦은 지진과 사이클론의 영향을 받는다. 섬 중앙에는 활화산 가라트 산이 있으며, 그 안에 바누아투에서 가장 큰 호수인 레타스 호수가 있는 칼데라가 있다. 가우아섬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었으며, 다양한 조류와 야생 동물의 서식지이다. 2009년 기준 인구는 2,491명이며, 5개의 토착어가 사용된다. 주민들은 전통적인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며, 코프라와 카카오를 주요 수출품으로 한다. 1606년 스페인 탐험대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산타 마리아'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뱅크스 제도 - 솔라 (바누아투)
    바누아투에 위치한 솔라는 멜라네시아 선교회의 주요 언어인 모타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지역 언어와 이주민 언어에서 다른 이름으로 불리고, 바누아 라바 공항의 지원을 받으며 열대 기후를 띤다.
  • 뱅크스 제도 - 가하라트산
    가하라트 산은 가우아 섬 중앙부에 위치한 해발 797m의 활화산으로, 칼데라호인 레타스 호가 있으며,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인 열대 우림으로 덮여 있고, 원토레스뱅크스어에서 유래한 여러 이름으로 불리며 화산 활동과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 바누아투의 섬 - 아오바섬
    바누아투의 아오바섬은 마나로 보이 화산의 일부이자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로서 중요 조류 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화산 활동으로 주민 대피령이 내려진 멜라네시아인 중심의 기독교 섬이다.
  • 바누아투의 섬 - 탄나섬
    바누아투의 탄나섬은 멜라네시아인들이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며, 활화산 야수르 산과 비옥한 토지에서 카바, 커피, 코코넛 등을 생산하고, 화물 숭배 신앙과 콰메라어를 비롯한 5개의 주요 언어가 사용되는 곳이다.
가우아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가우아 지도
가우아 지도
기본 정보
이름가우아
현지 이름산타마리아
위치태평양
군도바누아투, 뱅크스 제도
면적330 km2
최고봉가라트 산
해발고도767 m
국가바누아투
행정 구역토르바 주
가장 큰 도시졸랍
인구2,491 명
인구 조사 년도2009년
인구 밀도7.5 명/km2

2. 지리

바누아투 북부에 위치한 토레스 제도와 뱅크스 제도의 위치. 가우아는 해당 지역 남쪽에 위치한 가장 큰 섬이다.


가우아는 잦은 지진과 사이클론의 영향을 받는다. 습한 열대 기후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3500mm를 초과한다. 섬 중앙에 위치한 활화산 가라트 산(797m)까지 험준한 지형을 가지고 있다. 이 화산의 가장 최근 분화는 2013년이었다. 화산에는 6 × 9km 크기의 칼데라가 있으며, 그 안에 바누아투에서 가장 큰 호수인 레타스 호수라는 화구호가 있다. 호수 동쪽에는 시리 폭포(120m)가 있다.

3. 자연사

가우아섬은 잦은 지진과 사이클론의 영향을 받는다. 습한 열대 기후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3500mm를 초과한다. 섬 중앙에 위치한 가라트 산(797m)까지 험준한 지형을 가지고 있다. 이 화산의 가장 최근 분화는 2013년이었다. 화산에는 6 × 9km 크기의 칼데라가 있으며, 그 안에 바누아투에서 가장 큰 호수인 레타스 호수라는 화구호가 있다. 호수 동쪽에는 시리 폭포(120m)가 있다.

3. 1. 지질

가우아섬의 지질은 미성숙한 화산호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인다. 섬의 가장 오래된 부분은 남서쪽 코너로, 주로 원시적인 현무암과 앙카라암으로 구성되어 있다.[1] 섬의 대부분은 칼데라를 형성한 분화로 생성된 염기성암 응회암 단위인 산타 마리아 화산쇄설암 계열(SMPS)로 덮여 있다.[2] 가우아섬은 대부분의 폭발성 분화와 유사한 화산 분화가 더 규장질이기 때문에, 염기성 응회암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드물다. 다른 예로는 니카라과의 마사야 화산,[3] 바누아투의 암브림과[4] 탄나 섬이 있다.[5] SMPS의 분화는 환상 단층의 활성화 및 화산 상부 경사면 주변의 기생 화산의 생성과 관련이 있었다.[2]

3. 2. 야생 동물

섬의 상층부는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BirdLife International)에 의해 중요 조류 지역(IBA)으로 지정되었는데, 그 이유는 바누아투 닭, 바누아투 비둘기, 타나 과일 비둘기, 붉은배 과일 비둘기, 야자 앵무, 카디널 꿀빨이새, 부채꼬리 휘파람새, 긴꼬리 휘파람새, 줄무늬 부채꼬리, 멜라네시아 포착새, 남부 세금 부리, 바누아투 흰눈썹새, 붉은머리 앵무새가 서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곳에서 발견되는 다른 동물로는 긴꼬리 과일 박쥐, 바누아투 날여우, 코코넛 게 등이 있다.[6]

4. 인구 및 언어

2009년 기준 이 섬의 인구는 2,491명이며 연간 성장률은 2.0%였다.[7] 주민들은 섬의 서쪽, 남쪽, 북동쪽 해안 마을에 흩어져 살고 있다. 동쪽에는 메리그와 메렐라바에서 온 이주민 공동체가 있는 몇몇 촌락이 있다. 가우아 섬에서 가장 큰 마을은 서쪽 해안에 있는 졸랍(Jolap)이다.[8]

므웰라프 (이주민의 언어) 외에도 가우아 섬에서는 전통적으로 라콘(Vuré라고도 함), 올라트, 코로, 도리그, 누메의 5개 언어가 사용된다.

5. 경제

가우아 섬 주민들의 생계는 멜라네시아 전역에 걸쳐 전통적인 농업 경제에 기반하고 있으며, 어업과 원예를 함께 한다. 주요 수출품은 코프라카카오이다. 이 섬은 섬 북동쪽 모서리에 위치한 가우아 공항을 통해 항공 교통이 이루어진다.

6. 명칭

현대 이름인 ''가우아''(Gaua)는 바누아투링구아 프랑카인 비슬라마어와 프랑스어, 영어에서 로 발음된다.

현지 뱅크스어군에서는 전통적으로 두 개의 이름으로 섬을 불렀다. 한 이름은 원시 토레스-뱅크스어에서 ''*ɣaua'' 로, 다른 이름은 ''*laᵑgona''로 재구성된다. 이들은 각각 섬의 북동쪽 절반과 남서쪽 절반을 지칭했다(여기에는 ''라코나 만''(Lakona Bay)이 있으며, 라콘어가 사용된다).

멜라네시아 선교회가 뱅크스 제도의 대부분 지명을 명명할 때 사용했던 모타어는 ''가우아''(Gaua) 와 ''라코나''(Lakona) 형태를 가지고 있다. 올라트어와 라콘어는 ''가오''(Gaō) 와 ''라콘''(Lakon) 을, 이주 언어인 므웰라프어는 ''고''(Gō) 와 ''라콘''(Lakon) 을 가지고 있다. 므워트라프어의 ''아고''(Agō) 와 ''알콘''(Alkon) [9], 뷔레스어의 ''고''(Gō) 와 ''로콘''(Lokon) 도 두 어원의 반사형이다.

일부 현대 언어에서는 이 두 어원 중 하나를 일반화하여 섬 전체를 지칭한다. 누메어에서는 ''고그''(Gog) , 코로어에서는 ''고''(Gō) (< ''*ɣaua''), 도리그어에서는 ''르콘''(Lkon) (< ''*laᵑgona'')이라고 불린다. 히우어와 로-토가어의 ''가웨''(Gawe) (< ''*ɣaua''), 베라아어의 ''로코노''(Lōkōno) (< ''*laᵑgona''), 므웨센어의 ''고''(Gō) (< ''*ɣaua'')는 두 어원 중 하나의 반사형만 가지고 있다.

7. 역사

페드로 페르난데스 데 키로스가 이끄는 스페인 탐험대가 1606년 4월 25일부터 29일까지 가우아섬을 발견하면서 유럽인에게 처음 알려졌다. 당시 이 섬은 '산타 마리아'로 표기되었다.[10]

8. 갤러리

우주에서 본 가우아

참조

[1] 논문 Temporal magma source changes at Gaua volcano, Vanuatu island arc https://linkinghub.e[...] 2016-08-15
[2] 논문 Mafic pyroclastic flows at Santa Maria (Gaua) Volcano, Vanuatu: the caldera formation problem in mainly mafic island arc volcanoes https://onlinelibrar[...] 1995
[3] 논문 Quaternary volcanic stratigraphy of Managua, Nicaragua: Correlation and source assignment for multiple overlapping plinian deposits https://pubs.geoscie[...] 1985
[4] 논문 Giant tuff cone and 12-km-wide associated caldera at Ambrym Volcano (Vanuatu, New Hebrides Arc) https://linkinghub.e[...] 1993-03
[5] 논문 Ignimbrites of basaltic andesite and andesite compositions from Tanna, New Hebrides Arc http://link.springer[...] 1994-03-01
[6] 웹사이트 Gaua http://datazone.bird[...] BirdLife International 2021
[7] 간행물 2009 National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Summary Release http://www.spc.int/p[...] Vanuatu National Statistics Office
[8] 지도 Satellite photo of Jolap village https://www.google.c[...]
[9] 사전 Agō and Alkon in the Online Mwotlap dictionary https://marama.huma-[...]
[10] 서적 La Austrialia del Espíritu Santo. The Journal of Fray Martín de Munilla O.F.M. and other documents relating to the Voyage of Pedro Fernández de Quirós to the South Sea (1605-1606) and the Franciscan Missionary Plan (1617-1627) Cambridge 196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