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모토 고지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이모토 고지로는 일본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1977년 10월 14일에 태어났다. 그는 수비수 및 미드필더의 오른쪽 측면에서 주로 활약했으며, 피지컬과 스피드를 활용한 측면 돌파가 장점이었다. 1996년 감바 오사카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2001년에는 대한민국 성남 일화 천마로 이적하여 K리그에서 활동한 최초의 일본인 선수가 되었다. 이후 나고야 그램퍼스, 알비렉스 니가타, 도쿄 베르디 등 일본 클럽과 호주 클럽을 거쳐 2009년 은퇴했다. 성남 일화에서 2001년과 2002년 K리그 우승을, 2002년에는 대한민국 슈퍼컵과 아디다스컵 우승을 경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오스트레일리아 진출 축구 선수 - 미우라 가즈요시
미우라 가즈요시는 '카즈'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일본의 프로 축구 선수로, 브라질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해 J리그 MVP 수상, 세리에 A 데뷔, 포르투갈 리그 데뷔 등 다양한 기록을 세우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한 공격수이다. - 일본의 오스트레일리아 진출 축구 선수 - 다치바나 아유무
일본 출신 축구 선수 다치바나 아유무는 요코하마 FC에서 데뷔 후 브라질, 호주, 일본을 거쳐 현재 대한민국 K3리그 김포 FC에서 활동하며, 류츠케이자이 대학 부속 가시와 고등학교와 류츠케이자이 대학을 졸업했다. - A리그 멘의 일본인 축구 선수 - 미우라 가즈요시
미우라 가즈요시는 '카즈'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일본의 프로 축구 선수로, 브라질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해 J리그 MVP 수상, 세리에 A 데뷔, 포르투갈 리그 데뷔 등 다양한 기록을 세우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한 공격수이다. - A리그 멘의 일본인 축구 선수 - 이시다 히로유키
이시다 히로유키는 1998년 시미즈 에스펄스에서 데뷔하여 일본 J리그와 해외 리그에서 활동한 일본의 축구 선수로, 특히 시드니 올림픽 FC 시절 빠른 속도와 드리블 능력으로 NSL 챔피언십 우승에 기여했다. - 일본의 대한민국 진출 축구 선수 - 시마다 유스케
시마다 유스케는 일본의 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로, 오미야 아르디자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해 여러 팀을 거쳐 강원 FC에서 선수 생활을 마감한 후 유소년 코치와 CP 축구 일본 대표팀 감독을 역임하고 현재 오미야 아르디자 1군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일본의 대한민국 진출 축구 선수 - 바바 유타
바바 유타는 일본의 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로,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FC 도쿄,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 몬테디오 야마가타, 도쿄 베르디, 대전 시티즌 등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은퇴 후 유소년 코치 등을 역임하며 지도자 경력을 쌓고 있다.
가이모토 고지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고지로 가이모토 |
출생일 | 1977년 10월 14일 |
출생지 | 일본 오사카부 스이타시 |
신장 | 183cm |
포지션 | 수비수, 미드필더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도카이대학부속 교세이 고등학교 (1993-1995) |
프로 클럽 | 감바 오사카 (1996-2000): 29경기, 1골 성남 일화 천마 (2001-2002): 11경기, 0골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2003-2004): 39경기, 4골 알비렉스 니가타 (2005-2006): 11경기, 0골 도쿄 베르디 (2006-2008): 52경기, 1골 보니리그 화이트 이글스 (2009): 3경기, 0골 노스 퀸즐랜드 퓨어리 (2009): 2경기, 0골 |
통산 출장 및 득점 | 147경기, 6골 |
2. 유소년 시절
오사카부 스이타시 출신으로, 1977년 10월 14일 태어났다.
축구를 시작하여 중학교와 고등학교 시절 축구부에서 활동했다.
기간 | 소속 학교 |
---|---|
1990년 ~ 1993년 | 스이타 시립 미나미센리 중학교 |
1993년 ~ 1996년 | 도카이대 부속 오세이 고등학교 |
가이모토 고지로는 1996년 감바 오사카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대한민국의 성남 일화 천마, 일본의 나고야 그램퍼스, 알비렉스 니가타, 도쿄 베르디를 거쳤다. 선수 생활 말년에는 호주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2009년 10월에 은퇴했다.
3. 클럽 경력
'''유스 경력'''기간 클럽 1990년 - 1993년 스이타 시립 미나미센리 중학교 1993년 - 1996년 도카이대 부속 오세이 고등학교
'''프로 경력'''기간 클럽 국가 1996년 - 2000년 감바 오사카 일본 2001년 - 2002년 성남 일화 천마 대한민국 2003년 - 2004년 나고야 그램퍼스 일본 2005년 - 2006년 5월 알비렉스 니가타 일본 2006년 6월 - 2008년 도쿄 베르디 일본 2009년 - 2009년 7월 보니리그 화이트 이글스 호주 2009년 8월 - 2009년 10월 노던 퓨리 FC 호주
3. 1. 감바 오사카 (1996-2000)
1996년에 지역 클럽인 감바 오사카에 입단했다. 처음에는 미드필더로 뛰었으며, 연령별 일본 대표팀에도 소집될 정도로 기대를 모으는 유망주였다. 초기에는 경기에 자주 나섰지만, 1997년 말부터 반복되는 골절 부상에 시달렸다. 특히 1999년에는 부상으로 인해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다. 결국 2000년에 구단으로부터 전력 외 통보를 받았다.
3. 2. 성남 FC (2001-2002)
2001년 K리그의 성남 일화 천마로 이적하며 일본인 최초의 K리거가 되었다. 그는 1997년 말부터 8번의 골절과 재활을 거친 끝에 2001년 10월에야 K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이 경기는 그에게 3년 만의 공식 경기 출전이었으며, 성남이 리그 우승을 확정짓는 중요한 경기이기도 했다[2]。 이듬해인 2002년에는 출전 기회가 늘어나면서[3] 팀의 2001년과 2002년 K리그 2연패에 기여했다.
3. 3. 나고야 그램퍼스 (2003-2004)
2003년, K리그의 성남 일화 천마에서 성공적인 2년을 보낸 후 일본으로 돌아와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에 입단했다. 당시 이 팀에는 그의 형인 게이지도 소속되어 있었다.
입단 초기, 즈덴코 베르데니크 감독은 가이모토를 센터백으로 기용하려 했으나, 주전 경쟁에서 밀리며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다. 그러나 팀 내 선수 부족으로 인해 위성팀 경기에 오른쪽 아웃사이드(측면 미드필더)로 출전할 기회를 얻었고, 이 경기에서 좋은 활약을 펼쳐 코칭스태프의 인정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시즌 도중부터 오른쪽 측면의 주전 선수로 자리 잡게 되었다.[2] 그는 나고야에서 두 시즌(2003년, 2004년) 동안 주로 오른쪽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꾸준히 경기에 출전했다.
2004 시즌이 끝난 후, 2005년에는 형 게이지와 함께 알비렉스 니가타로 이적했다.
3. 4. 알비렉스 니가타 (2005-2006)
2005년, 형인 가이모토 게이지와 함께 알비렉스 니가타로 이적했다.[2] 이전 소속팀인 나고야 그램퍼스 시절과는 달리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다. 결국 더 많은 출전 기회를 얻기 위해 2006년 5월 31일에 J2리그의 도쿄 베르디로 이적하게 되었다.
3. 5. 도쿄 베르디 (2006-2008)
2006년 5월 31일, 출전 기회를 얻기 위해 J2리그의 도쿄 베르디로 이적했다.[2] 이적 후 주로 오른쪽 풀백과 오른쪽 미드필더 포지션에서 자주 출전하며 팀에 기여했다. 소속팀 도쿄 베르디는 2008년 J1리그로 승격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2008년 시즌에는 사타구니 통증 증후군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같은 해 4월 28일 도쿄 시내 병원에서 수술을 받았고, 부상 회복 기간과 후쿠다 겐스케의 부상 등이 겹치면서 공식 경기 출전 기회를 거의 얻지 못했다. 결국 2008년 11월 말, 구단으로부터 계약을 갱신하지 않겠다는 통보를 받으며 팀을 떠나게 되었다.
3. 6. 호주 리그 (2009)
2009년 7월 4일, 뉴사우스웨일스 프리미어리그의 보니리그 화이트 이글스로 이적했다. 이후 2009년 8월 5일에는 A리그의 노스퀸즐랜드 퓨리 FC로 이적했다. 선수 경력 말년이었던 그는 두 달 뒤인 2009년 10월 22일, 자신의 공식 블로그를 통해 현역 은퇴를 발표했다.
4. 플레이 스타일
주요 포지션은 수비수 및 미드필더의 오른쪽 측면이다. 피지컬이 강하고 스피드가 뛰어나 측면 돌파력에 정평이 있다[3].
5. 통산 기록
wikitext
클럽 기록 | 리그 | FA컵 / 천황배 | 리그컵 / J.리그컵 | 합계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일본 | ||||||||||
1996 | 감바 오사카 | J | 5 | 0 | 0 | 0 | 5 | 0 | 10 | 0 |
1997 | 11 | 1 | 0 | 0 | 2 | 0 | 13 | 1 | ||
1998 | 13 | 0 | 0 | 0 | 0 | 0 | 13 | 0 | ||
1999 | J1리그 | 0 | 0 | 0 | 0 | 0 | 0 | 0 | 0 | |
2000 | 0 | 0 | 0 | 0 | 0 | 0 | 0 | 0 | ||
한국 | ||||||||||
2001 | 성남 일화 천마 | K리그 | 1 | 0 | - | - | - | - | 1 | 0 |
2002 | 0 | 0 | - | - | - | - | 0 | 0 | ||
일본 | ||||||||||
2003 | 나고야 그램퍼스 | J1리그 | 18 | 2 | 1 | 0 | 2 | 0 | 21 | 2 |
2004 | 21 | 2 | 0 | 0 | 7 | 0 | 28 | 2 | ||
2005 | 알비렉스 니가타 | 6 | 0 | 0 | 0 | 5 | 0 | 11 | 0 | |
2006 | 5 | 0 | 0 | 0 | 1 | 0 | 6 | 0 | ||
2006 | 도쿄 베르디 | J2리그 | 26 | 1 | 1 | 0 | - | 27 | 1 | |
2007 | 26 | 0 | 0 | 0 | - | 26 | 0 | |||
2008 | J1리그 | 0 | 0 | 0 | 0 | 0 | 0 | 0 | 0 | |
J리그 합계 | 131 | 6 | 2 | 0 | 22 | 0 | 155 | 6 | ||
K리그 합계 | 1 | 0 | 0 | 0 | 0 | 0 | 1 | 0 |
6. 수상
- K리그 우승: 2001, 2002
- 대한민국 슈퍼컵 우승: 2002
- 아디다스컵 우승: 2002
참조
[1]
웹사이트
가이모토
https://portal.kleag[...]
2023-11-04
[2]
간행물
海本幸治郎 選手「圏外」より
『週刊サッカーマガジン』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3-12-30
[3]
간행물
ウイークリー・インタビュー「止める・蹴る・しゃべる」
『週刊サッカーマガジン』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3-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