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다귀하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각다귀하목은 파리목에 속하는 하목으로, 5개의 현존하는 과로 구성된다. 각다귀상과와 겨울각다귀상과를 포함하며, 각다귀, 긴몸각다귀, 털눈각다귀, 검은날개각다귀, 겨울각다귀 등이 속한다. 화석을 기반으로 한 분류는 멸종된 상과를 포함하지만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각다귀하목 | |
---|---|
학술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절지동물문 (Arthropoda) |
강 | 곤충강 (Insecta) |
아강 | 유시아강 (Pterygota) |
목 | 파리목 (Diptera) |
아목 | 모기아목 (Nematocera) |
하목 | 각다귀하목 (Tipulomorpha) |
학명 | Tipulomorpha |
명명자 | (Crampton, 1926) (Hennig, 1954) |
하위 분류 | |
상과 및 과 | 각다귀상과 (Tipuloidea) (전형적인 각다귀류) 겨울각다귀상과 (Trichoceroidea) (겨울 각다귀류) |
각다귀상과 | 원통각다귀과 (Cylindrotomidae) 털각다귀과 (Pediciidae) 늪각다귀과 (Limoniidae) 각다귀과 (Tipulidae) |
겨울각다귀상과 | 겨울각다귀과 (Trichoceridae) |
기타 정보 | |
화석 범위 | 트라이아스기 ~ 현재 |
2. 분류
각다귀하목은 5개의 현존하는 과와 여러 멸종된 상과로 분류된다.[1][2]
최근 화석을 기반으로 한 분류에서는 각다귀하목을 멸종된 상과로 나누고 다른 하목의 구성원을 포함하기도 하지만,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
2. 1. 현존하는 과
각다귀하목에는 현존하는 5개의 과가 있다.[1][2]- 각다귀상과 (전형적인 각다귀)
- * 긴몸각다귀과 (몸이 긴 각다귀)
- * 털눈각다귀과 (털눈 각다귀)
- * 검은날개각다귀과 (검은날개 각다귀) - 아마도 측계통군
- * 각다귀과 (대형 각다귀)
- 겨울각다귀상과 (겨울 각다귀)
- * 겨울각다귀과
2. 2. 멸종된 상과
- 상과 에오폴리뉴로이데아(Eopolyneuroidea)
- * 에오폴리뉴리데(Eoptychopteridae) - (상부 트라이아스기)
- * 무시도로미미데(Musidoromimidae) - (상부 트라이아스기)
- 상과 티풀로딕티오이데아(Tipulodictyoidea) (멸종)
- * 티풀로딕티데(Tipulodictyidae) - (상부 트라이아스기)
- 상과 타니데로프리네오이데아(Tanyderophryneoidea) (멸종)
- * 타니데로프리네이데(Tanyderophryneidae) - (중부 쥐라기)
참조
[1]
서적
Animal biodiversity: An outline of higher-level classification and survey of taxonomic richness.
https://www.biotaxa.[...]
[2]
서적
Manual of Afrotropical Diptera.
South African National Biodiversity Institute, Pretor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