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葛)씨는 한국의 성씨로, 남양 갈씨 등 20개의 본관이 존재하지만, 제갈씨에서 갈라져 나왔다는 설이 유력하다. 고려 시대에는 갈남성이 문과에 급제했고, 조선 시대에는 무과 급제자 6명을 배출했다. 현대 인물로는 정치인 갈홍기, 헌법학자 갈봉근, 배우 갈소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갈 (성씨) |
---|
2. 기원
남양 갈씨 등 20개 본관이 전하지만, 제갈(諸葛)씨에서 갈라진 남양 갈씨를 제외하고는 시조와 연원을 정확히 알 수 없다. 역사상 인물로는 《삼국사기》에 고구려 장수왕 때 갈로(葛盧)라는 무장이 등장하지만, 오늘날의 갈씨와 같은 계통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고려 시대 과거 급제자로는 고려 희종(熙宗) 2년(1206년) 병과(丙科) 2위로 문과에 급제한 갈남성(葛南成)이 기록되어 있다.[1] 또한 《고려사》에 1268년(원종 9) 지유(指諭) 갈남보(葛南寶)가 김준(金俊)의 일당으로서 임연에 의하여 살해되었다는 기록이 있다.[2] 대부분의 갈씨는 복성인 제갈(諸葛)씨에서 갈라진 성씨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남양 갈씨의 시조는 촉나라 승상을 지낸 제갈량(諸葛亮)의 아버지 제갈규(諸葛珪)이며, 그의 20대손 제갈공순(諸葛公巡)이 신라 흥덕왕 때 신라에 귀화하였다. 제갈규의 5대손 제갈충이 13세의 나이로 신라 미추왕 때 신라로 망명하여 지리산 아래에서 살았다는 설도 있다. 고려 고종 때 제갈홍(諸葛泓)과 제갈형(諸葛瀅)의 두 형제가 복성인 제갈씨(諸葛氏)를 한 자씩 나누어 쓰기로 하여, 형인 제갈홍은 제(諸)씨로, 아우 제갈형은 갈씨로 성을 나누어 사용했다고 한다.
3. 본관
본관 인구 (2015년) 대구 갈씨 690명 남양 갈씨 453명 청주 갈씨 278명 성주 갈씨 175명 충주 갈씨 96명 화산 갈씨 53명 함창 갈씨 29명 영해 갈씨 28명 무주 갈씨 23명 단천 갈씨 20명 개성 갈씨 17명 경산 갈씨 14명 양성 갈씨 10명 청산 갈씨 7명
4. 인물
4. 1. 현대 인물
5. 과거 급제자
갈(葛)씨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문과와 무과에 급제자를 배출했다. 희종 2년(1206년) 갈남성이 문과에 급제하였고,[1] 조선시대에는 무과 급제자 6명을 배출하였다.
5. 1. 고려시대
고려 희종 2년(1206년) 갈남성이 문과 병과 2위로 급제하였다.[1]5. 2. 조선시대
조선시대에 갈씨 성을 가진 무과 급제자는 총 6명이었다. 이 중 청주 갈씨가 3명으로 가장 많았고, 성주 갈씨와 임실 갈씨가 각각 1명씩 있었다. 무과 급제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고려시대(高麗時代) 음서제(蔭敍制)와 과거제(科擧制) 연구(硏究)
一志社
1990
[2]
웹사이트
《고려사》 권130 열전 권제43 김준
http://db.history.go[...]
[3]
간행물
『정축정시문[무]과방목(丁丑庭試文[武]科榜目)』
[4]
간행물
『정축정시문무과방목(丁丑庭試文武科榜目)』
[5]
간행물
『신묘문과방목(辛卯文科榜目)』
[6]
간행물
『상지3년계묘토역정시별시문무과방목(上之三年癸卯討逆庭試別試文武科榜目)』
[7]
간행물
『왕세자책봉경용호방(王世子冊封慶龍虎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