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경찰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릉경찰서는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의 치안을 담당하는 경찰서이다. 1906년 8월 강원도경무서 강릉분서로 시작하여, 1945년 10월 21일 강릉경찰서로 정식 출범했다. 관할 구역은 강릉시 전역이며, 중부, 동부, 서부, 남부, 북부 5개의 지구대와 강동, 옥계 2개의 파출소, 성산, 경포, 사천 3개의 치안센터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릉시 소재의 관공서 - 강릉교도소
강릉교도소는 대한민국 교정 시설로, 총무과, 보안과, 직업훈련과 등 부서에서 교도소 운영, 수용자 관리, 사회 복귀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강릉시 소재의 관공서 - 국군강릉병원
강원도 강릉시에 위치한 국군강릉병원은 내과, 외과, 정신건강의학과, 치과 등 다양한 진료 과목을 운영하며 장병들의 건강을 책임지는 군 병원으로서, 특히 정신건강의학과는 장병들의 정신 질환 진단, 치료 및 예방을 통해 건강한 군 복무를 지원한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경찰서 - 정선경찰서
정선경찰서는 1945년 발족하여 1948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으며,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일원의 치안을 담당하면서 정선읍을 포함한 8개의 파출소와 3개의 치안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경찰서 - 동해해양경찰서
동해해양경찰서는 대한민국 동해안의 해양 안전과 치안을 담당하는 해양경찰서로, 다양한 부서와 파출소 및 출장소를 두고 해상 경비, 해난 구조, 해양 오염 방지, 해상 범죄 수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다수의 함정을 보유하고 있다.
강릉경찰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지방경찰청 | 강원특별자치도경찰청 |
관할 구역 | 강릉시 일원 |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릉대로 377 (포남동) |
웹사이트 | 강릉경찰서 웹사이트 |
조직 | |
과 수 | (정보 없음) |
지구대 수 | 5 |
파출소 수 | 2 |
치안센터 수 | 3 |
2. 연혁
- '''1906년 8월 :''' 강원도경무서 강릉분서 설치
- 1945년 10월 21일: 강릉경찰서 설치.
- 1948년 6월 15일: 주문진경찰서 설치.
- 1956년 1월 1일: 주문진경찰서 폐지 및 강릉경찰서 통합.
- 1980년 4월 1일: 동해경찰서 발족에 따라 일부 지소 이관.
2. 1. 일제강점기
1906년 8월, 강원도경무서 산하 강릉분서가 설치되었다.2. 2.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48년 6월 15일에 주문진읍 지역을 관할하는 주문진경찰서가 설치되었다. 이후 1956년 1월 1일 주문진경찰서가 폐지되면서 강릉경찰서에 통합되었다. 1980년 4월 1일에는 동해시 지역을 관할하는 동해경찰서가 신설되면서 일부 지소가 동해경찰서로 이관되었다.3. 관할 구역 및 조직
강릉시 전역을 관할하며,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여러 하위 조직을 두고 있다. 산하에는 5개의 지구대와 2개의 파출소, 그리고 3개의 치안센터가 있다. 각 조직의 상세한 관할 구역과 정보는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