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문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문봉은 일제강점기 함경남도에서 태어나 만주 신경군관학교와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만주군 장교로 복무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 제1사단장, 제2사단장, 제3군단장 등을 역임하고 육군 제2군 사령관까지 올랐다. 김창룡 암살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고, 4·19 혁명 이후 풀려났다. 이후 국회의원과 외교관을 지냈으며, 6대 국회의원과 주 스웨덴 대사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유재흥
    유재흥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로 복무 후 한국 전쟁에서 대한민국 국군 장성으로 활동하며 여러 전투를 지휘했으나, 잇따른 패전과 논란으로 비판받았고, 전쟁 후 국방부 장관 및 외교관직을 역임했으며 친일 및 친미 논란, 전시 작전통제권 문제에 대한 견해가 논쟁 대상이다.
  • 스웨덴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채명신
    채명신은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외교관으로, 백골병단 지휘, 주월 한국군 사령관 역임, 대한태권도협회 초대 회장 역임 등의 활동을 했으나, 일부 논란과 함께 말년에는 참전 용사들을 위한 활동에 헌신했다.
  • 룽징시 출신 - 서대숙
    서대숙은 김일성 항일 운동 연구로 북한 연구에 기여한 한국의 정치학자이자 대학교수로, 미국 여러 대학교와 서울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활동하며 하와이 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 룽징시 출신 - 한익수
    한익수는 1912년 출생하여 조선인민혁명군에서 항일 투쟁에 참여하고, 6.25 전쟁에 참전하여 요직을 역임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주재 대사로 활동하다가 조선로동당 중앙위 검열위 위원장을 거쳐 사망 후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 워싱턴 주립 대학교 동문 - 우에하라 에쓰지로
    일본의 정치인이자 학자인 우에하라 에쓰지로는 다이쇼 데모크라시 운동에 참여, 중의원 부의장과 국무대신, 내무대신을 역임하며 활발한 정치 활동을 펼쳤으나, 전후에는 일본 헌법 제9조와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등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며 독도 영유권을 주장했다.
  • 워싱턴 주립 대학교 동문 - 돌프 룬드그렌
    돌프 룬드그렌은 스웨덴 출신의 배우, 영화감독, 무술가로, 영화 《록키 4》에서 이반 드라고 역으로 데뷔하여 액션 영화에 출연하며 인기를 얻었으며, 《디펜더》 등의 영화를 감독하고, 무술 실력과 화학 공학 학위를 갖춘 인물이다.
강문봉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강문봉
한자 표기姜文奉
로마자 표기Gang Munbong
출생일1923년 10월 26일
출생지간도 룽징(중화민국 지린성)
사망일1988년 2월 26일
사망지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묘소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공동묘지
군사 정보
소속 조직남조선국방경비대
대한민국 육군
군 복무 기간1946년-1948년 (국방경비대), 1948년-1956년 (한국 육군)
최종 계급중장
참전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서훈태극무공훈장
경력
외교관노르웨이 대한민국 대사
바티칸 대한민국 대사
정당민정당 당무위원
신민당 당무위원
민주공화당 당무위원
민주정의당 당무위원
한국국민당 당무위원
학교중앙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겸임교수
동국대학교 겸임교수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외래교수
개인 정보
본관진주
종교불교
배우자도재은
자녀1남 3녀 (장녀 강근영, 차녀 강주영, 삼녀 강숙영, 막내아들 강남원)
신장167cm
체중68kg
남헌(南軒)
기타 정보
웹사이트예비역 장군 강문봉 전 교수
헌정회 강문봉
두산백과 강문봉
이미지
육군 중장 시절의 강문봉
1974년 당시의 강문봉 예비역 육군 중장

2. 생애

1923년 10월 26일 일제 강점기 함경남도 (현재는 북한)에서 태어났다.[3] 다른 자료에는 1923년 10월, 중화민국 둥베이 지린성 룽징에서 당시 조선인 출신 갑부 강윤철(姜潤喆)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고 한다.[5] 아버지는 함경북도 부령군 출신의 실업가이자 만주국 협화회 의원 강윤철이었다.[5]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6살이던 1928년에 가족과 함께 경성부를 떠나 둥베이 지린성 룽징으로 다시 건너가 성장하였다. 아버지 강윤철이 만주국에서 은행장을 지냈기 때문에 어린 시절은 부유했다. 1942년 3월 만주국 신경 제1중학교(5년제)를 졸업하고, 1942년 4월부터 신경군관학교에서 2년간 교육을 받고 제5기로 수석 입학, 수석 졸업하였다.(1944년)[6] 박정희에게는 3기 후배가 된다. 그는 성적이 우수하여 일본육군사관학교에 편입, 일본 육사를 제59기로 졸업하고(1945년 6월) 만주군 소위(견습사관)로 임관한 직후 일본군 23부대에서 복무하다가 태평양 전쟁 종전으로 해방을 맞았다.

종전 후 미군정 지역으로 들어와 군사영어학교를 마친 뒤(1946년 1월 15일) 육군 소위로 임관되어 대한민국 국군 창건에 참여하였다.[4] 1945년 12월 5일, 군사영어학교 개설과 함께 입교하여 1946년 1월 졸업, 소위로 임관하여 제1연대 창설에 참여하여 채병덕을 보좌했다. 국방경비대 총사령관 예하 전속부관, 제1연대 부연대장, 조선경비대 총사령부 작전처장을 역임했다. 1946년 5월에는 경비사관학교 교수부장이 되었다. 1947년 가을, 대한민국 국방경비대 총사령부 작전교육처장을 겸임했다. 1949년 6월 이전부터[8] 한국 전쟁 발발 1주일 전까지 육군본부 작전교육국장으로 있었다. 작전교육국장 재직 시, 매일 적정(敵情)판단보고서를 읽었는데, 이 보고서에 북한군의 병력이동상황이 소상하게 기록되어 있었고 병력집결이 완료되면 남침할 것이라는 분석자료도 있었다. 이러한 정보를 그의 상사(신성모 국방장관, 채병덕 육군참모총장)에게 보고했고 미극동군사령부에도 제보, 무력증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미국 측은 "공산군의 남침은 없다."고 단언하면서 한국군의 정보는 군사원조를 얻기 위한 것으로 경시하는 일이 빈번했다.[10]

1950년 6월 10일, 미국 육군참모대학교 유학을 명령받고 부산에서 미국행 준비 중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26일 아침 서울로 돌아왔다. 전황 불리로 의정부 쪽에 연락소를 설치하고 채병덕을 보좌했지만 28일 수원으로 후퇴하고, 다음 날 29일 장창국과 작전국장을 교대했다. 참모총장에 취임한 정일권과의 호흡으로 난국을 헤쳐나가 이 공로로 준장으로 진급했다. 1948년경, 공군본부 작전참모부장이던 공군 장교 장지량이 각 비행장마다 경비병력 10명 무전기 자동차 각 1대와 무전병 운전병을 파견해 달라고 부탁했으나, 강문봉은 이를 거절했다.[9]

1951년 4월, 제1사단장이 되었다. 중공군의 4월 공세를 저지하고 태극무공훈장과 레지온 오브 메리트를 수여받았으며, 소장으로 진급했다. 6월, 미국 육군대학교에 유학했다. 1952년 강(Kang) 장군은 대한민국 1사단[2] 사단장이 되었고 한국 전쟁 중 소장으로 진급했다. 한국 전쟁 당시 이승만 대통령에 의해 정일권 장군과 함께 미국 캔자스주 포트리븐워스에 있는 미국 육군사관학교(U.S. War College)에 입학했다. 1952년 8월, 제2군단 부군단장이 되었다. 9월, 제1군단 부군단장이 되었다. 10월, 제2사단장으로 임명되어 저격능선 전투를 지휘했다.

휴전직전인 1953년 5월부터 강문봉 소장이 이끄는 3군단창설요원들은 북한강에서 펀치볼에 이르는 중동부전선을 담당한 관대리의 미 10군단 사령부에 들어가 군단 창설준비 및 소요의 교육을 받고 1953년 10월 미육군제10군단의 임무를 인계받았다.[11] 1953년 대한민국 3군단 개편을 담당했다. 그 후 강 장군은 미국 육군 10군단에서 훈련을 받았다. 미 10군단이 철수했을 때, 강 장군과 그의 부대는 전쟁에서 핵심 지역 방어를 책임졌다. 그들은 펀치볼(Punchbowl)에서 북한강까지의 지역 방어를 담당했다. 강 장군은 그 후 대한민국 제2군을 창설하고 초대 군단장이 되었다.[2] 이 과정에서 미국 제10군단 부군단장을 맡았고, 임무 인수 후, 육군 제3군단장을 역임하고, 1954년에는 육군 제2군사령관까지 올랐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강문봉은 진주(晉州) 강씨로, 1923년 10월 26일 일제 강점기 함경남도 (현재는 북한)에서 태어났다.[3] 다른 자료에는 1923년 10월, 중화민국 둥베이 지린성 룽징에서 당시 조선인 출신 갑부 강윤철(姜潤喆)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고 한다.[5] 아버지는 함경북도 부령군 출신의 실업가이자 만주국 협화회 의원 강윤철이었다.[5] 6살이던 1928년에 가족과 함께 경성부를 떠나 둥베이 지린성 룽징으로 다시 건너가 성장하였다. 아버지 강윤철이 만주국에서 은행장을 지냈기 때문에 어린 시절은 부유했다. 1942년 3월 만주국 신경 제1중학교(5년제)를 졸업하고, 1942년 4월부터 신경군관학교에서 2년간 교육을 받고 제5기로 수석 입학, 수석 졸업하였다.(1944년)[6] 박정희에게는 3기 후배가 된다. 그는 성적이 우수하여 일본육군사관학교에 편입, 일본 육사를 제59기로 졸업하고(1945년 6월) 만주군 소위(견습사관)로 임관한 직후 일본군 23부대에서 복무하다가 태평양 전쟁 종전으로 해방을 맞았다.

종전 후 미군정 지역으로 들어와 군사영어학교를 마친 뒤(1946년 1월 15일) 육군 소위로 임관되어 대한민국 국군 창건에 참여하였다.[4] 1945년 12월 5일, 군사영어학교 개설과 함께 입교하여 1946년 1월 졸업, 소위로 임관하여 제1연대 창설에 참여하여 채병덕을 보좌했다. 국방경비대 총사령관 예하 전속부관, 제1연대 부연대장, 조선경비대 총사령부 작전처장을 역임했다. 1946년 5월에는 경비사관학교 교수부장이 되었다. 1947년 가을, 대한민국 국방경비대 총사령부 작전교육처장을 겸임했다. 1949년 6월 이전부터[8] 한국 전쟁 발발 1주일 전까지 육군본부 작전교육국장으로 있었다. 작전교육국장 재직 시, 매일 적정(敵情)판단보고서를 읽었는데, 이 보고서에 북한군의 병력이동상황이 소상하게 기록되어 있었고 병력집결이 완료되면 남침할 것이라는 분석자료도 있었다. 이러한 정보를 그의 상사(신성모 국방장관, 채병덕 육군참모총장)에게 보고했고 미극동군사령부에도 제보, 무력증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미국 측은 "공산군의 남침은 없다."고 단언하면서 한국군의 정보는 군사원조를 얻기 위한 것으로 경시하는 일이 빈번했다.[10]

1950년 6월 10일, 미국 육군참모대학교 유학을 명령받고 부산에서 미국행 준비 중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26일 아침 서울로 돌아왔다. 전황 불리로 의정부 쪽에 연락소를 설치하고 채병덕을 보좌했지만 28일 수원으로 후퇴하고, 다음 날 29일 장창국과 작전국장을 교대했다. 참모총장에 취임한 정일권과의 호흡으로 난국을 헤쳐나가 이 공로로 준장으로 진급했다. 1948년경, 공군본부 작전참모부장이던 공군 장교 장지량이 각 비행장마다 경비병력 10명 무전기 자동차 각 1대와 무전병 운전병을 파견해 달라고 부탁했으나, 강문봉은 이를 거절했다.[9]

1951년 4월, 제1사단장이 되었다. 중공군의 4월 공세를 저지하고 태극무공훈장과 레지온 오브 메리트를 수여받았으며, 소장으로 진급했다. 6월, 미국 육군대학교에 유학했다. 1952년 강(Kang) 장군은 대한민국 1사단[2] 사단장이 되었고 한국 전쟁 중 소장으로 진급했습니다. 한국 전쟁 당시 이승만 대통령에 의해 정일권 장군과 함께 미국 캔자스주 포트리븐워스에 있는 미국 육군사관학교(U.S. War College)에 입학했습니다. 1952년 8월, 제2군단 부군단장이 되었다. 9월, 제1군단 부군단장이 되었다. 10월, 제2사단장으로 임명되어 저격능선 전투를 지휘했다.

휴전직전인 1953년 5월부터 강문봉 소장이 이끄는 3군단창설요원들은 북한강에서 펀치볼에 이르는 중동부전선을 담당한 관대리의 미 10군단 사령부에 들어가 군단 창설준비 및 소요의 교육을 받고 1953년 10월 미육군제10군단의 임무를 인계받았다.[11] 1953년 대한민국 3군단 개편을 담당했다. 그 후 강 장군은 미국 육군 10군단에서 훈련을 받았습니다. 미 10군단이 철수했을 때, 강 장군과 그의 부대는 전쟁에서 핵심 지역 방어를 책임졌습니다. 그들은 펀치볼(Punchbowl)에서 북한강까지의 지역 방어를 담당했습니다. 강 장군은 그 후 대한민국 제2군을 창설하고 초대 군단장이 되었습니다.[2] 이 과정에서 미국 제10군단 부군단장을 맡았고, 임무 인수 후, 육군 제3군단장을 역임하고, 1954년에는 육군 제2군사령관까지 올랐다.

2. 2. 김창룡 암살 사건 연루와 투옥



강문봉은 김창룡 저격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어 1956년[12] 국방대학 학생 신분으로 사형 선고를 받았다.[2] 한국 전쟁 참전과 대한민국 국군 창군 주역 중 한 명이었던 점이 참작되어[1] 1957년에 육군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김창룡 암살 당시 허태영 대령이 사형선고를 받자, 허태영 대령의 부인이 이 사건의 배후에 헌병사령관을 지낸 공국진 준장과 강문봉 중장을 지목하여 수사를 받았으며 재판끝에 사형이 선고되었으나 이승만 대통령에 의해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13] 4·19의 성공으로 인하여 풀려났다.[2] 강문봉은 법원의 판결에도 불구하고 김창룡 암살에 가담한 사실을 결코 자백하지 않았다.[1] 1956년, 김창룡 암살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 판결을 받았으나, 그간의 공적과 미군의 구명 운동으로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4]

2. 3. 정치 및 외교 활동



강문봉은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으며, 대한민국 국군 창군 주역의 한 사람이었다.[4] 그는 신경군관학교와 일본 육사를 졸업하고 만주군 장교로 복무하다가 해방을 맞았다.[6] 종전 후 군사영어학교를 거쳐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6] 국방경비대 총사령관 예하 전속부관, 제1연대 부연대장, 조선경비대 총사령부 작전처장을 역임했다. 1949년 6월 이전부터 한국 전쟁 발발 1주일 전까지 육군본부 작전교육국장으로 있었다.[8]

작전교육국장 재직 시, 북한군의 병력 이동 상황을 분석하여 상부에 보고하고 미 극동군사령부에도 제보했으나, 미군은 이를 경시했다.[10] 장지량의 각 비행장 경비 병력 지원 요청을 거절하기도 했다.[9]

한국 전쟁 발발 후, 강문봉은 육군 제1사단장, 육군 제2사단장, 육군 제1군단 부군단장을 역임했다. 1953년 5월부터는 육군 제3군단 창설을 주도, 미 육군 제10군단의 임무를 인수받아 제3군단장에 취임했다.[11] 1954년에는 육군 제2군사령관까지 올랐다.

1956년, 김창룡 저격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어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12] 이승만 대통령에 의해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 4·19 이후 풀려나 국회의원과 외교관을 지냈다.

1963년 3월 21일, 최경록, 전규홍, 이철승, 양일동 등과 함께 미국 대통령 관저 앞에서 박정희의 군정 연장 제안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13] 1963년 12월 17일부터 1967년 2월 8일까지 제6대 국회의원(민정당)을 지냈고, 1967년 2월 8일 전국구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였다.[14] 이후 1967년 9월 16일, 주스웨덴 대사에 임명되었으며, 주 덴마크·노르웨이·아이슬란드·스위스 및 교황청 주재 대사도 겸임했다.[14] 1973년부터 1979년까지 제9대 국회의원(유신정우회)에 지명되었으며, 제20차 유엔 총회 대한민국 대표도 지냈다.

3. 학력

만주국 신징 중학교를 졸업하고 만주국 신징 군관학교를 졸업하였다.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대한민국 군사영어학교 1기로 입교하여 대한민국 조선경비보병학교를 졸업하였다. 미국 육군참모대학교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국방대학교에서 행정학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워싱턴 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 정치학 석사 학위를, 조지 워싱턴 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대한민국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4. 가족 관계

아버지 강윤철은 함경북도 부령 출신의 갑부였다. 어머니는 김해란이다. 아내는 도재은이며, 슬하에 3녀 1남을 두었다. 장녀는 강근영, 차녀는 강주영, 3녀는 강숙영, 아들은 강남원이다.

동생으로는 강태봉과 강수봉이 있다.[15] 강태봉은 육사 2기 출신으로 육군본부 정훈감을 지냈으며 1963년 육군 대령으로 예편했다. 이후 1968년부터 1971년까지 충청북도 옥천군 군수를 역임했다. 강수봉은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1952년 육군 하사로 전사하였다.[15]

5. 평가 및 비판

6. 강문봉을 연기한 배우

6. 1. 영화

1974년 영화 《증언》에 방수일이 연기한 작전국장 역으로 출연하였다.

7.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연도선거명직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63년총선국회의원민정당1,870,976표20.1%전국구 6번당선초선
1973년총선국회의원통일주체국민회의유신정우회지명당선재선


참조

[1] 웹사이트 Wisdom of Korea http://ysfine.com/wi[...] 2015-12-09
[2] 서적 From Pusan to Panmunjom https://books.google[...] Potomac Books, Inc. 2011-09-01
[3] 서적 전시 한국군 주요 지휘관의 통솔에 관한 연구 1983
[4] 뉴스 (7)진주 강씨(晋州姜氏)-966,710명 http://www.seoulecon[...] 2014-07-06
[5] 웹사이트 강문봉(姜文奉) https://encykorea.ak[...] 2023-08-14
[6] 뉴스 (11)-만주군관학교 한인생도 http://news.joins.co[...] 1982-11-08
[7] 뉴스 대통령 비난 등의 전 의원에 15년 구형 朝日新聞 1977-02-03
[8] 뉴스인용 嗚咽悲曲의 坩堝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49-06-07
[9] 뉴스인용 군 어제와 오늘<75> 창군 비화(9) 미 전투기지원 외면 「날개 없는 공군」 창설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4-03-31
[10] 뉴스인용 6.25스물세돌특집 1950년6월25일 새벽4시…당시 일선지휘관들의 증언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3-06-22
[11] 뉴스인용 군과 나(34) 마침내 전쟁은 끝나다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9-03-02
[12] 뉴스인용 군재의 기소장 전문 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56-12-09
[13] 뉴스인용 백악관 앞에서 데모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63-03-22
[14] 뉴스인용 12국 대사 임명 의결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7-09-16
[15] 웹인용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위패 목록 - 대한민국 육군 하사 강수봉 先生 http://www.snmb.mil.[...] 2017-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