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심장 V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심장 VS》는 서로 상반된 성향의 연예인들이 펼치는 토크쇼를 표방하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김동욱, 한비인, 한예슬, 한민희가 연출을 맡았으며, 전현무, 문세윤, 엄지윤, 조현아가 진행을 맡았다. 2023년 12월 5일부터 방송을 시작했으며, 2023년 SBS 연예대상에서 엄지윤이 라이징 스타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4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장학퀴즈
1973년 MBC에서 시작하여 EBS로 옮겨 대한민국 최장수 퀴즈 프로그램이 된 《장학퀴즈》는 고등학생 대상 퀴즈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진행 방식과 특집 방송, 한중 청소년 교류 등을 통해 사랑받았으나 2024년 7월 종영 예정이다. - 2024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개는 훌륭하다
개는 훌륭하다는 유기견 및 반려견 문제 해결을 위한 KBS 2TV 예능 프로그램으로, 이경규가 제목을 짓고 강형욱, 이경규 등이 출연하며 KBS 연예대상에서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고 방송 시간과 편성이 변경되어 현재까지 방영 중이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토크 쇼 - 비정상회담
비정상회담은 JTBC에서 방영된 예능 프로그램으로, 세계 각국 청년들이 한국 사회 문제들을 토론하며 국제 이슈와 문화 차이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높은 인기를 얻었으나, 토론 깊이 부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토크 쇼 - 유자식 상팔자
유자식 상팔자는 손범수와 오현경이 MC를 맡아 다양한 가족들의 사춘기와 갈등을 다룬 JTBC의 가족 예능 프로그램이다. - 2023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차이나는 클라스
《차이나는 클라스》는 JTBC에서 다양한 분야 전문가를 초청해 지식 강연을 제공하는 교양 프로그램으로, 오상진, 이현이, 함은정, 이장준 등이 진행을 맡고 있다. - 2023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뉴스5후
뉴스5후는 JTBC에서 2023년 7월부터 12월까지 평일 오후에 방송된 뉴스 프로그램이며, 박진규, 신혜원 기자가 진행했으나 재정난과 시청률 저조로 폐지되었다.
강심장 VS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프로그램 정보 | |
방송명 | 강심장 VS[[파일:Republic Of Korea Broadcasting-TV Rating System(15).svg|16px|15]] |
장르 | 토크쇼 |
방송 채널 | SBS TV |
방송 시간 | 매주 화요일 밤 10:20 ~ 12:00 |
방송 분량 | 100분 |
방송 기간 | 2023년 12월 5일 ~ 2024년 4월 16일 |
방송 횟수 | 18부작 |
방송 시즌 | 3 |
여는 곡 | Mark Ronson - Uptown Funk 앨빈과 슈퍼밴드 : 악동 어드벤처 삽입곡 |
닫는 곡 | 윗글과 같음 |
전편 | 강심장 리그 |
외부 링크 | SBS 강심장 VS 공식 홈페이지 |
제작진 | |
연출 | 김동욱 |
작가 | 김미경, 김재연, 백윤경, 전민주, 박희경, 최혜진, 정금옥, 조민정, 심세영, 최해담 |
조연출 | 한비인, 한예슬, 한민희 |
출연진 | |
진행자 | 전현무, 문세윤, 엄지윤, 조현아 |
2. 기획 의도
극과 극 성향의 두 집단 연예인들이 펼치는 본격 'VS' 토크쇼를 표방하며, 'VS 놀이' 트렌드를 반영한다.
wikitext
3. 제작진
극본 연출 김미경, 김재연, 백윤경, 전민주, 박희경, 최혜진, 정금옥, 조민정, 심세영, 최해담 김동욱, 한비인, 한예슬, 한민희
3. 1. 연출
김동욱, 한비인, 한예슬, 한민희
3. 2. 극본
작가 |
---|
김미경, 김재연, 백윤경, 전민주, 박희경, 최혜진, 정금옥, 조민정, 심세영, 최해담 |
4. 진행자
5. 게스트
회차 | 게스트 |
---|---|
1 | 산다라박, 이국주, 신기루, 김두영, 에이전트 H |
2 | 홍석천, 이나연, 유민상, 박세미, 정혁 |
3 | 이무생, 조우종, 줄리안 퀸타르트, 션, 브라이언 |
4 | 손범수, 이진호, 미나명, 츄, 하리무 |
5 | 이현이, 이은형, 황재균, 이주승, 김새롬 |
6 | 박준금, 황현희, 김용명, 고은아, 언에듀케이티드 키드 |
7 | 박지현, 안보현, 강상준, 김신비, 정가희 |
8 | 홍진호, 궤도, 서동주, 김지민, 심진화 |
9 | 박준형 (g.o.d), 이지훈, 조준호, 조준현, 이재율 |
10 | 배종옥, 오윤아, 송해나, 이호철, 10기 정숙 |
11 | 남창희, 바다, 이원지, 김수용, 김수찬 |
12 | 김병옥, 사유리, 립제이, 모니카, 윤성빈 |
13 | 이기광 (하이라이트), 오정연, 장예원, 강재준, 유정수 |
14 | 강주은, 김윤지, 양준혁, 이상준, 서남용 |
15 | 김준현, 이지혜, 솔비, 케이윌, 이석훈 (SG 워너비) |
16 | 윤태영, 이준, 이유비, 이정신 (씨엔블루), 김도훈 |
17 | 하니, 장동민, 이장원, 이승국, 박지윤 |
18 | 남규리, 이홍기 (FT 아일랜드), 조권 (2AM), 정이랑, 윤수현 |
6. 시청률
는 2023년 12월 첫 방송 이후, 2%대의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 각 회차별 시청률은 아래 표를 참고하면 된다.
6. 1. 2023년
회차 | 방송일 | 시청률 |
---|---|---|
대한민국 (전국) | ||
1 | 12월 5일 | 2.0% |
2 | 12월 12일 | 1.8% |
3 | 12월 19일 | 2.5% |
4 | 12월 26일 | 2.6% |
6. 2. 2024년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회차 | 방송일 | 시청률 |
---|---|---|
대한민국 (전국) | ||
5 | 1월 2일 | 2.5% |
6 | 1월 9일 | 2.7% |
7 | 1월 16일 | 2.4% |
8 | 1월 23일 | 1.9% |
9 | 1월 30일 | 2.3% |
10 | 2월 6일 | 3.1% |
11 | 2월 13일 | 2.1% |
12 | 2월 20일 | 2.1% |
13 | 2월 27일 | 2.4% |
14 | 3월 5일 | 2.8% |
15 | 3월 12일 | 2.6% |
16 | 3월 19일 | 2.1% |
17 | 4월 9일 | 1.8% |
18 | 4월 16일 | 2.3% |
7. 수상 경력
SBS 演藝大賞|SBS 연예대상중국어 라이징 스타상 (엄지윤)
8. 결방 사유
2024년 결방 사유는 다음과 같다.
8. 1. 2024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