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웅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웅산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동과 개봉동의 경계에 위치한 산으로, 높이는 125m이다. 1997년 근린공원 조성 계획을 수립하여 2006년 5월 1차 공원 사업을 완료했으며, 2차 사업을 통해 자연 학습장, 순환 등산로, 광장 등을 조성했다. 연간 10만여 명의 시민들이 이용하며, 매월 숲속 여행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조선시대에는 봉화대로 불렸으며, 3·1 운동 당시 봉화를 올린 역사적 장소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구로구의 지리 - 도림천
도림천은 서울특별시를 흐르는 하천으로 봉천천, 난곡천, 대방천 등의 지류를 가지며 자전거 도로가 조성되어 시민들의 휴식과 여가 공간을 제공하는 도심 속 자연 친화적인 공간이다. - 서울 구로구의 지리 - 매봉산 (구로구)
매봉산은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산으로, 구로구청, 고척돔, 안양천 등을 조망할 수 있는 정상과 매봉산 생태학습장, 약수터, 운동 시설, 온수 잣절공원 등의 시설을 갖추어 주민들의 건강 증진과 휴식에 기여하며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지형지물이다. - 서울특별시의 산 - 남산 (서울)
남산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한 높이 262m의 산으로, 조선시대에는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던 곳이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지배의 상징적 공간이었으나, 광복 후 남산공원으로 조성되어 현재는 서울 시민들의 휴식처이자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 서울특별시의 산 - 북악산
북악산은 서울의 진산으로, 한양도성의 기점이자 청계천의 발원지이며 북악스카이웨이가 위치해 있고, 2009년 명승으로 지정되었으며 청와대 북쪽 구역 개방으로 인왕산, 북한산, 안산까지 등산이 가능하다. - 서울특별시에 관한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 서울특별시에 관한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개웅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산 정보 | |
이름 | 개웅산 |
한자 | 開雄山 |
높이 | 125 |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2동·개봉3동·천왕동 |
2. 위치 및 지리
개웅산은 구로구 오류동과 개봉동 경계에 있는 천신(天神)마을의 뒷산으로, 높이는 125m이다. 비교적 완만한 산세를 가지고 있다. 1997년 개웅산 근린공원 조성 계획이 수립되어 2006년 5월 1차 공원 사업이 완료되었다. 이 사업으로 15000m2 면적에 팔각정, 배드민턴장, 휴게 시설, 운동 시설, 등산로가 조성되었다. 연간 10만여 명의 시민들이 개웅산을 이용하며, 이용객 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1][2]
2008년 3월, 구로구는 개웅산 근린공원이 인근 금천, 영등포, 광명, 부천 시민들에게도 사랑받자 2차 사업에 착수했다. 이 사업을 통해 42000m2 면적에 자연 학습장, 순환 등산로, 광장 등이 조성되었고, 체육 시설과 휴게 시설도 설치되었다. 1977년 공군 부대가 주둔하며 설치했던 철조망은 철거되었고, 그 자리에는 5000m2 규모의 자연 학습장이 만들어졌다. 오류2동과 개봉2, 3동을 잇는 순환등산로(1650m)에는 때죽나무, 복자기나무 등 수십 종의 나무가 심어졌다. 구로구는 매월 둘째, 넷째 주 토요일에 개웅산의 문화, 역사, 자연 생태를 탐방하는 숲속 여행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2]
2. 1. 지형
개웅산은 능선이 세 방향으로 뻗어 삼각형을 이룬다. 산맥은 구로구 동쪽에 있는 관악산맥으로, 구로구 항동과 천왕동 경계에 있는 굴봉산(145m)과 남북 방향으로 길게 뻗어 경기도 부천시 옥길동과 경계가 되는 건지산(134m)으로 이어진다.개웅산 남동쪽으로는 목감천이 흐르고 있으며, 남남동 방향으로 광명시의 도덕산이, 남서쪽으로는 굴봉산이 자리한다. 개웅산에는 팔각정자, 목재데크 등 다양한 휴식시설이 갖춰져 있고 단풍나무, 참나무, 소나무, 아카시나무, 물레나물, 바위취 등 160여 종, 29만 7000여 주에 이르는 다양한 식생이 잘 보전되어 있다.[1]
2. 2. 주변 환경
개웅산은 구로구 오류동과 개봉동의 경계가 되는 천신(天神)마을의 뒷산이다. 비교적 완만한 산으로 높이는 125m이다. 1997년에 개웅산 근린공원 조성 계획을 수립하여 2006년 5월 1차 공원 사업이 마무리되었다. 이를 통해 15000m2 면적에 팔각정, 배드민턴장, 휴게 시설 및 운동 시설, 등산로가 조성되었다. 연간 10만여 명의 시민들이 개웅산을 이용하고 있으며, 매년 이용하는 시민들의 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1][2]구로구는 개웅산 근린공원이 인근 금천·영등포 주민뿐만 아니라 광명·부천 시민들의 사랑을 받자 2008년 3월에 개웅산 근린공원 2차 사업에 착수하였다. 이를 통해 42000m2 면적에 자연 학습장, 순환 등산로, 광장 등을 만들고 체육 시설과 휴게 시설 등을 설치하였으며, 1977년에 공군 부대가 주둔하면서 설치하였던 철조망도 철거하였다. 철조망 자리에는 5000m2 규모의 자연 학습장을 조성하였다. 또한 구로구 오류2동과 개봉2, 3동을 잇는 순환등산로(1650m)에는 때죽나무, 복자기나무 등 수십 종의 나무를 식재하였다. 구로구에서는 매월 둘째, 넷째 주 토요일에 개웅산의 문화, 역사, 자연 생태를 탐방할 수 있는 숲속 여행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2]
개웅산은 능선이 세 방향으로 뻗어 삼각형을 이룬다. 산맥은 구로구의 동쪽에 있는 관악산맥으로 구로구 항동과 천왕동의 경계에 있는 굴봉산(145m)과 남북 방향으로 길게 뻗어 경기도 부천시 옥길동과 경계가 되는 건지산(134m)으로 이어져 있다.
개웅산 남동쪽으로는 목감천이 흐르고 있으며, 남남동 방향으로 광명시의 도덕산이 자리하고, 남서쪽으로는 굴봉산이 자리한다. 개웅산에는 팔각정자, 목재데크 등 다양한 휴식시설이 갖춰져 있고 단풍나무·참나무·소나무·아카시나무·물레나물·바위취 등 160여 종, 29만 7000여 주에 이르는 다양한 식생이 잘 보전되어 있다.[1]
3. 역사
개웅산은 조선시대에 봉화를 올렸던 곳으로, 봉화대(烽火臺)라고도 불렸다. 봉화는 밤에 불을 피워 신호를 보내는 통신 수단이었다. 불이나 연기를 피워 정보를 전달했던 봉수는 삼국시대부터 존재했던 중요한 국방·통신 시설이었다.[1][3]
3. 1. 명칭 유래
개웅산은 조선시대에 이 산에서 봉화를 올렸다 하여 봉화대(烽火臺)라고도 부른다. 개웅산이라는 명칭은 인접한 마을의 지형이 움푹 들어간 관계로 난리가 날 때마다 총탄이 개웃개웃 피해 가서 개웅마을이라 불렀고, 산 이름도 여기에서 유래했다고 한다.[1]3. 2. 항일 운동
개웅산은 조선시대에 이 산에서 봉화를 올렸다 하여 봉화대(烽火臺)라고도 불린다. 3·1운동 당시에도 마을 주민들이 이 개웅산에서 봉화를 올리며 일제에 항거하였다고 전한다.[1][3]3. 3. 봉수
개웅산은 조선시대에 이 산에서 봉화를 올렸다 하여 봉화대(烽火臺)라고도 부른다. 개웅산이라는 명칭은 인접한 마을의 지형이 움푹 들어간 관계로 난리가 날 때마다 총탄이 개웃개웃 피해 가서 개웅마을이라 불렀고, 산 이름도 여기에서 유래했다고 한다.봉화란 밤에 불을 피워서 신호를 삼는 통신 수단을 말하는데, 3·1운동 당시에도 마을 주민들이 이 개웅산에서 봉화를 올리며 일제에 항거하였다고 전한다. 전근대 시기 중요한 국방·통신 시설로 불이나 연기를 피워 정보를 전달하였던 봉수는 이미 삼국시대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1][3]
4. 개웅산 근린공원
구로구 오류동과 개봉동의 경계에 있는 천신(天神)마을 뒷산인 개웅산은 높이가 125m로 비교적 완만한 산이다. 1997년 개웅산 근린공원 조성 계획이 수립된 후 2006년 1차 사업과 2008년 2차 사업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연간 10만여 명의 시민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이용객 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1][2]
4. 1. 시설
1997년에 개웅산 근린공원 조성 계획을 수립하여 2006년 5월 1차 공원 사업이 마무리되었다. 이를 통해 15000m2 면적에 팔각정, 배드민턴장, 휴게 시설 및 운동 시설, 등산로가 조성되었다.[1][2]구로구는 개웅산 근린공원이 인근 금천·영등포 주민뿐만 아니라 광명·부천 시민들의 사랑을 받자 2008년 3월에 개웅산 근린공원 2차 사업에 착수하였다. 이를 통해 42000m2 면적에 자연 학습장, 순환 등산로, 광장 등을 만들고 체육 시설과 휴게 시설 등을 설치하였으며, 1977년에 공군 부대가 주둔하면서 설치하였던 철조망도 철거하였다. 철조망 자리에는 5000m2 규모의 자연 학습장을 조성하였다. 또한 구로구 오류2동과 개봉2, 3동을 잇는 순환등산로(1650m)에는 때죽나무, 복자기나무 등 수십 종의 나무를 식재하였다.[1][2]
4. 2. 이용 현황
1997년 개웅산 근린공원 조성 계획 수립 후 2006년 5월 1차 공원 사업이 마무리되면서 15000m2 면적에 팔각정, 배드민턴장, 휴게 및 운동 시설, 등산로가 조성되었다. 연간 10만여 명의 시민들이 개웅산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용객 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1][2]구로구는 개웅산 근린공원이 인근 금천·영등포·광명·부천 시민들에게도 사랑받자 2008년 3월 2차 사업에 착수하였다. 이를 통해 42000m2 면적에 자연 학습장, 순환 등산로, 광장, 체육 및 휴게 시설을 설치하고, 1977년 공군 부대 주둔으로 설치되었던 철조망을 철거하였다. 철조망 자리에는 5000m2 규모의 자연 학습장이 조성되었다. 오류2동과 개봉2·3동을 잇는 순환등산로(1650m)에는 때죽나무, 복자기나무 등 수십 종의 나무가 심어졌다. 구로구는 매월 둘째, 넷째 주 토요일에 개웅산의 문화, 역사, 자연 생태 탐방 프로그램인 '숲속 여행'을 운영하고 있다.[1][2]
4. 3. 숲속 여행 프로그램
구로구 오류동과 개봉동 경계에 있는 개웅산은 天神|천신중국어마을 뒷산이다. 1997년 개웅산 근린공원 조성 계획 수립 후, 2006년 5월 1차 공원 사업이 완료되어 팔각정, 배드민턴장, 휴게 및 운동 시설, 등산로 등이 조성되었다.[1] 연간 10만여 명의 시민들이 이용하며, 이용객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2008년 3월, 구로구는 개웅산 근린공원 2차 사업을 통해 자연 학습장, 순환 등산로, 광장, 체육 및 휴게 시설 등을 추가 조성하고, 1977년 공군 부대 주둔으로 설치되었던 철조망을 철거하였다.[1] 철조망 자리에는 5000m2 규모의 자연 학습장이 조성되었고, 오류2동과 개봉2, 3동을 잇는 순환등산로(1650m)에는 때죽나무, 복자기나무 등 다양한 수종이 식재되었다.[1]
구로구에서는 매월 둘째, 넷째 주 토요일마다 개웅산의 문화, 역사, 자연 생태를 탐방할 수 있는 숲속 여행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2]
참조
[1]
서적
구로구지
구로구지편찬위원회
1997
[2]
웹사이트
한국관광공사 관광명소안내 참조
http://korean.visitk[...]
[3]
뉴스
숲속여행 프로그램 운영... 구로구, 개웅산ㆍ매봉산 체험
http://www.siminilbo[...]
시민일보
2009-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