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줄덩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줄덩굴(Carduus acanthoides)은 높이가 2m 이상 자랄 수 있는 잡초로, 줄기와 잎에 가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잎은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고, 여름과 초가을에 보라색 또는 분홍색 관상화가 핀다. 원산지는 유라시아 지역이며, 북아메리카를 포함한 여러 지역에 유입되어 유해 잡초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북아메리카 토종 벌에게는 유익한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의 식물상 - 루콜라
루콜라는 이탈리아 요리에 주로 사용되는 향미 채소로, 볶은 참깨와 비슷한 풍미와 매운맛이 특징이며, 샐러드, 피자 토핑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칼슘, 철분 등 영양소가 풍부하며, 한해살이풀로 재배가 용이하다. - 이집트의 식물상 - 시리아오레가노
시리아오레가노는 중동 원산의 1미터 높이 식물로, 자타르 혼합물에 사용되는 허브이며 레반트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채집되었으나 현재는 보호 법률로 채취가 제한되어 재배되고, 레바논에서는 말린 잎을 민간 요법으로 사용한다. - 아시아의 식물상 - 쇠뜨기
쇠뜨기는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어린 순은 식용 가능하고 이뇨 작용 효능이 있으며, 영양줄기와 생식줄기로 나뉘고 꽃 대신 포자로 번식하며, 전 세계에 분포하지만 강한 번식력으로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하고, 약용 및 산업적으로 활용되나 과다 섭취 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아시아의 식물상 - 아이비
아이비는 담쟁이덩굴속 상록수 덩굴 식물의 총칭으로, 특히 헤데라 헬릭스는 유럽과 서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관상용으로 재배되지만 침입종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약용으로도 쓰인다.
개줄덩굴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군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목 | 국화군 |
목 | 국화목 |
과 | 국화과 |
아과 | 엉겅퀴아과 |
족 | 지느러미엉겅퀴족 |
속 | 지느러미엉겅퀴속 |
종 | 개줄덩굴 |
학명 | Carduus acanthoides |
학명 명명자 | (L.) |
2. 특징
''개줄덩굴''(''Carduus acanthoides'')은 프랑스, 이탈리아, 터키 서부, 러시아, 카자흐스탄을 거쳐 중국까지 이르는 지역이 원산지이다.[1] 원산지에서는 개방된 초원이나 교란된 지역에서 자란다.
이 식물은 북아메리카의 여러 지역으로 널리 유입되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유해 잡초 또는 침입종으로 여겨진다. 캘리포니아 식량 농업부는 개줄덩굴 개체군 확산을 막기 위해 적극적인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개줄덩굴은 씨앗을 통해 번식하는데, 식물 한 개체당 약 1,000개의 씨앗을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북아메리카 토종 벌에게 유익한 영향을 준다는 보고도 있다.[2]
[1]
간행물
2018-01-16
개줄덩굴(''Carduus acanthoides'')은 키가 2m 이상으로 자랄 수 있으며, 잡초 군락을 형성하기도 한다. 줄기와 잎에는 가시가 있으며 때로는 솜털이 있다. 종명 ''acanthoides''는 가시가 있는 잎을 의미한다. 이 식물은 땅에 붙어 방사상으로 자라는 로제트에서 시작하여, 곧게 서는 줄기를 올리는데, 줄기에는 톱니 모양의 주름지고 가시가 있는 잎이 달린다. 잎 길이는 약 10.16cm에서 약 20.32cm 정도이며, 잎몸이 깊게 갈라지거나 깃털 모양으로 갈라진 가장자리를 갖는다. 잎 뒷면에는 다소 털이 있다.
줄기 각 가지 끝에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꽃차례가 달리는데, 각 꽃차례는 둥글고 가시가 있는 총포로 덮여 있으며, 많은 실 모양의 자주색 또는 분홍색 관상화를 맺는다. 각 꽃차례의 지름은 약 약 1.27cm에서 약 2.54cm 정도이다. 여름부터 초가을에 걸쳐 꽃을 피운다. 열매는 길이가 2mm에서 3mm 정도인 네모진 모양이며, 희미한 세로 줄무늬가 있다. 솜털 같은 관모의 길이는 11mm에서 13mm 정도이다. 꽃이 피고 씨앗을 맺으면 식물은 죽는다.
3. 분포 및 서식지
이 식물은 북아메리카의 여러 지역으로 널리 유입되었으며, 이곳에서는 연간 초원, 길가, 밭, 목초지, 교란된 지역 등에서 잡초처럼 서식한다. 북아메리카에서는 때때로 유해 잡초 또는 침입종으로 간주된다. 캘리포니아 식량 농업부는 알려진 개체군을 통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개줄덩굴은 씨앗을 통해 번식하며, 식물 하나당 약 1,000개의 씨앗을 만든다. 하지만 북아메리카 토종 벌에게는 유익한 영향을 주기도 한다.[2]
미국 내 분포를 보면, 1962년 시카고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나 1985년 이후로는 관찰되지 않았다. 미시간주와 위스콘신주에서는 잔존 자연 지역과 같은 토착 서식지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주로 철도 부지, 길가, 농장처럼 교란의 역사가 있는 곳에서 발견된다.
4. 유해성 및 관리
미국 내에서는 1962년 시카고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었지만 1985년 이후로는 관찰되지 않았다. 미시간과 위스콘신 주에서는 자연 상태의 서식지보다는 주로 철도 부지, 길가, 농장과 같이 사람의 활동으로 인해 교란된 지역에서 발견되는 경향이 있다.
참조
[2]
논문
Pollinator floral provisioning by a plant invader: quantifying beneficial effects of detrimental species
https://www.jstor.or[...]
2022-08-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