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풍군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풍군은 1945년 광복 당시 경기도에 속해 있었으나, 38선 분할 점령으로 인해 분단되었다. 한국 전쟁과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을 거치면서 현재는 한반도 군사 분계선 이북 지역에 위치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속해 있다. 1945년 당시 개풍군은 14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미수복 시군 - 개성시 (대한민국)
개성시는 황해북도에 위치한 도시로, 1950년 6월 기준 동부, 서부, 남부, 북부 4개의 행정동으로 나뉘어 여러 법정동을 관할했다. - 경기도의 미수복 시군 - 장단군 (대한민국)
장단군은 한국 전쟁 이전 경기도에 속했던 군으로, 분단과 한국 전쟁을 거치며 남북으로 나뉘어 폐지되었고, 현재 일부 지역은 파주시와 연천군에서, 분계선 이북 지역은 북한 장풍군에서 관할하며 장단콩이 특산물이다. - 1953년 폐지 - 광장동
광장동은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위치하며, 아차산과 한강에 인접하고 워커힐 쉐라톤 호텔, AX홀 등 다양한 시설과 서울 지하철 5호선 광나루역이 있는 지역이다. - 1953년 폐지 - 구의동
구의동은 서울 광진구에 위치하며 아차산 기슭에서 한강까지 이르는 지형적 특징을 가진 동으로, 아파트 단지와 재개발 사업을 통해 주거 환경이 변화했고, 한국 근대 정수 기술의 역사를 보여주는 서울 구의정수장이 위치해 있다.
개풍군 (대한민국) | |
---|---|
개풍군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개풍군 |
한자 표기 | 開豊郡 |
로마자 표기 | Gaepung-gun |
약칭 | 개풍 |
유형 | 군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경기도 |
지방 관청 | 이북5도위원회 |
군수 | 김상중 |
면적 | 744.6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
UTC | +09:00 |
공용어 | 한국어 |
지역어 | 경기 방언 |
행정 구역 | |
면 | 14 |
2. 역사
1945년 9월 2일에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38선 이남에 있던 경기도 개풍군 서면·남면·청교면·봉동면·광덕면·상도면·대성면·중면·흥교면·임한면 전부, 토성면 대부분, 북면·영남면 일부가 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 관할 아래, 38선 이북에 있던 영북면 전부, 북면·영남면 대부분, 토성면 일부분이 소비에트 민정청 관할 아래 들어갔다. 이어 1945년 11월 4일에는 북면의 38선 이남 지역이 토성면에, 영남면의 38선 이남 지역이 장단군 진서면에 각각 편입되었다. 소비에트 민정청에서 관할하던 38선 이북의 개풍군 영남면·영북면·북면과 장단군 대강면·강상면·대남면·소남면·장도면은 황해도 장풍군으로 통합되었는데, 개풍군 토성면은 영남면에 편입되었다.
1952년 12월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군면리 대폐합을 통해 행정 구역을 개편하면서 황해도 장풍군과 개풍군 전체(6.25 전쟁을 통해 점령한 38선 이남의 개풍군 지역 포함)가 판문군과 개풍군이 되었다. 19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에 따라 개풍군 전역이 한반도 군사 분계선 이북 지역이 되었다.
2. 1. 광복 이전
1945년 9월 2일에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38선 이남에 있던 경기도 개풍군 서면·남면·청교면·봉동면·광덕면·상도면·대성면·중면·흥교면·임한면 전부, 토성면 대부분, 북면·영남면 일부가 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 관할 아래, 38선 이북에 있던 영북면 전부, 북면·영남면 대부분, 토성면 일부분이 소비에트 민정청 관할 아래 들어갔다. 이어 1945년 11월 4일에는 북면의 38선 이남 지역이 토성면에, 영남면의 38선 이남 지역이 장단군 진서면에 각각 편입되었다. 소비에트 민정청에서 관할하던 38선 이북의 개풍군 영남면·영북면·북면과 장단군 대강면·강상면·대남면·소남면·장도면은 황해도 장풍군으로 통합되었는데, 개풍군 토성면은 영남면에 편입되었다.1952년 12월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군면리 대폐합을 통해 행정 구역을 개편하면서 황해도 장풍군과 개풍군 전체(6.25 전쟁을 통해 점령한 38선 이남의 개풍군 지역 포함)가 판문군과 개풍군이 되었다. 19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에 따라 개풍군 전역이 한반도 군사 분계선 이북 지역이 되었다.
2. 2. 광복과 분단
1945년 9월 2일에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38선 이남에 있던 경기도 개풍군 서면·남면·청교면·봉동면·광덕면·상도면·대성면·중면·흥교면·임한면 전부, 토성면 대부분, 북면·영남면 일부가 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 관할 아래, 38선 이북에 있던 영북면 전부, 북면·영남면 대부분, 토성면 일부분이 소비에트 민정청 관할 아래 들어갔다. 1945년 11월 4일에는 북면의 38선 이남 지역이 토성면에, 영남면의 38선 이남 지역이 장단군 진서면에 각각 편입되었다. 소비에트 민정청에서 관할하던 38선 이북의 개풍군 영남면·영북면·북면과 장단군 대강면·강상면·대남면·소남면·장도면은 황해도 장풍군으로 통합되었는데, 개풍군 토성면은 영남면에 편입되었다.1952년 12월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군면리 대폐합을 통해 행정 구역을 개편하면서 황해도 장풍군과 개풍군 전체(6.25 전쟁을 통해 점령한 38선 이남의 개풍군 지역 포함)가 판문군과 개풍군이 되었다. 19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에 따라 개풍군 전역이 한반도 군사 분계선 이북 지역이 되었다.
2. 3. 한국 전쟁과 휴전
1945년 9월 2일에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38선 이남에 있던 경기도 개풍군 서면·남면·청교면·봉동면·광덕면·상도면·대성면·중면·흥교면·임한면 전부, 토성면 대부분, 북면·영남면 일부가 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 관할 아래, 38선 이북에 있던 영북면 전부, 북면·영남면 대부분, 토성면 일부분이 소비에트 민정청 관할 아래 들어갔다. 이어 1945년 11월 4일에는 북면의 38선 이남 지역이 토성면에, 영남면의 38선 이남 지역이 장단군 진서면에 각각 편입되었다. 소비에트 민정청에서 관할하던 38선 이북의 개풍군 영남면·영북면·북면과 장단군 대강면·강상면·대남면·소남면·장도면은 황해도 장풍군으로 통합되었는데, 개풍군 토성면은 영남면에 편입되었다.19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에 따라 개풍군 전역이 한반도 군사 분계선 이북 지역이 되었다. 1952년 12월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군면리 대폐합을 통해 행정 구역을 개편하면서 황해도 장풍군과 개풍군 전체(6.25 전쟁을 통해 점령한 38선 이남의 개풍군 지역 포함)가 판문군과 개풍군이 되었다.
2. 4. 대한민국 수복지구
1945년 9월 2일에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38선 이남에 있던 경기도 개풍군 서면·남면·청교면·봉동면·광덕면·상도면·대성면·중면·흥교면·임한면 전부, 토성면 대부분, 북면·영남면 일부가 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 관할 아래 들어갔다. 1945년 11월 4일에는 북면의 38선 이남 지역이 토성면에, 영남면의 38선 이남 지역이 장단군 진서면에 각각 편입되었다.19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에 따라 개풍군 전역이 한반도 군사 분계선 이북 지역이 되었다.
3. 행정 구역 (1945년 광복 당시)
1945년 광복 당시 개풍군은 14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면적은 km2로 표시한다.
읍면 | 면적(km2) | 리 수 |
---|---|---|
광덕면(光德面) | 30.59 | 5 |
남면(南面) | 44.75 | 9 |
대성면(大聖面) | 39.71 | 8 |
봉동면(鳳東面) | 60.37 | 8 |
북면(北面) | 71.12 | 6 |
상도면(上道面) | 36.75 | 6 |
서면(西面) | 29.17 | 5 |
영남면(嶺南面) | 96.39 | 6 |
영북면(嶺北面) | 84.32 | 4 |
임한면(臨漢面) | 48.82 | 8 |
중면(中面) | 50.56 | 7 |
청교면(靑郊面) | 46.52 | 6 |
토성면(土城面) | 63.64 | 5 |
흥교면(興敎面) | 41.97 | 7 |
각 면에 속한 리(里)는 다음과 같다.
- 광덕면(光德面): '''고척'''(高尺) 중련(中連) 광덕(光德) 황강(黃江) 사분(寺盆)
- 남면(南面): '''신'''(新) 군은(軍隱) 창릉(昌陵) 후석(候石) 율응(栗鷹) 조제(照濟) 옥산(玉山) 장산(狀山) 수우(修隅)
- 대성면(大聖面): '''풍덕'''(豊德) 대성(大聖) 신죽(新竹) 구읍(舊邑) 지내(池內) 산귀(山歸) 고군(古郡) 삼달(三達)
- 봉동면(鳳東面): '''봉동'''(鳳東) 대조족(大鳥足) 백전(白田) 발송(鉢松) 고두산(高頭山) 흥왕(興旺) 지금(芝金) 도평(都平)
- 북면(北面): '''여현'''(礪峴) 일삼소(一三所) 이소(二所) 용현(龍峴) 가토미(加土尾) 식포(食浦)
- 상도면(上道面): '''풍천'''(楓川) 삼인(三仁) 상도(上道) 양사(羊司) 연동(蓮洞) 대릉(大陵)
- 서면(西面): '''광정'''(光井) 연산(蓮山) 강(江) 개성(開城) 전포(錢浦)
- 영남면(嶺南面): '''용흥'''(龍興) 소릉(昭陵) 반정(伴程) 심천(深川) 현화(玄化) 대원(大院)
- 영북면(嶺北面): '''길수'''(吉水) 길상(吉祥) 고덕(古德) 월고(月古)
- 임한면(臨漢面): '''월암'''(月巖) 사동(仕洞) 채련(採蓮) 가정(佳井) 정곶(丁串) 유천(柳川) 상조강(上祖江) 하조강(下祖江)
- 중면(中面): '''대룡'''(大龍) 식현(食峴) 덕수(德水) 송산(松山) 천덕(天德) 창내(倉內) 동강(東江)
- 청교면(靑郊面): '''양릉'''(陽陵) 탄동(炭洞) 배야(排也) 유릉(裕陵) 광답(廣畓) 묵송(墨松)
- 토성면(土城面): '''토성'''(土城) 여릉(麗陵) 곡령(鵠嶺) 연하(煙霞) 관전(館前)
- 흥교면(興敎面): '''흥천'''(興天) 흥교(興敎) 궁천(宮川) 사곡(仕谷) 지현(芝峴) 조문(照門) 영정(領井)
4. 지리
4. 1. 인접 지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