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개구리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북개구리과는 개구리목에 속하는 과로, 독특한 형태의 부모의 보살핌과 다양한 서식 환경 적응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과의 일부 종은 새끼를 위에서 키우거나, 몸에 주머니를 만들어 올챙이를 보호하며, 수컷이 알을 보호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육아를 한다. 거북개구리과에는 거북개구리아과, 위개구리아과, 개구리붙이아과 등이 있으며, 약 20속 130종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북개구리과 - 어금니개구리
어금니개구리는 호주에 서식하는 개구리 종으로, 암컷이 수컷보다 작고 수컷은 아래턱에 엄니와 유사한 돌출부를 가지며 댐, 도랑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고,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 헤르만 슐레겔이 명명한 분류군 - 도마뱀붙이
도마뱀붙이는 발가락 밑판으로 수직면을 이동하는 몸길이 10~14cm의 야행성 파충류로, 한국, 일본, 중국 동부 등에 분포하며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고, 곤충을 먹으며 민가 주변에 서식하고, 길조 또는 불쾌한 생물로 여겨지거나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 헤르만 슐레겔이 명명한 분류군 - 멸치
멸치는 청어목 멸치과의 바닷물고기로, 10~20cm 정도 크기에 푸른 회색 등과 은백색 배를 가지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칼슘이 풍부하며 어획량이 많아 낚시 미끼나 비료로도 사용된다.
거북개구리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포 | |
![]() | |
분류 정보 | |
학명 | Myobatrachidae |
명명자 | Schlegel, 1850 |
이명 | Uperoliidae Günther, 1858 Criniae Cope, 1866 Rheobatrachidae Heyer & Liem, 1976 |
아과 | 본문 참조 |
생물학적 특징 | |
크기 | 1.5cm ~ 12cm |
화석 기록 | 올리고세 후기 – 현생 |
![]() |
2. 특징
거북개구리과는 독특한 부모의 보살핌 방식으로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위 품는 개구리(속: ''Rheobatrachus'')는 암컷이 위 속에서 새끼를 키우고, 주머니개구리(''Assa darlingtoni'')는 수컷이 몸 옆 주머니에서 올챙이를 보호한다.[1][3] 일부 늪개구리속(''Limnodynastes'') 종은 수컷이 알 근처 땅속에서 알을 지키기도 한다.[1][3]
또한, 많은 종이 땅을 파는 습성을 통해 반건조 또는 계절성 건조 환경에 적응했다.[1][3] 특히 거북개구리와 모래언덕개구리는 땅속 습한 모래에 알을 낳으며, 올챙이 단계를 거치지 않는 직접 발생을 한다.[1][3]
형태적으로는 청개구리와 달리 발가락 끝에 부착용 원반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1][3]
이 과는 주로 알 낳는 습성에 따라 아과로 나뉜다. Limnodynastinae 아과(늪개구리아과)는 암컷이 피부 분비물로 거품 둥지를 만들고, Rheobatrachinae 아과는 위 품는 개구리 두 종을 포함하며, 나머지는 Myobatrachinae 아과에 속한다.[1]
2. 1. 육아 방식
거북개구리과에서는 동물계에서 독특한 형태의 부모의 보살핌이 나타난다. 대표적으로 위 품는 개구리(속: ''Rheobatrachus'') 두 종이 있는데, 이 종의 암컷은 새끼를 삼켜 위 속에서 변태할 때까지 키운다. 또한 주머니개구리(''Assa darlingtoni'')는 수컷이 알을 부화할 때까지 지키고, 부화한 올챙이를 몸 옆에 있는 주머니에 넣어 변태할 때까지 보호한다.[1][3]이 과에 특유한 방식은 아니지만, 늪개구리속(''Limnodynastes'')의 많은 종에서는 수컷이 알 덩어리 근처의 땅속에 몸을 숨기고 알을 보호하는 행동을 보인다.[1][3]
많은 종은 땅을 파는 습성을 지녀 반건조 또는 계절적으로 건조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3] 특히 거북개구리와 모래언덕개구리는 물속이 아닌, 땅속 깊은 곳의 습한 모래에 직접 알을 낳는 방식으로 진화했다. 이 종들은 올챙이 단계를 거치지 않고 알에서 바로 작은 개구리가 부화하는 직접 발생을 한다.[1][3]
이 개구리들은 청개구리와 달리 발가락 끝에 부착성 원반이 없다.[1][3] 거북개구리과는 주로 알을 낳는 습성에 따라 아과로 나뉘는데, Limnodynastinae 아과(늪개구리아과)에 속하는 종들은 거품 둥지를 만든다. 암컷은 피부에서 분비되는 화학 물질을 손으로 저어 거품을 만들며, 이 거품 둥지는 물 위에 뜨거나 땅 위에 놓인다. 위 품는 개구리 두 종은 Rheobatrachinae 아과에 속하고, 나머지 종들은 Myobatrachinae 아과에 포함된다.[1][3]
2. 2. 서식 환경
많은 종이 땅을 파는 습성을 지녀 반건조 또는 계절적으로 건조한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적응했다.[1][3] 특히 거북개구리와 모래언덕개구리는 물이 아닌 땅속 깊은 곳의 습한 모래에 직접 알을 낳는 독특한 방식으로 진화했다.[1][3] 이들의 알은 올챙이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작은 개구리로 부화하는 직접 발생을 한다.[1][3] 또한, 거북개구리과 개구리들은 청개구리 등 나무 위 생활을 하는 종들과 달리 발가락 끝에 부착을 위한 빨판(원반)이 없다.2. 3. 형태
거북개구리과 개구리들은 청개구리 등에서 볼 수 있는 부착성 발가락 원반이 없다. 많은 종이 땅을 파는 데 적응하여 반건조 또는 계절적으로 건조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1][3] 특히 거북개구리와 모래언덕개구리는 물이 아닌 습한 모래 속에 직접 알을 낳으며, 올챙이 단계를 거치지 않고 알에서 바로 작은 개구리가 부화하는 방식으로 진화했다.[1][3]이 과에서는 독특한 형태의 부모의 보살핌이 나타난다. 위 품는 개구리(속: ''Rheobatrachus'') 두 종은 암컷이 새끼를 삼켜 위 속에서 변태할 때까지 키운다.[1][3] 주머니개구리( ''Assa darlingtoni'')는 수컷이 부화한 올챙이를 몸 옆의 주머니에 넣어 변태할 때까지 보호한다.[1][3] 또한, 많은 늪개구리속( ''Limnodynastes'') 종에서는 수컷이 알 덩어리 근처 땅속에 머물며 알을 보호한다.[1][3]
거북개구리과는 주로 알 낳는 습성에 따라 아과로 나뉜다. Limnodynastinae 아과에 속하는 종들은 암컷이 피부 분비물을 손으로 저어 거품 둥지를 만들어 알을 낳는다. 이 거품 둥지는 물 위에 뜨거나 땅에 있을 수 있다. Rheobatrachinae 아과는 위 품는 개구리 두 종을 포함하며, 나머지는 Myobatrachinae 아과에 속한다.[1][3]
3. 하위 분류
거북개구리과에 속하는 속들은 분류학적 관점에 따라 다르게 분류된다.[2] 일부 학자들은 거북개구리과를 거북개구리아과 (Myobatrachinae)와 위개구리아과 (Rheobatrachinae)의 두 아과로 나누기도 한다. 다른 분류 체계에서는 늪개구리아과 (Limnodynastinae)를 거북개구리과의 아과로 포함시키기도 한다.
현재 거북개구리과에는 약 20속 130여 종이 속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때로는 각 아과를 독립된 과로 승격시켜 분류하기도 한다. 속의 한국어 명칭은 참고 문헌에 따른다.[5] 하위 아과 및 속 목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을 참고하라.
3. 1. 늪개구리아과 (Limnodynastinae)
늪개구리아과는 다음 속을 포함한다.[5]학명 | 한국어 속명 | 영어 일반명 | 종 수 |
---|---|---|---|
Notaden | 가톨릭개구리속 | Australian spadefoot toads | 4종 |
Neobatrachus | 구멍파는개구리속 | Stubby frogs | 10종 |
Platyplectrum | Burrowing frogs | 2종 | |
Lechriodus | 레크리오두스속 | Cannibal frogs | 4종 |
Heleioporus | 구멍개구리속 | Giant burrowing frogs | 6종 |
Adelotus | 송곳니개구리속 | Tusked frog | 1종 (Adelotus brevis) |
Philoria | 바우바우개구리속 | Baw Baw frogs | 6종 |
Limnodynastes | 누마치가엘속 | Australian swamp frogs | 11종 |
Mixophyes | 줄무늬개구리속 | Barred frogs | 8종 |
3. 2. 거북개구리아과 (Myobatrachinae)
종 | 일반명칭 | 속 |
---|---|---|
4 | 서부 땅개구리 | Anstisia (Webster and Bool, 2022) |
2 | 호주 덤피 개구리 | Arenophryne (Tyler, 1976) |
2 | 주머니개구리 | Assa (Tyler, 1972) |
17 | 호주 땅개구리 | Crinia (Tschudi, 1838) |
3 | 땅개구리 | Geocrinia (Blake, 1973) |
1 | 니콜스두꺼비 | Metacrinia (Parker, 1940) |
9 | 가로줄개구리 | Mixophyes (Günther, 1864) |
1 | 거북개구리 | Myobatrachus (Schlegel In Gray, 1850) |
1 | 해스웰 개구리 | Paracrinia (Heyer & Liem, 1976) |
13 | 왕관두꺼비 | Pseudophryne (Fitzinger, 1843) |
2 | 위 육아 개구리 | †Rheobatrachus (Liem, 1973) |
1 | 선셋 개구리 | Spicospina (Roberts et al., 1997) |
6 | 호주 급류 개구리 | Taudactylus (Straughan & Lee, 1966) |
29 | 호주 두꺼비 | Uperoleia (Gray, 1841) |
4. 계통 분류
2014년 연구에 따르면, 개구리목 내에서 거북개구리과의 계통 분류상 위치는 다음과 같다.[7][8] 거북개구리과는 신와아목에 속하며, 이 아목 내에서 유령개구리과, 돼지코개구리과, 세이셸개구리과 등과 단계적으로 분기한 후, 칼립토케팔렐라과와 먼저 나뉘고, 최종적으로 림노디나스테스과와 가장 가까운 자매군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8]
거북개구리과 내부의 계통 관계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6] 거북개구리과는 크게 두 아과, 즉 늪개구리아과와 거북개구리아과로 나뉜다.
- 늪개구리아과 (Limnodynastinae): 이 아과에는 ''Notaden'', 땅굴개구리속(''Heleioporus''), ''Platyplectrum'', ''Lechriodus'', 개구리울음개구리속(''Limnodynastes''), ''Adelotus brevis'', ''Philoria'', 늪개구리속(''Neobatrachus'') 등이 포함된다.[6]
- 거북개구리아과 (Myobatrachinae): 이 아과에는 주머니개구리속(''Assa''), ''Mixophyes'', 계류개구리속(''Taudactylus''), ''Spicospina flammocaerulea'', ''Uperoleia'', ''Pseudophryne'', ''Metacrinia nichollsi'', 거북개구리(''Myobatrachus''), 모래개구리(''Arenophryne''), ''Paracrinia haswelli'', ''Geocrinia'', 주머니개구리(''Rheobatrachus''), ''Crinia'' 등이 속한다.[6]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Reptiles and Amphibians
Academic Press
[2]
웹사이트
Myobatrachidae Schlegel, 1850 {{!}} Amphibian Species of the World
https://amphibiansof[...]
2022-04-15
[3]
서적
Encyclopedia of Reptiles and Amphibians
Academic Press
[4]
웹사이트
Myobatrachidae in Amphibiaweb
http://amphibiaweb.o[...]
2015-04-03
[5]
간행물
両生類の核型進化 (III): カエル目 (上)(無尾類, Order Anura)
[6]
간행물
A large-scale phylogeny of Amphibia including over 2800 species, and a revised classification of extant frogs, salamanders, and caecilians
[7]
저널
Phylogenetic view of Amphibia
http://www.amphibiaw[...]
[8]
저널
The first endemic West African vertebrate family . a new anuran family highlighting the uniqueness of the Upper Guinean biodiversity hotspot
http://www.fronti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