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겉보기등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겉보기 등급은 천문학에서 관측자가 보기에 천체의 밝기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헬레니즘 시대에 6등급으로 시작하여, 1등급이 가장 밝고 6등급이 가장 희미한 별로 분류되었다. 19세기 중반, 포그슨은 1등급 별이 6등급 별보다 100배 밝다는 것을 공식화하여 로그 척도를 도입했으며, 현재 m등급의 별은 m+1등급의 별보다 약 2.512배 더 밝다는 것을 의미한다. 겉보기 등급은 정밀한 측정을 위해 보정 과정을 거치며, 절대 등급과 겉보기 등급 사이에는 거리에 따른 관계가 존재한다. 태양, 달, 행성 등 다양한 천체의 겉보기 등급이 목록으로 제시되어 있다.

2. 역사

겉보기 등급 체계는 헬레니즘 시대의 관행에서 유래되었다. 당시에는 육안으로 보이는 별들을 6개의 등급으로 나누었다.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은 1등급(m=1)으로, 가장 희미한 별은 6등급(m=6)으로 정했는데, 이는 망원경 없이 사람의 시각으로 볼 수 있는 한계였다.[7] 각 등급은 다음 등급보다 두 배 밝다고 생각했지만, 광검출기가 없었기 때문에 그 비율은 주관적이었다. 이 별의 밝기 척도는 프톨레마이오스가 그의 ''알마게스트''에서 대중화했으며, 일반적으로 히파르코스가 처음 고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히파르코스의 원래 별 목록은 사라져서 이를 증명하거나 반증할 수 없다. 히파르코스가 직접 쓴 유일하게 보존된 텍스트(아라투스에 대한 해설)에 따르면, 그는 "크다", "작다", "밝다", "희미하다"와 같이 밝기를 숫자로 나타내는 체계를 사용하지 않았다.[7]

1856년, 노먼 로버트 포그슨은 1등급 별이 6등급 별보다 100배 밝다고 정의하여 현재 사용되는 로그 척도를 확립했다.[8] 이는 m 등급의 별이 m+1 등급의 별보다 약 2.512배 더 밝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수치는 100의 다섯제곱근으로, 포그슨의 비율로 알려지게 되었다.[8][9]

등급의 기준은 관측 기술 발전에 따라 변화했다. 1884년 에드워드 피커링은 작은곰자리 α별(북극성)을 2.0등급으로 정했지만,[11] 북극성이 변광성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작은곰자리 λ별을 6.5등급으로 재정의하고 북극 표준성단을 관측했다. 1922년 제1회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는 북극 표준성단의 96개 별의 국제 사진 등급과 국제 사진 실시 등급을 등급의 원점으로 삼았다.

1953년, 할로웰 레스터 존슨은 UBV 시스템에서 등급의 원점을 다시 정의했다. UBV 시스템은 자외선(U), 청색(B), 실시(V) 3색 필터를 사용한다. 존슨은 북극 표준성단의 6개 항성의 국제 사진 실시 등급을 V등급의 원점으로 하고, 거문고자리 α별(베가) 등 A0V 스펙트럼을 갖는 6개 별의 평균 U-B, B-V를 0으로 하여 U등급과 B등급을 정했다.

베가의 스펙트럼 에너지 분포(SED)를 기반으로 등급과 복사속 밀도의 관계가 정해졌고, 이를 '''베가 등급'''이라고 부른다. 실제 베가의 겉보기 등급은 0등급에서 약간 벗어나 있다. 베가 등급은 베가의 SED를 반영하므로, 서로 다른 파장대에서 광도를 비교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각 파장대에서 일정한 복사속 밀도를 기준으로 하는 '''AB 등급'''이 고안되었다.

2. 1. 헬레니즘 시대

등급 척도는 헬레니즘 시대의 관습에서 유래되었는데,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별을 6개의 등급으로 나누었다.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은 1등급, 가장 희미한 별은 6등급으로 정해졌으며, 6등급은 망원경 없이 인간의 시각으로 볼 수 있는 한계였다.[7] 각 등급은 다음 등급 밝기의 두 배로 간주되었으나, 당시에는 광검출기가 없었기 때문에 주관적이었다.[7]

이러한 별의 밝기 척도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에서 널리 퍼졌으며, 히파르코스가 기원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7] 그러나 히파르코스의 원래 성표는 유실되어 이를 증명하거나 반증할 수 없다. 히파르코스가 남긴 유일한 텍스트(아라토스의 주석)에 따르면, 그는 "크다", "작다", "밝다", "희미하다" 등의 표현을 사용했으며, 밝기를 숫자로 나타내는 체계는 없었다.[7]

2. 2. 포그슨의 정량화

1856년 노먼 로버트 포그슨은 1등급 별이 6등급 별보다 정확히 100배 밝다고 정의하여, 현재 사용되는 로그 척도를 확립했다.[8] 포그슨은 $m$ 등급의 별이 $m+1$ 등급의 별보다 $^5\sqrt{100}$배(약 2.512배) 더 밝은 시스템을 구축했다.[8][9] 100의 5제곱근인 이 비율은 "포그슨의 비율"로 알려져 있다.[8]

두 별의 겉보기 등급을 $m_1$, $m_2$, 겉보기 밝기를 $l_1$, $l_2$라고 할 때, 두 별의 등급 차이와 밝기 비율은 "포그슨의 식"으로 불리는 다음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m_2 - m_1 = -2.5 \log_{10} (l_2 / l_1)

포그슨의 방정식으로 천체의 밝기를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게 되었지만, 각 천체의 등급을 정하려면 기준이 필요했다. 등급의 기준은 관측 기술 발전에 따라 변화했다.

1884년 에드워드 피커링은 작은곰자리 α별(북극성)을 2.0등급으로 정하고 천체 밝기의 기준으로 삼았다. 그러나 북극성이 미세하게 변광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작은곰자리 λ별을 6.5등급으로 재정의하고, 여러 북극 표준성단의 어두운 별을 관측했다. 1922년 제1회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는 북극 표준성단의 96개 별의 국제 사진 등급 (IPg)과 국제 사진 실시 등급 (IPv)을 정해 기준으로 삼았다. 이를 국제식 PgPv 시스템이라고 한다.

1953년, 할로웰 레스터 존슨은 북극 표준성단의 항성이 성간 물질에 의한 적색화를 겪는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UBV 시스템에서 등급의 기준을 다시 정의했다. U는 자외선 영역(U: ultraviolet), B는 청색 영역(B: blue), V는 실시 영역(V: visual)을 의미하며, 이 3색 필터를 사용하여 등급을 평가한다.

  • 북극 표준성단의 6개 항성의 국제 사진 실시 등급을 V등급의 기준으로 한다.
  • U등급과 B등급은 A0V 스펙트럼을 갖는 거문고자리 α별(베가), 큰곰자리 γ별, 처녀자리 109별, 북쪽왕관자리 α별, 뱀주인자리 γ별, HR 3314의 6개 별의 평균 U − B, B − V를 0으로 하여 (즉 U = B = V로 하여) 정한다.


각 파장의 0등급이 어느 정도의 복사속 밀도에 해당하는지는 별의 스펙트럼 에너지 분포 (SED)를 측정하여 결정한다. 베가는 가장 정밀하게 SED가 측정되었기 때문에, 베가의 SED를 기반으로 등급과 복사속 밀도의 관계가 정해졌다. 이러한 배경으로 '''베가 등급'''이라는 통칭으로 불린다. 실제 베가의 겉보기 등급은 U = 0.02등급, B = 0.03등급, V = 0.03등급으로, 0등급에서 약간 벗어난 값이다.

베가 등급은 베가의 SED를 반영하므로, 서로 다른 파장대에서의 광도를 비교하기 불편했다. 그래서 특정 천체의 SED가 아닌, 각 파장대에서 일정한 값의 복사속 밀도를 기준으로 하는 방식이 고안되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AB 등급''' (AB magnitude, monochromatic magnitude) 이며, 각 파장대에서 0등급에 해당하는 복사속 밀도 3630 Jy (정확히는 103.56 Jy)로 정한 것이다. AB 등급에서는 V 필터 대역에 있는 파장 548.0 nm일 때, 0.03등급으로 베가 등급과 일치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2. 3. 등급의 원점

노먼 로버트 포그슨이 1856년에 제1등급별을 제6등급별보다 100배 밝은 별로 정의하면서, 포그슨 방정식에 따라 천체의 밝기를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것이 가능해졌다.[8] 그러나 각 천체의 등급을 정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원점이 필요했다.

1884년 에드워드 피커링은 작은곰자리 α별(북극성)을 2.0등급으로 정의하여 천체의 밝기 기준으로 삼았다.[11] 그러나 작은곰자리 α별이 미세하게 밝기가 변하는 변광성이라는 사실이 알려진 후, 작은곰자리 λ별을 6.5등급으로 다시 정의하고, 북극 표준성단의 여러 어두운 별을 관측했다. 1922년 제1회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는 북극 표준성단의 96개 별의 국제 사진 등급과 국제 사진 실시 등급을 정해 등급의 원점으로 삼았다.

1953년, 할로웰 레스터 존슨은 북극 표준성단의 항성이 성간 물질에 의해 붉게 보이는 적색화 현상을 겪는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UBV 시스템에서 등급의 원점을 다시 정의했다. UBV 시스템은 자외선(U), 청색(B), 실시(V) 3색 필터를 사용하여 등급을 측정한다. 존슨은 다음과 같이 등급의 원점을 정했다.

  • 북극 표준성단의 6개 항성의 국제 사진 실시 등급을 V등급의 원점으로 한다.
  • U등급과 B등급은 거문고자리 α별(베가), 큰곰자리 γ별, 처녀자리 109별, 북쪽왕관자리 α별, 뱀주인자리 γ별, HR 3314와 같이 A0V 스펙트럼을 갖는 6개 별의 평균 U-B, B-V를 0으로 하여(즉 U=B=V) 정한다.


각 파장의 0등급이 어느 정도의 복사속 밀도에 해당하는지는 별의 스펙트럼 에너지 분포(SED)를 측정하여 결정한다. 베가는 가장 정밀하게 SED가 측정되었기 때문에, 베가의 SED를 기반으로 등급과 복사속 밀도의 관계가 정해졌다. 이러한 이유로 '''베가 등급'''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베가의 겉보기 등급이 0등급에 매우 가깝기 때문에 "베가의 겉보기 등급을 0등급으로 정한 것"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실제 베가의 겉보기 등급은 U=0.02등급, B=0.03등급, V=0.03등급으로 0등급에서 약간 벗어나 있다.

베가 등급은 베가의 SED를 반영하므로, 서로 다른 파장대에서 광도를 비교하기에는 불편했다. 그래서 특정 천체의 SED가 아닌, 각 파장대에서 일정한 값의 복사속 밀도를 원점으로 하는 방식이 고안되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AB 등급'''으로, 각 파장대에서 0등급에 해당하는 복사속 밀도를 3630 Jy로 정한 것이다. AB 등급에서는 V 필터 대역에 있는 548.0 nm 파장에서 0.03등급으로 베가 등급과 일치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3. 측정

측광 (천문학)을 이용한 겉보기 등급의 정밀한 측정에는 사진 또는 전자 감지 장치의 보정이 필요하다.[14] 이는 일반적으로 해당 스펙트럼 필터를 사용하여 등급이 정확하게 알려진 표준 별을 동일한 조건에서 동시에 관측하는 것을 포함한다.[14] 지구 대기를 통과하면서 빛의 양이 감소하므로, 대상과 보정 별의 에어매스를 고려해야 한다.[14] 대기 경로의 큰 차이를 피하기 위해 대상과 하늘에서 가까운 보정 별이 선호된다.[14] 천정각(고도)이 다를 경우, 에어매스의 함수로 보정 계수를 얻어 대상 위치의 에어매스에 적용할 수 있다.[14] 이러한 보정을 통해 겉보기 등급이 정의되는 대기 상공에서 관측되는 밝기를 얻을 수 있다.[14]

4. 계산

물체가 어둡게 보일수록 겉보기 등급의 수치는 높아지며, 5등급의 차이는 정확히 100배의 밝기 차이에 해당한다.[151] 광도 시스템의 스펙트럼 대역에서 겉보기 등급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m_{x}= -5 \log_{100} \left(\frac {F_x}{F_{x,0}}\right),

상용 로그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m_{x} = -2.5 \log_{10} \left(\frac {F_x}{F_{x,0}}\right),

여기서 는 스펙트럼 필터 를 사용하여 관측된 조도이며, 는 해당 광도 필터에 대한 기준 플럭스(영점)이다. 5등급이 증가하면 밝기는 정확히 1/100로 줄어들기 때문에, 1등급이 증가할 때마다 밝기는 \sqrt[5]{100} \approx 2.512(포그슨 비)만큼 감소한다.

위의 식을 변형하면 등급 차이 에 대한 밝기 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frac{F_2}{F_1} = 100^\frac{\Delta m}{5} = 10^{0.4 \Delta m} \approx 2.512^{\Delta m}.

4. 1. 예시: 태양과 달

태양(밝은 천체)의 겉보기 등급은 -26.74이고, 보름달(어두운 천체)의 평균 등급은 -12.74이다.

밝기 차이:

:x = m_1 - m_2 = (-12.74) - (-26.74) = 14.00.

밝기 양:

:v_b = 10^{0.4 x} = 10^{0.4 \times 14.00} \approx 398\,107.17.

따라서 태양은 보름달보다 약 400,000배 밝다.

4. 2. 등급의 가산

밝기를 더하고 싶을 때(예: 근접한 쌍성의 측광) 각 등급에 해당하는 밝기(선형 단위)를 더하여 구할 수 있다.[15]

: 10^{-m_f \times 0.4} = 10^{-m_1 \times 0.4} + 10^{-m_2 \times 0.4}.

m_f에 대해 풀면,

: m_f = -2.5\log_{10} \left(10^{-m_1 \times 0.4} + 10^{-m_2 \times 0.4} \right),

여기서 m_fm_1m_2에 의해 언급된 밝기를 더한 후의 결과 등급이다.

4. 3. 절대등급과 겉보기 등급

지구로부터 d 파섹 거리에 있는 천체의 겉보기 등급 m과 절대등급 M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110]

:

:

만약 어떤 별이 10 파섹 거리에 있다면, 이 별의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은 같아진다. 예를 들어, 10 파섹 거리에 있는 별의 겉보기 등급이 3등급이라면, 이 별의 절대 등급 역시 3등급이 된다.

5. 겉보기 등급 목록

등급
(V)대상...에서 보임참고−67.57감마선 폭발 GRB 080319B1 AU 거리지구에서 볼 때 태양보다 2경 배 이상 밝음−43.27별 NGC 2403 V141 AU 거리−41.82별 NGC 2363-V11 AU 거리−41.39별 Cygnus OB2-121 AU 거리−40.67별 M33-013406.631 AU 거리−40.17별 η 카리나 A1 AU 거리−40.07별 제타1 전갈자리1 AU 거리−39.66별 R136a11 AU 거리−39.47별 P Cygni1 AU 거리−38.00별 리겔1 AU 거리35°의 겉보기 지름을 가진 크고 매우 밝은 청색 원반으로 보임−37.42별 베텔게우스1 AU 거리−30.30별 시리우스 A1 AU 거리−29.30별 태양수성 근일점−27.40별 태양금성 근일점−26.832별 태양지구[16]평균 보름달보다 약 40만 배 밝음−25.60별 태양화성 원일점−25.00일반적인 눈이 약간의 고통을 느끼는 최소 밝기−23.00별 태양목성 원일점−21.70별 태양토성 원일점−21.00별 태양흐린 한낮의 지구약 1000 럭스 측정−20.20별 태양천왕성 원일점−19.30별 태양해왕성−19.00별 태양매우 심하게 흐린 한낮의 지구약 100 럭스 측정−18.20별 태양명왕성 원일점−17.70행성 지구에서 지구광으로 완전히 밝혀진 모습[30]−16.70별 태양에리스 원일점−16.00별 태양지구의 황혼약 10 럭스 측정[31]−14.201 럭스의 조도[32][33]−12.60보름달지구에서 근일점근지점 + 근일점 + 보름달의 최대 밝기 (~0.267 럭스; 평균 거리 값은 −12.74,[59], 대항 효과 포함 시 약 0.18 등급 더 밝음)−12.40베텔게우스 (초신성 폭발 시)지구에서 초신성 폭발 시[34]−11.20별 태양세드나 원일점−10.00혜성 이케야-세키 (1965)지구현대 시대의 가장 밝은 크로이츠 태양 관측 혜성−9.50이리듐 (위성) 플레어지구최대 밝기−9 ~ −10포보스 (위성)화성최대 밝기−7.501006년 초신성지구기록된 역사상 가장 밝은 별 현상 (7200 광년 거리)[76]−6.80알파 센타우리 A프록시마 센타우리 b[36]−6.00야간 하늘의 총 적분 등급 (공기광 포함)지구약 0.002 럭스 측정−6.001054년 게 초신성지구(6500 광년 거리)[77]−5.90국제 우주 정거장지구ISS가 근지점에 있고 태양에 의해 완전히 밝혀졌을 때[37]−4.92행성 금성지구초승달로 빛날 때 최대 밝기−4.14행성 금성지구평균 밝기−4태양이 높이 있을 때 맨눈으로 낮에 관측 가능한 가장 희미한 물체. 천체의 겉보기 등급이 −4보다 작거나 같을 때 인간 눈에 보이는 그림자를 드리움.[38]−3.99별 엡실론 큰개자리지구470만 년 전의 최대 밝기, 지난 500만 년 동안의 역사상 가장 밝은 별.[39]−3.69달지구광에 의해 빛나며, 지구에서 보이는 지구 반사광 (최대)[30]−2.98행성 금성지구금성 통과 현상 동안 최소 밝기.−2.94행성 목성지구최대 밝기−2.94행성 화성지구최대 밝기−2.5태양이 지평선 위로 10° 미만일 때 맨눈으로 낮에 보이는 가장 희미한 물체−2.50삭지구최소 밝기−2.50행성 지구화성최대 밝기−2.48행성 수성지구에서 최대 밝기 (금성과 달리 수성은 태양의 반대편에 있을 때 가장 밝음)−2.20행성 목성지구평균 밝기−1.66행성 목성지구최소 밝기−1.47별계 시리우스지구가시광선에서 태양을 제외하고 가장 밝은 별[70]−0.83별 에타 카리나지구1843년 4월 초신성 모방자로서의 겉보기 밝기−0.72별 카노푸스지구밤하늘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71]−0.55행성 토성지구충과 근일점 근처에서 고리가 지구를 향할 때 최대 밝기−0.3핼리 혜성지구2061년 통과 시 예상 겉보기 등급−0.27별계 알파 센타우리 AB지구결합 등급 (밤하늘에서 세 번째로 밝은 별)−0.04별 아크투루스지구맨눈으로 볼 수 있는 네 번째로 밝은 별[73]−0.01별 알파 센타우리 A지구밤하늘에서 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네 번째로 밝은 개별 별+0.03별 베가지구원래 영점을 정의하기 위해 선택됨[72]+0.23행성 수성지구평균 밝기+0.46별 태양알파 센타우리+0.46행성 토성지구평균 밝기+0.71행성 화성지구평균 밝기+0.90달화성최대 밝기+1.17행성 토성지구최소 밝기+1.33별 알파 센타우리 B지구+1.86행성 화성지구최소 밝기+1.98별 폴라리스지구평균 밝기[40]+3.03초신성 SN 1987A지구대마젤란 성운에서 (160,000 광년 거리)+3 ~ +4도심 지역에서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희미한 별+2별계 T CrB(노바 발생 시)지구80년마다 노바가 발생하는 별계+2.4핼리 혜성지구1986년 근지점+3.44안드로메다 은하지구M31[75]+4오리온 성운지구M42+4.38달 가니메데지구최대 밝기[64] (목성의 위성이자 태양계에서 가장 큰 달)+4.50산개 성단 M41지구아리스토텔레스가 보았을 수 있는 산개 성단[41]+4.5궁수자리 왜소 타원 은하지구+5.20소행성 베스타지구최대 밝기+5.38[42]행성 천왕성지구최대 밝기 (천왕성은 2050년에 근일점 도달)+5.68행성 천왕성지구평균 밝기+5.72나선 은하 M33지구어두운 하늘에서 맨눈으로 관측하는 테스트로 사용됨[43][44]+5.8감마선 폭발 GRB 080319B지구2008년 3월 19일 지구에서 75억 광년 거리에서 보인 최고 시각 등급 ("클라크 사건").+6.03행성 천왕성지구최소 밝기+6.49소행성 팔라스지구최대 밝기+6.5'평균'적인 맨눈 관측자가 매우 좋은 조건에서 관측하는 별의 대략적인 한계. 6.5등급의 별은 약 9,500개 정도 관측 가능.[74]+6.64왜소 행성 케레스지구최대 밝기+6.75소행성 아이리스지구최대 밝기+6.90나선 은하 M81지구인간의 시력과 보틀 등급을 한계까지 밀어붙이는 극단적인 맨눈 관측 대상[45]+7.25행성 수성지구최소 밝기+7.67[46]행성 해왕성지구최대 밝기 (해왕성은 2042년에 근일점 도달)+7.78행성 해왕성지구평균 밝기+8.00행성 해왕성지구최소 밝기+8극단적인 맨눈 관측 한계, 보틀 등급에서 클래스 1, 지구에서 가능한 가장 어두운 하늘.[47]+8.10달 타이탄지구최대 밝기; 토성의 가장 큰 달;[65][61] 평균 대항 등급 8.4[62]+8.29별 UY Scuti지구최대 밝기; 반경으로 알려진 가장 큰 별 중 하나+8.94소행성 히기에아지구최대 밝기[66]+9.50일반적인 7×50 쌍안경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조건에서 보이는 가장 희미한 물체[78]+10아폴로 8 CSM이 달 주위를 궤도에 있는 모습지구계산됨 (Liemohn)[48]+10별계 T CrB(평균)지구80년마다 노바가 발생하는 별계+10.20달 이아페투스지구최대 밝기,[61] 토성의 서쪽에 있을 때 가장 밝으며 위치가 바뀌는 데 40일이 걸림+11.05별 프록시마 센타우리지구가장 가까운 별 (태양을 제외하고)+11.8달 포보스지구최대 밝기; 화성의 더 밝은 달+12.23별 R136a1지구가장 밝고 질량이 큰 별[49]+12.89달 데이모스지구최대 밝기+12.91퀘이사 3C 273지구가장 밝음 (광도 거리 24억 광년)+13.42달 트리톤지구최대 밝기[62]+13.65왜소 행성 명왕성지구최대 밝기,[60] 6.5등급 맨눈 하늘보다 725배 더 희미함+13.9달 티타니아지구최대 밝기; 천왕성의 가장 밝은 달+14.1별 WR 102지구가장 뜨거운 별+15.4켄타우루스 키론지구최대 밝기[67]+15.55달 카론지구최대 밝기 (명왕성의 가장 큰 달)+16.8왜소 행성 마케마케지구현재 충 밝기[68]+17.27왜소 행성 하우메아지구현재 충 밝기[69]+18.7왜소 행성 에리스지구현재 충 밝기+19.5카탈리나 하늘 탐사 0.7미터 망원경을 사용하여 30초 노출로 관측 가능한 가장 희미한 물체[50], 소행성 지구 충돌 최종 경보 시스템 (ATLAS)의 대략적인 제한 등급.+20.7달 칼리르호에지구(작은 ≈8 km 목성의 위성)[62]+22600 mm (24″) 리치-크레티앙 망원경으로 30분 동안 쌓인 이미지(각 5분 간격의 6개 하위 프레임)를 CCD 검출기를 사용하여 가시광선으로 관측 가능한 가장 희미한 물체[51]+22.8루먼 16지구가장 가까운 갈색 왜성 (루먼 16A=23.25, 루먼 16B=24.07)+22.91달 히드라지구명왕성의 달의 최대 밝기+23.38달 닉스지구명왕성의 달의 최대 밝기+24Pan-STARRS 1.8미터 망원경을 사용하여 60초 노출로 관측 가능한 가장 희미한 물체[52] 현재 자동화된 모든 하늘 천문 조사의 제한 등급.+25.0달 펜리르지구(작은 ≈4 km 토성의 위성)[63]+25.3해왕성 횡단 천체지구태양계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알려진 관측 가능한 물체는 태양에서 약 132AU 떨어져 있음.+26.2해왕성 횡단 천체지구태양에서 약 90AU 떨어져 있으며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것보다 약 7,500만 배 더 희미한 200 km 크기의 물체.+27.7수바루 망원경과 같은 8미터급 지상 망원경 한 대에서 10시간 동안 촬영한 이미지로 관측 가능한 가장 희미한 물체[53]+28.2핼리 혜성지구 (2003)2003년, 태양에서 떨어진 핼리 혜성은 ESO의 초대형 망원경 배열에서 4개의 동기화된 개별 망원경 중 3개를 사용하여 총 노출 시간 약 9시간으로 촬영.[54]+28.4소행성지구 궤도허블 우주 망원경 (HST)에 의해 관측된 ≈15킬로미터 카이퍼대 천체의 관측 등급, 가장 희미하게 알려진 직접 관측된 소행성.+29.4JADES-GS-z13-0지구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에 의해 발견. 가장 먼 물체 중 하나.[55]+31.5허블 우주 망원경을 사용하여 10년에 걸쳐 수집된 ≈23일의 노출 시간으로 극심 우주 탐사를 통해 가시광선으로 관측 가능한 가장 희미한 물체[56]+34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으로 가시광선으로 관측 가능한 가장 희미한 물체[57]+35이름 없는 소행성지구 궤도가장 희미하게 알려진 소행성의 예상 등급, 2009년 별 앞을 통과하는 (HST에 의해) 발견된 950미터 카이퍼대 천체.[58]+35별 LBV 1806−20지구성간 소멸로 인한 가시광선에서의 예상 등급, 발광 청색 변광성


참조

[1] 서적 Ptolemy's Almagest https://archive.org/[...] Springer-Verlag 1984
[2] 논문 On the Limits of Unaided Vision University of California
[3] 웹사이트 Magnitudes: Measuring the Brightness of Stars https://www.aavso.or[...]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s (AAVSO) 2011-10-21
[4] 논문 Human Contrast Threshold and Astronomical Visibility. 2006-10
[5] 웹사이트 Magnitude http://www.nso.edu/P[...] National Solar Observatory—Sacramento Peak 2006-08-23
[6] 문서 Bright Star Catalogue
[7] 문서 Hipparchs Himmelsglobus Springer 2017
[8] 논문 Magnitudes of Thirty-six of the Minor Planets for the first day of each month of the year 1857 1856
[9] 서적 The measurement of starlight: two centuries of astronomical photometry Cambridge Univ. Press 1996
[10] 논문 Magnitudes of Thirty-six of the Minor Planets for the First Day of each Month of the Year 1857 1856-11-14
[11] 서적 The measurement of starlight: two centuries of astronomical photome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12] 논문 Fundamental stellar photometry for standards of spectral type on the revised system of the Yerkes spectral atlas http://adsabs.harvar[...] 1953-05
[13] 서적 Observing Variable Stars, Novae and Supernova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14] 논문 Secondary standard stars for absolute spectrophotometry 1983-03-15
[15] 웹사이트 Magnitude Arithmetic http://www.caglow.co[...] Caglow 2012-01-30
[16] 논문 IAU 2015 Resolution B2 on Recommended Zero Points for the Absolute and Apparent Bolometric Magnitude Scales https://www.iau.org/[...] 2015-08-13
[17] 웹사이트 Lecture 4: Page 3, Properties of the Stars https://homepages.uc[...] 2024-12-05
[18] 웹사이트 Some Useful Astronomical Definitions http://www.astro.sun[...] Stony Brook Astronomy Program 2009-07-12
[19] 논문 The GALAH survey: unresolved triple Sun-like stars discovered by the Gaia mission Oxford University Press (OUP) 2019-05-21
[20] 논문 Standard Photometric Systems http://www.mso.anu.e[...] 2005-09
[21] 웹사이트 Astronomical Magnitudes http://www.asterism.[...] 2019-01-11
[22] 웹사이트 Astronomical Magnitude Systems https://www.cfa.harv[...] Harvard-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2017-07-18
[23] 논문 Misconceptions About Astronomical Magnitudes 1997
[24] 웹사이트 'Magnitude {{!}} Brightness, Apparent Magnitude & Absolute Magnitud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0-19
[25]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active galaxies: View as single page https://www.open.edu[...] 2023-10-19
[26] 논문 1910HarCi.160....1P Page 1 https://adsabs.harva[...] 1910
[27] 논문 Nonlinear relativistic corrections to cosmological distances, redshift and gravitational lensing magnification: II. Derivation
[28] arXiv The K correction
[29] 논문 1967lts..conf..205W Page 205 https://adsabs.harva[...] 1967
[30] 논문 Apparent magnitude of earthshine: a simple calculation IOP Publishing 2016-03-30
[31] 웹사이트 Radiometry and photometry in astronomy https://stjarnhimlen[...] 1997-09-10
[32] 서적 Introduction to Astrophysics: The Stars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12-10-17
[33] 서적 Electronic Imaging in Astronomy: Detectors and Instrumentation Springer 2008
[34] 논문 Evolutionary Tracks for Betelgeuse
[35] 웹사이트 Brightest comets seen since 1935 http://www.icq.eps.h[...] International Comet Quarterly 2011-12-18
[36] 웹사이트 Ten Ways 'Proxima b' Is Different From Earth https://www.forbes.c[...] 2016-09-06
[37] 웹사이트 Heavens-above.com http://www.heavens-a[...] Heavens-above 2007-12-22
[38] 웹사이트 NASA Science Question of the Week https://web.archive.[...] 2006-04-07
[39] 학술지 Once and Future Celestial Kings https://www.thefreel[...] 1998-04
[40] 학술지 Direct Detection of the Close Companion of Polaris with The Hubble Space Telescope
[41] 웹사이트 M41 possibly recorded by Aristotle http://messier.seds.[...] SEDS (Students for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Space) 2006-07-28
[42] 웹사이트 Uranus Fact Sheet https://nssdc.gsfc.n[...] 2018-11-08
[43] 웹사이트 SIMBAD-M33 http://simbad.u-stra[...]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09-11-28
[44] 웹사이트 M33 (Triangulum Galaxy) http://www.astropix.[...] 1993
[45] 웹사이트 Messier 81 http://messier.seds.[...] SEDS (Students for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Space) 2009-11-28
[46] 웹사이트 Neptune Fact Sheet https://nssdc.gsfc.n[...] 2018-11-08
[47] 웹사이트 The Bortle Dark-Sky Scale https://skyandtelesc[...] Sky & Telescope 2009-11-18
[48] 웹사이트 Tracking the Apollo Flights https://pages.astron[...] 2024-03-20
[49] 뉴스 What Is the Most Massive Star? https://www.space.co[...] 2018-11-05
[50] 웹사이트 Catalina Sky Survey (CSS) Facilities https://catalina.lpl[...] 2019-11-03
[51] 웹사이트 17 New Asteroids Found by LightBuckets http://www.lightbuck[...] LightBuckets 2009-11-15
[52] 웹사이트 Pan-STARRS limiting magnitude https://panstarrs.if[...] 2019-08-12
[53] 웹사이트 What is the faintest object imaged by ground-based telescopes? http://www.skyandtel[...] 2006-07-24
[54] 웹사이트 New Image of Comet Halley in the Cold http://www.eso.org/p[...] ESO 2009-02-22
[55] 학술지 Identification and properties of intense star-forming galaxies at redshifts z > 10
[56] 학술지 The HST eXtreme Deep Field XDF: Combining all ACS and WFC3/IR Data on the HUDF Region into the Deepest Field Ever 2013-10-21
[57] 웹사이트 Telescopes https://web.archive.[...] 2017-09-14
[58] 뉴스 Hubble Finds Smallest Kuiper Belt Object Ever Seen https://www.nasa.gov[...] 2018-03-16
[59] 웹사이트 Moon Fact Sheet http://nssdc.gsfc.na[...] NASA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0-04-09
[60] 웹사이트 Pluto Fact Sheet http://nssdc.gsfc.na[...] NASA 2010-06-26
[61] 웹사이트 Classic Satellites of the Solar System http://www.oarval.or[...] Observatorio ARVAL 2010-06-25
[62] 웹사이트 Planetary Satellite Physical Parameters http://ssd.jpl.nasa.[...] JPL (Solar System Dynamics) 2009-07-25
[63] 웹사이트 Saturn's Known Satellites http://www.dtm.ciw.e[...] Carnegie Institution (Department of Terrestrial Magnetism) 2010-06-28
[64] 웹사이트 Horizon Online Ephemeris System for Ganymede (Major Body 503) http://ssd.jpl.nasa.[...]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0-04-14
[65] 웹사이트 Horizon Online Ephemeris System for Titan (Major Body 606) http://ssd.jpl.nasa.[...]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0-06-28
[66] 웹사이트 AstDys (10) Hygiea Ephemerides http://hamilton.dm.u[...]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0-06-26
[67] 웹사이트 AstDys (2060) Chiron Ephemerides https://newton.space[...]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0-06-26
[68] 웹사이트 AstDys (136472) Makemake Ephemerides https://newton.space[...]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0-06-26
[69] 웹사이트 AstDys (136108) Haumea Ephemerides https://newton.space[...]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0-06-26
[70] 웹사이트 Sirius http://simbad.u-stra[...]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06-26
[71] 웹사이트 Canopus http://simbad.u-stra[...]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06-26
[72] 웹사이트 Vega http://simbad.u-stra[...]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04-14
[73] 웹사이트 Arcturus http://simbad.u-stra[...]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06-26
[74] 웹사이트 Vmag<6.5 http://simbad.u-stra[...]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06-25
[75] 웹사이트 SIMBAD-M31 http://simbad.u-stra[...]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09-11-29
[76] 논문 The SN 1006 Remnant: Optical Proper Motions, Deep Imaging, Distance, and Brightness at Maximum 2003
[77] 웹사이트 Supernova 1054 – Creation of the Crab Nebula http://messier.seds.[...] 2014-07-29
[78] 웹사이트 Limiting Magnitude in Binoculars http://www.cloudynig[...] Cloudy Nights 2004
[79] 논문 Computing Apparent Planetary Magnitudes for The Astronomical Almanac 2018
[80] 논문 Possible astrometric discovery of a substellar companion to the closest binary brown dwarf system WISE J104915.57–531906.1 2014
[81] 서적 Observing Variable Stars, Novae and Supernova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82] 웹사이트 Magnitudes: Measuring the Brightness of Stars https://www.aavso.or[...]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s (AAVSO) 2019-05-19
[83] 웹사이트 Magnitude Arithmetic http://www.caglow.co[...] Caglow 2012-01-30
[84] 논문 IAU 2015 Resolution B2 on Recommended Zero Points for the Absolute and Apparent Bolometric Magnitude Scales https://www.iau.org/[...] 2019-05-19
[85] 웹사이트 Some Useful Astronomical Definitions http://www.astro.sun[...] Stony Brook Astronomy Program 2009-07-12
[86] 웹사이트 Astronomical Magnitude Systems https://www.cfa.harv[...] Harvard-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2017-07-18
[87] 웹사이트 見かけの等級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8-03-12
[88] 웹사이트 測光システム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9-08-25
[89] 웹사이트 実視等級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9-10-03
[90] 웹사이트 写真等級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8-03-08
[91] 서적 文部省 学術用語集 天文学編 日本学術振興会 1994-11-15
[92] 논문 On the limits of unaided vision
[93] 서적 Hipparchs Himmelsglobus: Ein Bindeglied in der babylonisch-griechischen Astrometrie?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2017-06-26
[94] 논문 Norman Pogson and the Definition of Stellar Magnitude 1968-7
[95] 논문 Magnitudes of Thirty-six of the Minor Planets for the First Day of each Month of the Year 1857
[96] 웹사이트 ポグソンの式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8-07-02
[97] 논문 標準測光システム https://www.asj.or.j[...] 日本天文学会 1997-01
[98] 논문 Fundamental stellar photometry for standards of spectral type on the revised system of the Yerkes spectral atlas
[99] 웹사이트 ベガ等級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8-03-12
[100] 논문 Secondary standard stars for absolute spectrophotometry
[101] 웹사이트 AB等級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9-02-05
[102] 서적 新・天文学事典 講談社 2013-03-20
[103] 논문 Misconceptions about astronomical magnitudes
[104] 논문 Nonlinear relativistic corrections to cosmological distances, redshift and gravitational lensing magnification: II. Derivation
[105] arXiv The K correction 2002-10-17
[106] 웹인용 Magnitudes: Measuring the Brightness of Stars https://www.aavso.or[...]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s (AAVSO) 2011-10-21
[107] 웹인용 The Stellar Magnitude System https://www.skyandte[...] 2006-08-01
[108] 웹인용 Magnitude http://www.nso.edu/P[...] National Solar Observatory—Sacramento Peak
[109] 문서 밝은 별 목록
[110] 서적 HIGH TOP 고등학교 과학 두산동아
[111] 서적 Observing Variable Stars, Novae and Supernova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112] 저널 Apparent magnitude of earthshine: a simple calculation IOP Publishing 2016-03-30
[113] 서적 Introduction to Astrophysics: The Stars https://books.google[...]
[114] 서적 Electronic Imaging in Astronomy: Detectors and Instrumentation Springer 2008
[115] 저널 Evolutionary Tracks for Betelgeuse
[116] 웹인용 Brightest comets seen since 1935 http://www.icq.eps.h[...] International Comet Quarterly
[117] 웹인용 Ten Ways 'Proxima b' Is Different From Earth https://www.forbes.c[...] 2023-02-19
[118] 웹인용 ISS Information - Heavens-above.com http://www.heavens-a[...] Heavens-above
[119] 저널 Direct Detection of the Close Companion of Polaris with The Hubble Space Telescope
[120] 웹인용 M41 possibly recorded by Aristotle http://messier.seds.[...] SEDS (Students for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Space) 2006-07-28
[121] 웹인용 SIMBAD-M33 http://simbad.u-stra[...]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122] 웹인용 M33 (Triangulum Galaxy) http://www.astropix.[...] 1993
[123] 웹인용 Messier 81 http://messier.seds.[...] SEDS (Students for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Space) 2007-09-02
[124] 웹인용 The Bortle Dark-Sky Scale http://www.skyandtel[...] Sky & Telescope 2001-02
[125] 웹인용 Catalina Sky Survey (CSS) Facilities https://catalina.lpl[...] 2019-11-03
[126] 웹인용 17 New Asteroids Found by LightBuckets http://www.lightbuck[...] LightBuckets 2009-10-05
[127] 저널 Possible astrometric discovery of a substellar companion to the closest binary brown dwarf system WISE J104915.57–531906.1 2014
[128] 웹인용 Catalina Sky Survey (CSS) Facilities https://catalina.lpl[...] 2019-11-03
[129] 웹사이트 What is the faintest object imaged by ground-based telescopes? http://www.skyandtel[...] The Editors of Sky Telescope 2006-07-24
[130] 웹인용 New Image of Comet Halley in the Cold http://www.eso.org/p[...] ESO 2003-09-01
[131] 저널 Identification and properties of intense star-forming galaxies at redshifts z > 10
[132] 웹사이트 The HST eXtreme Deep Field XDF: Combining all ACS and WFC3/IR Data on the HUDF Region into the Deepest Field Ever http://arxiv.org/abs[...]
[133] 웹사이트 http://www.jaymaron.[...] 2017-09-14
[134] 뉴스 NASA – Hubble Finds Smallest Kuiper Belt Object Ever Seen https://www.nasa.gov[...]
[135] 웹인용 Sun Fact Sheet http://nssdc.gsfc.na[...] NASA 2004-09-01
[136] 웹인용 Moon Fact Sheet http://nssdc.gsfc.na[...] NASA 2010-02-02
[137] 웹인용 Pluto Fact Sheet http://nssdc.gsfc.na[...] NASA 2006-09-07
[138] 웹인용 Classic Satellites of the Solar System http://www.oarval.or[...] Observatorio ARVAL
[139] 웹인용 Planetary Satellite Physical Parameters http://ssd.jpl.nasa.[...] JPL 2009-04-03
[140] 웹인용 Saturn's Known Satellites http://www.dtm.ciw.e[...] Carnegie Institution
[141] 웹인용 Horizon Online Ephemeris System for Ganymede (Major Body 503) http://ssd.jpl.nasa.[...]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0-04-14
[142] 웹인용 Horizon Online Ephemeris System for Titan (Major Body 606) http://ssd.jpl.nasa.[...]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0-06-28
[143] 웹인용 AstDys (10) Hygiea Ephemerides http://hamilton.dm.u[...]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0-06-26
[144] 웹인용 AstDys (2060) Chiron Ephemerides http://hamilton.dm.u[...]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0-06-26
[145] 웹인용 AstDys (136472) Makemake Ephemerides http://hamilton.dm.u[...]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0-06-26
[146] 웹인용 AstDys (136108) Haumea Ephemerides http://hamilton.dm.u[...]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0-06-26
[147] 웹인용 Sirius http://simbad.u-stra[...]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06-26
[148] 웹인용 Canopus http://simbad.u-stra[...]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06-26
[149] 웹인용 Vega http://simbad.u-stra[...]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04-14
[150] 웹인용 Arcturus http://simbad.u-stra[...]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06-26
[151] 웹인용 Vmag<6.5 http://simbad.u-stra[...]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06-25
[152] 웹인용 SIMBAD-M31 http://simbad.u-stra[...]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09-11-29
[153] 저널 The SN 1006 Remnant: Optical Proper Motions, Deep Imaging, Distance, and Brightness at Maximum 2003
[154] 웹인용 Supernova 1054 – Creation of the Crab Nebula http://messier.seds.[...]
[155] 웹인용 Limiting Magnitude in Binoculars http://www.cloudynig[...] Cloudy Nights 2011-05-06
[156] 저널 Computing Apparent Planetary Magnitudes for The Astronomical Almanac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