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오르기 테르테르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오르기 테르테르 1세는 1280년부터 1292년까지 불가리아 제국의 차르였다. 그는 쿠만족의 혈통을 이어받았으며, 이바일로의 난 이후 황위에 올랐다. 재위 기간 동안 시칠리아 왕국, 세르비아, 비잔티움 제국 등과 동맹을 맺었으나, 몽골의 침입과 내부 권력 투쟁으로 인해 비잔티움 제국으로 망명했다. 이후 아들 토도르 스베토슬라프가 즉위한 후 불가리아로 돌아와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다 1308년 또는 1309년에 사망했다. 그는 두 번 결혼하여 토도르 스베토슬라프를 포함한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르테르 왕조 - 토도르 스베토슬라프
토도르 스베토슬라프는 1300년부터 1322년까지 불가리아를 통치한 황제이며, 킵차크 칸국의 지원을 받아 차르가 되어 몽골의 간섭을 종식시키고 영토를 확장하며 불가리아의 안정과 부흥을 이끌었다. - 테르테르 왕조 - 게오르기 테르테르 2세
게오르기 테르테르 2세는 1322년 불가리아 제2제국의 차르가 되었으나 갑작스럽게 사망하여 후사가 없어 미하일 3세 시슈만이 제위를 계승했으며, 그의 죽음은 불가리아의 혼란을 야기하고 제국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 불가리아의 군주 - 크룸
크룸은 800년경 불가리아의 군주로, 아바르족을 격파하고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며, 불가리아 최초의 성문법전을 제정하여 강력한 통치를 펼쳤다. - 불가리아의 군주 - 보리스 3세
보리스 3세는 소피아에서 태어나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후 불가리아의 차르가 되어 정치적 격변과 암살 시도 속에서 "왕의 정부" 시대를 열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에 가담 후 히틀러와의 회담 직후 사망하여 그의 아들 시메온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게오르기 테르테르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칭호 | 차르 |
통치 기간 | 1280년–1292년 |
선임자 | 이반 아센 3세 |
후임자 | 스밀레츠 |
배우자 | 마리아 테르테르 키라 마리아 아세니나 (이반 아센 3세의 자매) |
자녀 | 테오도르 스베토슬라프 엘레나 안나 테르테르 |
왕조 | 테르테르 왕조 |
![]() | |
생애 | |
사망 년도 | 1308년/1309년 |
2. 생애
게오르기 테르테르 1세의 가계는 명확하지 않지만, 비잔티움 측 자료에서는 그를 불가리아인과 쿠만인의 혼혈이라고 언급하며, 그의 이름이 쿠만족 부족 테르테로바(Terteroba)와 관련이 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게오르기 테르테르에게는 알디미르라는 남동생이 있었다.
1279년 이바일로의 난 동안 이반 아센 3세가 터르노보에서 황제가 되었고, 게오르기 테르테르와의 동맹을 통해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려 했다. 게오르기 테르테르는 이반 아센 3세의 여동생 키라 마리아와 결혼하면서 본처인 마리아와 이혼하였고, 마리아와 아들 토도르 스베토슬라프는 비잔티움 제국에 인질로 보내졌다. 그 결과 게오르기 테르테르는 데스포트(통치자)가 되었다.
1280년 이바일로의 계속된 승리에 겁먹은 이반 아센 3세가 터르노보를 떠나 비잔티움 제국으로 도망치면서 게오르기 테르테르가 황제가 되었다. 그는 시칠리아의 카를로 1세, 세르비아의 스테판 드라구틴, 테살리아와 동맹을 맺고 비잔티움 제국의 미카일 8세에 대항했다. 그러나 1282년 카를로 1세가 시칠리아 만종 사건으로 이탈하고 불가리아가 킵차크 칸국의 노가이 칸에게 약탈당하면서 이 동맹은 실패하였다. 1284년 세르비아와의 동맹을 유지하기 위해 게오르기 테르테르는 자신의 딸 안나를 세르비아 왕 스테판 우로시 2세 밀루틴과 결혼시켰다.
1282년 미카일 8세가 사망하면서 게오르기 테르테르는 비잔티움과 협상하여 첫 번째 부인 마리아를 돌려받았다. 1285년 몽골의 재침입으로 아들 토도르 스베토슬라프를 노가이 칸에게 인질로 보내고, 딸 엘레나를 노가이의 아들 차카와 결혼시켰다.
1292년 스레드나고라산맥 일대의 영주 스밀레츠에 의해 게오르기 테르테르는 제위에서 쫓겨나 비잔티움 제국으로 망명하였다. 안드로니코스 2세는 몽골과의 관계를 우려하여 처음에는 그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게오르기 테르테르는 아드리아노폴리스(에디르네) 부근에 머물렀다. 이후 아나톨리아로 보내졌다가, 1301년 아들 스베토슬라프가 불가리아 황제로 즉위한 후 비잔티움 제국군과 싸워 이겨 사로잡은 13명의 고위 관료들과 교환되어 불가리아로 돌아왔다. 게오르기 테르테르는 사치스러운 생활을 보냈으며, 1308년 혹은 1309년 이바노보 근교 바위 교회의 비문에 "황제 게오르기"가 사망했다는 간결한 언급이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가계
게오르기 테르테르 1세의 가계는 명확하지 않지만, 비잔티움 측 자료에 따르면 불가리아인과 쿠만인의 혼혈이라고 한다. 그의 이름은 쿠만족 부족인 테르테로바(Terteroba)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3] 게오르기 테르테르 1세에게는 알디미르라는 남동생이 있었다.2. 2. 즉위 과정 (1279년 ~ 1280년)
1279년 이바일로의 난 동안 이반 아센 3세가 터르노보에서 황제가 되었고, 그는 게오르기 테르테르와의 동맹을 통해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려 했다. 게오르기 테르테르는 이반 아센 3세의 여동생 키라 마리아와 결혼하면서 본처인 마리아와 이혼하였고, 마리아와 그녀 사이에서의 아들 토도르 스베토슬라프는 비잔티움 제국에 인질로 보내졌다.[3] 이 결과로 게오르기 테르테르는 데스포트(Despot, 통치자)가 되었다.이바일로의 계속된 승리에 겁먹은 이반 아센 3세는 1280년 터르노보를 떠나 비잔티움 제국으로 도망쳤고, 게오르기 테르테르는 귀족들의 지지를 받아 황제가 되었다.[3]
2. 3. 치세 (1280년 ~ 1292년)
1280년 이바일로가 비잔티움 제국의 지원군에 맞서 계속 성공을 거두자 이반 아센 3세는 수도를 버리고 비잔티움 제국으로 도망쳤고, 게오르기 테르테르 1세가 황제가 되었다.[3] 이바일로와 이반 아센 3세의 위협이 사라지자 게오르기 1세 테르테르는 시칠리아 왕국의 샤를 1세, 세르비아 왕국의 스테판 드라구틴, 테살리아와 동맹을 맺어 1281년 비잔티움 제국의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에 대항했다. 그러나 이 동맹은 시칠리아 만종 사건으로 샤를 1세가 이탈하고, 1282년 불가리아가 킵차크 칸국의 노가이 칸에게 약탈당하면서 실패했다.[3] 1284년 세르비아와의 동맹 유지를 위해 게오르기 1세 테르테르는 자신의 딸 안나를 세르비아 왕 스테판 우로시 2세 밀루틴과 결혼시켰다.1282년 비잔티움 제국의 미하일 8세가 사망하면서 게오르기 테르테르는 비잔티움과 다시 협상하여 그의 첫번째 부인 마리아의 교환을 교섭하였다. 조약이 체결되어 키라 마리아는 다시 비잔티움으로 보내졌고 마리아는 다시 불가리아로 돌아왔다. 토도르 스베토슬라프는 요아킴 3세 총대주교의 성공적인 임무 수행 이후 불가리아로 돌아와 아버지와 공동 황제가 되었으나,[2] 1285년 몽골의 재침입으로 토도르 스베토슬라프는 노가이 칸에게 인질로 보내졌고, 게오르기 테르테르는 그의 딸 엘레나를 노가이의 아들 차카와 결혼시켰다.
2. 4. 망명과 죽음 (1292년 ~ 1308/1309년)
1292년 스레드나고라산맥 일대의 영주 스밀레츠에 의해 게오르기 테르테르 1세는 제위에서 쫓겨나 비잔티움 제국으로 망명하였다.[1] 안드로니코스 2세는 처음에는 몽골과의 관계를 우려하여 게오르기 테르테르 1세를 받아들이는 것을 거절하였고, 게오르기 테르테르 1세는 아드리아노폴리스(에디르네) 부근에 머물렀다.[1] 그는 결국 아나톨리아로 보내졌다.[1]1301년 그의 아들 토도르 스베토슬라프가 불가리아의 황제로 즉위한 후 비잔티움 제국군과 싸워 이겼고, 사로잡은 13명의 고위 관료들과 그의 아버지를 교환하였다.[1] 게오르기 테르테르 1세는 불가리아에 돌아와 사치스러운 생활을 보냈다.[1] 이바노보 근교의 바위 교회의 비문에서는 1308년 혹은 1309년 "황제 게오르기"가 사망하였다고 간결하게 언급되어 있다.[1]
3. 가족 관계
배우자 | 자녀 |
---|---|
마리아 | |
키라 마리아 (이반 아센 3세의 누이) |
참조
[1]
서적
Христомаия по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я, т. II
1978
[2]
서적
ブルガリア 1
[3]
서적
ブルガリア 1
[4]
서적
ブルガリア 風土と歴史
恒文社
198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