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일터흐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일터흐트는 아일랜드에서 아일랜드어(Gaeilge)가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지역을 의미한다. 1926년 공식 지정된 게일터흐트는 아일랜드어 사용 인구 비율에 따라 지정되었으며, 26개 카운티 중 7개 카운티가 게일터흐트 지역으로 인정받았다. 1956년에는 게일터흐트 장관 직위가 신설되고, 정부가 특정 지역을 게일터흐트 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게 되었다. 2000년대 들어 게일터흐트 학교의 위기와 아일랜드어 사용 쇠퇴가 문제시되었으며, 언어 구역 설정 및 법안 도입 등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게일터흐트 인구는 증가했지만, 아일랜드어 사용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게일터흐트는 도니골, 골웨이 등 여러 지역으로 나뉘며, 아일랜드 정부의 정책 지원을 받는다. 아일랜드어 부흥 운동은 도시와 농촌 모두에서 진행 중이며, 북미와 북아일랜드에서도 게일어 사용 공동체가 존재한다. 또한, 여름 방학 동안 아일랜드어 몰입 교육을 제공하는 아일랜드 칼리지가 운영되고 있으며, 스코틀랜드와 캐나다에도 게일어 사용 지역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일터흐트 - 아킬섬
    아킬섬은 아일랜드 메이요주에 있는 아일랜드에서 가장 큰 섬으로, 오말리 가문의 영지이자 해적 여왕 그레이스 오말리가 활동했던 곳으로, 다리 건설 후 이주민 유입과 함께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아일랜드어 - 중세 아일랜드어
    중세 아일랜드어는 8세기부터 12세기까지 아일랜드에서 사용된 게일어의 과도기적 단계로, 정치·사회적 변화에 따라 복잡한 문법과 독특한 음운 체계를 지니며 시가 등의 문헌을 통해 현대 아일랜드어와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 아일랜드어 - 고대 아일랜드어
    고대 아일랜드어는 인도유럽어족 켈트어파 고이델어군에 속하며, 현대 아일랜드어 등의 조상이고, 4세기에서 6세기에 오검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자음과 모음의 변화, 융합어, VSO 어순, 5가지 격을 가진 명사, 시제와 상 등에 따라 활용되는 동사의 문법적 특징을 갖는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게일터흐트
지도
기본 정보
국가아일랜드
상태법적 인정
정부 기관공동체, 농촌 및 게일타흐트 업무부 장관
위치아일랜드 공화국
인구
총 인구 (2016년)96,090명
게일어 화자 (2016년)63,665명
언어
공용어아일랜드어
지리
면적13,771 km²
행정
지방 정부도네갈주
골웨이주
케리주
코크주
미스주
워털루주
추가 정보
공식 기관게일타흐트 당국
라디오 방송국라이디오 나 겔타흐타
각료에이몬 오 퀴브

2. 역사

1956년


1926년 최초의 게일타흐트ga 위원회인 ''Coimisiún na Gaeltachta''(코미슌 나 겔타흐타)의 보고서 결과로 공식 게일타흐트ga가 지정되었지만, 정확한 경계는 정의되지 않았다. 1950년대에 또 다른 게일타흐트ga 위원회는 게일타흐트ga 경계가 제대로 정의되지 않았다고 결론 내리고, 게일타흐트ga 지위는 해당 지역의 언어 사용 강도만을 기준으로 할 것을 권고했다.[7]

1956년 1956년 장관 및 비서 (수정) 법에 따라 게일타흐트 장관(현재의 관광, 문화, 예술, 게일타흐트, 스포츠 및 미디어 장관) 직위가 신설되고, 정부가 특정 지역을 게일타흐트ga 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게 되었다.[8] 그 후 게일타흐트ga 경계는 1974년 케리 주의 An Clochán(Cloghanega)과 Cé Bhréanainn(Brandonga) 포함, 코크 주의 서부 머스커리 일부 포함, 1967년 미스 주의 Baile Ghib(Gibstownga)와 Ráth Chairn(Rathcarranga) 포함 등 사소한 변경을 거쳤다.

2. 1. 아일랜드 자유국 시대 (1920년대)

1926년, 최초의 에 따라 게일터흐트 자격을 얻었을 아일랜드 섬의 지역들


1926년, 공식 게일타흐트|겔타흐트ga는 최초의 게일터흐트 위원회인 ''코미슌 나 겔타흐타''의 보고서에 따라 지정되었다. 당시 인구의 80% 이상이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지역은 게일타흐트|겔타흐트ga로 분류되었지만,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더라도 최소 25% 이상이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지역에는 부분적인 게일타흐트|겔타흐트ga 지위가 부여되었다. 아일랜드 자유국은 26개 카운티 중 7개 카운티에 아일랜드어 사용 인구가 주를 이루거나 반(半) 아일랜드어 사용 지역이 있다는 것을 인정했으며, 이는 22개 구역에 해당했다.[6]

2. 2. 1950년대 이후의 변화

1950년대에 또 다른 게일타흐트ga 위원회는 게일타흐트ga 경계가 제대로 정의되지 않았다고 결론 내렸다. 이 위원회는 게일타흐트ga 지위를 해당 지역의 언어 사용 강도만을 기준으로 할 것을 권고했다.[7]

1956년, 1956년 장관 및 비서 (수정) 법에 따라, 게일타흐트 장관 (현재의 관광, 문화, 예술, 게일타흐트, 스포츠 및 미디어 장관) 직위가 신설되었다.[8] 같은 법안은 정부가 특정 지역을 게일타흐트ga 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했다.[8] 이들은 처음에는 정확하게 정의되었고[9] 아일랜드어 사용 인구가 감소한 많은 지역이 제외되었다. 게일타흐트ga 지역은 26개 주 중 7개 주 (명목상 도니골, 골웨이, 메이오, 케리, 워터포드)에서 인정되었다.

그 이후로, 게일타흐트ga 경계는 사소한 변경을 거쳤다. 1974년 케리 주의 An Clochán (Cloghanega)과 Cé Bhréanainn (Brandonga) 포함, 1950년대 이전보다 아일랜드어 사용 인구가 현저히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코크 주의 서부 머스커리 일부 포함, 그리고 1967년 미스 주의 Baile Ghib (Gibstownga)와 Ráth Chairn (Rathcarranga) 포함 등이 있었다.

2. 3. 21세기: 위기와 대응

2005년 교육 위원회에서 게일터흐트 및 아일랜드어 사용 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게일터흐트 학교가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한다. 이 연구는 지원이 없다면 20년 안에 아일랜드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학교가 거의 없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는 게일터흐트의 미래를 위협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 학부모들은 교육 시스템이 자녀에게 아일랜드어를 살아있는 언어로 전달하려는 노력을 지원하지 못한다고 느꼈다. 이 연구는 상당수의 게일터흐트 학교가 영어로 수업을 전환했으며, 다른 학교들도 망설이고 있다고 덧붙였다.[10]

2002년, 세 번째 ''Coimisiún na Gaeltachta''는 보고서[11]에서 게일터흐트에서 아일랜드어 사용이 쇠퇴하여 게일터흐트가 사라지는 것은 시간 문제라고 밝혔다. 일부 지역에서는 아일랜드어가 이미 공동체 언어로서의 기능을 상실했다. 가장 강력한 게일터흐트 지역에서도 현재의 이중 언어 사용 패턴은 영어의 지배를 초래하고 있었다. 정부 및 자원 봉사 단체가 시행한 정책은 아무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었다.

보고서는 공동체 자체의 신뢰를 받는 새로운 언어 강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위원회는 다른 많은 사항들 중에서도 공식 게일터흐트의 경계를 재조정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나머지 게일터흐트 지역에서 아일랜드어의 활력을 평가하기 위한 포괄적인 언어 연구를 권고했다.

이 연구는 ''아카담 나 홀스콜라치오흐타 게일게(Acadamh na hOllscolaíochta Gaeilge)'' (골웨이 국립대학교, 아일랜드(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의 일부)에 의해 수행되었다. 2007년 11월 1일 ''게일터흐트에서 아일랜드어 사용에 대한 포괄적인 언어 연구(Staidéar Cuimsitheach Teangeolaíoch ar Úsáid na Gaeilge sa Ghaeltacht)''가 출판되었다.[12]

게일터흐트 경계와 관련하여, 이 보고서는 게일터흐트 지역 내에 세 개의 언어 구역을 만들 것을 제안했다.

구역아일랜드어 사용 비율언어 상황
A67% 이상아일랜드어가 공동체 언어로서 지배적
B44%–66%영어가 지배적, 아일랜드어 사용 소수 다수 존재
C44% 미만영어가 지배적, 아일랜드어 사용 소수가 전국 평균보다 훨씬 높음



보고서는 A구역을 아일랜드어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개발 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 정부의 최우선 순위로 삼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아일랜드어 사용이 더 감소하는 C구역은 게일터흐트 지위를 잃어야 한다고 밝혔다.

2006년 인구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공식 게일터흐트 내에 거주하는 95,000명 중 약 17,000명이 A구역에, 10,000명이 B구역에, 17,000명이 C구역에 속했으며, 최소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게일터흐트 지역에 약 50,000명이 거주하고 있었다.[13]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정부는 2012년 게일터흐트 법안을 도입했다. 이 법안의 목표는 언어 기준에 따라 새로운 경계 정의를 제공하는 것이었지만, 정반대의 결과를 낳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비평가들은 법안 제7조에 주목했는데, 이 조항은 아일랜드어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현재 게일터흐트 내" 모든 지역이 현재의 게일터흐트 지위를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이 지위는 해당 지역이 언어 계획을 준비하지 못하는 경우에만 해지될 수 있었다(언어 사용자의 기록된 수와는 관련 없음).[14] 또한, 이 법안은 아일랜드어 유지를 위한 모든 책임을 자원 봉사 단체에 부과하고 정부 자원 증가는 없다는 점에서도 비판을 받았다.[15]

2012년 아일랜드어 언어 위원회의 연례 보고서는 게일터흐트 및 기타 지역의 아일랜드어 사용자에게 아일랜드어 서비스 제공에 실패한 정부의 문제를 강조함으로써 이러한 비판을 강화했다. 보고서는 게일터흐트의 아일랜드어가 현재 가장 취약한 상태이며, 정부가 게일터흐트 공동체에 영어를 강요하는 한 아일랜드어가 공동체 언어로서 살아남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다고 밝혔다.[16]

2015년에 발표된 보고서, ''Nuashonrú ar an Staidéar Cuimsitheach Teangeolaíoch ar Úsáid na Gaeilge sa Ghaeltacht: 2006–2011''에 따르면, 현재 지표로 볼 때 아일랜드어는 10년 안에 게일터흐트에서 공동체 언어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것이라고 한다.[17] 2022년 인구 조사 시점에, 매일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수는 20,261명으로 감소했다. 최근 감소는 게일터흐트 내에서 성장한 젊은이들이 해당 지역에서 주택을 구매할 여유가 없어 떠나는 주택 위기가 부분적으로 기인한다.[18]

3. 아일랜드 공화국의 게일타흐트

2011년 인구 조사에서 교육 시스템 외부에서 아일랜드어를 매일 사용한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


아일랜드 공화국의 게일타흐트는 여러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각 지역마다 고유한 특징과 인구 통계를 가지고 있다. 2002년 ''Coimisiún na Gaeltachta''는 보고서[11]에서 게일타흐트 내 아일랜드어 사용 쇠퇴와 이로 인한 게일타흐트 소멸 가능성을 언급했다. 2007년 ''게일터흐트에서 아일랜드어 사용에 대한 포괄적인 언어 연구(Staidéar Cuimsitheach Teangeolaíoch ar Úsáid na Gaeilge sa Ghaeltacht)''[12]는 게일타흐트 지역을 세 개의 언어 구역으로 구분했다.

구역아일랜드어 사용 비율언어 상황
A67% 이상아일랜드어가 공동체 언어로서 지배적
B44%–66%영어가 지배적, 아일랜드어 사용 소수 다수 존재
C44% 미만영어가 지배적, 아일랜드어 사용 소수가 전국 평균보다 훨씬 높음



2015년 보고서에서는 현재 추세라면 10년 안에 게일타흐트에서 아일랜드어가 공동체 언어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것이라고 예측했다.[17]

각 지역별 게일타흐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도니골 게일타흐트(Gaeltacht [Chontae] Dhún na nGall|게일타흐트 [콘테] 둔 나 응갈ga 또는 Gaeltacht Thír Chonaill|게일타흐트 티르 코날ga)[23][24]얼스터 방언을 사용하며,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유사점이 많다. 로세스, 그위도르, 클로하니리가 주요 중심지이다.

도니골 주, 던글로의 아일랜드어 표지판

  • 골웨이 주 게일타흐트(Gaeltacht Chontae na Gaillimhe|게일타흐트 콘테 나 갈리메ga) 와 골웨이 시 게일타흐트(Gaeltacht Chathair na Gaillimhe|게일타흐트 카하르 나 갈리메ga)[26]에는 아일랜드 국립대학교 골웨이(NUIG)의 아카담 나 할스콜라치오흐타 게일게, 라디오 나 게일타흐타, 투어리스크, TG4 등 주요 아일랜드어 관련 기관들이 있다.
  • 케리 게일타흐트(Gaeltacht [Chontae] Chiarraí|게일타흐트 [콘테] 키아리ga)[28]는 게일타흐트 코르카두이브네(''딩글 반도'')와 이버라 반도(''위브 라하'')로 구성된다.
  • 메이요 게일타흐트(Gaeltacht [Chontae] Mhaigh Eo|게일타흐트 [콘테] 와이 오ga)[31]에리스, 아킬 섬, 투르마키디 지역으로 구성된다.
  • 코크 게일타흐트(Gaeltacht [Chontae] Chorcaí|게일타흐트 [콘테] 코르키ga)[33]는 머스커리와 케이프 클리어 섬에 위치한다.
  • 워터포드 게일타흐트(Gaeltacht na nDéise|게일타흐트 나 은데셰ga, Gaeltacht [Chontae] Phort Láirge|게일타흐트 [콘테] 포르트 라르게ga)[35][36][37]는 모든 교육이 아일랜드어로 진행된다.
  • 미스 게일터흐트(Gaeltacht [Chontae] na Mí|게일타흐트 [콘테] 나 미ga)[39]는 라흐 카이른과 발레 깁 두 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1930년대에 다른 지역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 정착하여 형성되었다.

3. 1. 현황 및 인구 통계

2005년 교육 위원회의 연구에 따르면 게일터흐트 학교는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지원이 없으면 20년 안에 아일랜드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학교가 거의 없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는 게일터흐트의 미래를 위협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10] 학부모들은 교육 시스템이 자녀에게 아일랜드어를 살아있는 언어로 전달하려는 노력을 지원하지 못한다고 느꼈다. 상당수의 게일터흐트 학교가 영어로 수업을 전환했으며, 다른 학교들도 망설이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10]

2002년 ''Coimisiún na Gaeltachta''는 보고서[11]에서 게일터흐트에서 아일랜드어 사용이 쇠퇴하여 게일터흐트가 사라지는 것은 시간 문제라고 밝혔다. 일부 지역에서는 아일랜드어가 이미 공동체 언어로서의 기능을 상실했으며, 가장 강력한 게일터흐트 지역에서도 영어의 지배가 나타나고 있었다.

''아카담 나 홀스콜라치오흐타 게일게(Acadamh na hOllscolaíochta Gaeilge)'' ((골웨이 국립대학교, 아일랜드(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의 일부)는 2007년 ''게일터흐트에서 아일랜드어 사용에 대한 포괄적인 언어 연구(Staidéar Cuimsitheach Teangeolaíoch ar Úsáid na Gaeilge sa Ghaeltacht)''를 출판했다.[12] 이 보고서는 게일터흐트 지역 내에 세 개의 언어 구역을 제안했다.

구역아일랜드어 사용 비율언어 상황
A67% 이상아일랜드어가 공동체 언어로서 지배적
B44%–66%영어가 지배적, 아일랜드어 사용 소수 다수 존재
C44% 미만영어가 지배적, 아일랜드어 사용 소수가 전국 평균보다 훨씬 높음



보고서는 A구역을 아일랜드어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개발 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 정부의 최우선 순위로 삼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아일랜드어 사용이 더 감소하는 C구역은 게일터흐트 지위를 잃어야 한다고 밝혔다.

2006년 인구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공식 게일터흐트 내에 거주하는 95,000명 중 약 17,000명이 A구역에, 10,000명이 B구역에, 17,000명이 C구역에 속했으며, 최소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게일터흐트 지역에 약 50,000명이 거주하고 있었다.[13]

2012년 게일터흐트 법안은 언어 기준에 따라 새로운 경계를 정의하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오히려 아일랜드어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현재 게일터흐트 내" 모든 지역이 현재의 게일터흐트 지위를 유지하도록 규정하여 비판을 받았다.[14]

2012년 아일랜드어 언어 위원회의 연례 보고서는 게일터흐트의 아일랜드어가 현재 가장 취약한 상태이며, 정부가 게일터흐트 공동체에 영어를 강요하는 한 아일랜드어가 공동체 언어로서 살아남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다고 밝혔다.[16]

2015년에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지표로 볼 때 아일랜드어는 10년 안에 게일터흐트에서 공동체 언어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것이라고 한다.[17] 2022년 인구 조사 시점에, 매일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수는 20,261명으로 감소했다. 최근 감소는 게일터흐트 내에서 성장한 젊은이들이 해당 지역에서 주택을 구매할 여유가 없어 떠나는 주택 위기가 부분적으로 기인한다.[18]

''안 게일타흐트'' 2007, A 카테고리 내 지역


2022년 아일랜드 공화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게일타흐트의 인구는 102,973명이었으며, 이는 2016년보다 2% 증가한 수치이다. 게일타흐트 인구 중 65,156명(66%)이 아일랜드어를 사용했다.[20]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156개 게일타흐트 선거구의 대다수 지역에서 영어는 가정 및 지역 사회 언어이다.

게일타흐트 지역은 역사적으로 대규모 이민으로 고통받았다.[21]

3. 2. 지역별 게일타흐트

도니골 (또는 티르코넬) 게일타흐트(Gaeltacht [Chontae] Dhún na nGall|게일타흐트 [콘테] 둔 나 응갈ga 또는 Gaeltacht Thír Chonaill|게일타흐트 티르 코날ga)[23][24]는 2016년 인구 조사 기준 23,346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전체 게일타흐트 인구의 23.4%를 차지한다. 도니골 게일타흐트는 1502km2의 지리적 영역을 포괄하며, 이는 전체 게일타흐트 토지 면적의 26%에 해당한다. 로세스, 그위도르, 클로하니리의 세 교구는 도니골 게일타흐트 인구의 주요 중심지를 구성한다. 17,132명 이상의 아일랜드어 화자가 있으며, 이 중 14,500명은 인구의 30~100%가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지역에, 2,500명은 30% 미만이 사용하는 지역에 거주한다. 2006년에는 도니골 게일타흐트의 Údarás na Gaeltachta 고객 회사에서 2,436명이 정규직으로 고용되었다. 이 지역은 얼스터 방언을 배우는 학생들에게 특히 인기가 많으며, 매년 수천 명의 학생들이 북아일랜드에서 이 지역을 방문한다. 도니골은 게일타흐트 지역에서 독특하며, 그 억양과 방언은 의심할 여지 없이 북부적이다. 이 언어는 다른 아일랜드어 방언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도니골 주의 그위도르는 아일랜드에서 가장 큰 게일타흐트 교구이며, ''RTÉ Raidió na Gaeltachta''의 지역 스튜디오가 있다. 이곳은 Altan, Clannad를 포함한 유명한 전통 음악가들과 아티스트 Enya를 배출했다. 세 명 모두 아일랜드어로 음악을 녹음했다.

골웨이 주 (Gaeltacht Chontae na Gaillimhe|게일타흐트 콘테 나 갈리메ga) 와 골웨이 시 (Gaeltacht Chathair na Gaillimhe|게일타흐트 카하르 나 갈리메ga)[26]는 2016년 기준 총 50,570명[27]의 인구를 가지며, 이는 전체 게일타흐트 인구의 50.8%를 차지한다. 골웨이 게일타흐트는 1225km2의 지리적 면적을 포함하며, 이는 전체 게일타흐트 토지 면적의 26%에 해당한다.

아일랜드 국립대학교 골웨이(NUIG)의 3단계 자매 대학인 아카담 나 할스콜라치오흐타 게일게는 안 케아르루 루아와 카르나, 골웨이 주에 있다. 아일랜드어 국영 라디오 방송국 라디오 나 게일타흐타는 카슬라에, 온라인 신문 ''투어리스크''는 바르나에, 국영 텔레비전 방송국 TG4는 바일레 나 하반에 있다. 골웨이 시에는 아일랜드어 극장 타이브데아르크 나 갈리메가 있다.

케리 게일타흐트(Gaeltacht [Chontae] Chiarraí|게일타흐트 [콘테] 키아리ga)[28]는 게일타흐트 코르카두이브네(''딩글 반도'')의 서쪽 절반과 이버라 반도(''위브 라하'')의 중부 및 서부 지역, 두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르카두이브네에서 가장 큰 정착지는 딩글이며, 이버라 반도에서 가장 큰 정착지는 발린스켈리그스이다. 케리 게일타흐트의 인구는 8,729명(아일랜드어 사용 인구 6,185명)[29]이며, 전체 게일타흐트 인구의 9%를 차지한다. 케리 게일타흐트는 642km2의 지리적 면적을 포함한다.[30]

메이요 게일타흐트(Gaeltacht [Chontae] Mhaigh Eo|게일타흐트 [콘테] 와이 오ga)[31]는 2011년 기준 총 인구 10,886명[32]이며 전체 게일타흐트 인구의 11.5%를 차지한다. 메이요 게일타흐트는 905km2의 지리적 면적을 포괄하며, 이는 전체 게일타흐트 토지 면적의 19%에 해당한다. 에리스, 아킬 섬, 투르마키디의 세 지역으로 구성된다.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6,667명[32]이며, 그 중 4,000명은 인구의 30~100%가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지역에, 2,500명은 30% 미만이 사용하는 지역에 거주한다.

코크 게일타흐트(Gaeltacht [Chontae] Chorcaí|게일타흐트 [콘테] 코르키ga)[33]는 머스커리와 케이프 클리어 섬의 두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머스커리 게일타흐트는 인구 3,895명(아일랜드어 사용 인구 2,951명)[34]으로, 전체 게일타흐트 인구의 4%를 차지한다. 코크 게일타흐트는 262km2의 지리적 면적을 포괄하며, 이는 전체 게일타흐트 면적의 6%에 해당한다. 머스커리에서 가장 큰 정착촌은 바일 마크 아이레(Ballymakeera), 바일 부르네(Ballyvourney), 킬 나 마트라(Kilnamartyra), 벨 아하 언 가르히(Ballingeary) 마을이다.

워터포드 게일타흐트(Gaeltacht na nDéise|게일타흐트 나 은데셰ga, Gaeltacht [Chontae] Phort Láirge|게일타흐트 [콘테] 포르트 라르게ga)[35][36][37]는 덩거번에서 서쪽으로 10km 떨어져 있다. 링(Rinn Ua gCuanach)과 올드 패리시(An Sean Phobal) 교구를 포함한다. 워터포드 게일타흐트의 인구는 1,784명(아일랜드어 사용자는 1,271명)[38]이며 전체 게일타흐트 인구의 2%를 차지한다. 게일타흐트 나 넫셰(Gaeltacht na nDéise)의 모든 교육은 아일랜드어를 매개로 진행된다. 유치원 2곳, 초등학교 2곳, 중등학교 1곳, Meánscoil San Nioclás와 사립 기숙학교이자 여름 학교인 Coláiste na Rinne가 있다.

미스 게일터흐트(Gaeltacht [Chontae] na Mí|게일타흐트 [콘테] 나 미ga)[39]는 가장 작은 게일터흐트 지역으로, 라흐 카이른과 발레 깁 두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발레 깁에서 8km 떨어진 나반은 인구가 2만 명이 넘는 이 지역의 주요 도시 중심지이다. 미스 게일터흐트의 인구는 1,771명[40]이며, 이는 전체 게일터흐트 인구의 2%를 차지한다. 미스 게일터흐트의 면적은 44km2이며, 이는 전체 게일터흐트 토지 면적의 1%에 해당한다.

미스 게일터흐트는 아일랜드의 다른 아일랜드어 사용 지역과는 사뭇 다른 역사를 가지고 있다. 라흐 카이른 게일터흐트는 1935년 아일랜드 토지 위원회가 이전에 획득한 토지에 서부 골웨이의 코네마라에서 온 41가구가 재정착하면서 설립되었다. 각 가구는 9ha의 농지를 받았다. 발레 깁(구 깁스타운)은 1937년 발레 아일린(구 앨런스타운)과 함께 같은 방식으로 정착되었다. 초창기에는 인구의 상당수가 골웨이로 돌아가거나 이민을 갔지만, 충분한 수의 아일랜드어 사용자들이 남아 1967년 라흐 카이른과 발레 깁이 게일터흐트 지위를 부여받게 되었다. 아일랜드어를 지역 사회로 확산시키려는 원래의 목표는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정착민들은 이중 언어를 사용하게 되었다.[41]

4. 행정

관광, 문화, 예술, 게일타흐트, 스포츠 및 미디어부(Department of Tourism, Culture, Arts, Gaeltacht, Sport and Media)는 관광, 문화, 예술, 게일타흐트, 스포츠 및 미디어부 장관(Minister for Tourism, Culture, Arts, Gaeltacht, Sport and Media)의 지휘 하에 게일타흐트와 관련한 전반적인 아일랜드 정부(Government of Ireland) 정책을 담당하며, ''우다라스 나 게일타흐타''(Údarás na Gaeltachta) 및 기타 기관의 업무를 감독한다. ''RTÉ 라디오 나 게일타흐타''(RTÉ Raidió na Gaeltachta)는 게일타흐트와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Raidió Teilifís Éireannga (RTÉ) 라디오 방송국이다. TG4는 아일랜드어 보급에 주력하는 텔레비전 방송국이며, 골웨이 주 게일타흐트에 기반을 두고 있다.

2005년 3월, 어린이, 평등, 장애, 통합 및 청소년부 장관(Minister for Children, Equality, Disability, Integration and Youth) 에이먼 오 쿠이프는 아일랜드 정부가 게일타흐티 지역의 지명에 대해 아일랜드어 버전만을 공식 이름으로 등재하고, 1970년부터 아일랜드어만 사용해 온 게일타흐트의 도로 표지판과 일치시키기 위해 국가지도국(Ordnance Survey)의 영어 표기를 삭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공용어법(Official Languages Act)에 따라 제정된 지명 명령에 따라 이루어졌다.[19]

5. 게일타흐트 부흥 운동 및 혁신

아일랜드에서는 아일랜드어 사용 공동체를 재건하려는 움직임이 도시와 농촌 모두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그 성공 정도는 다양하다. 특히 더블린을 중심으로 기존 게일터흐트 지역 외부에 아일랜드어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2001년 영국 정부는 유럽 지역·소수 언어 헌장을 비준하여 아일랜드어에 웨일스어스코틀랜드 게일어와 비슷한 지위를 부여했다.[44] 2022년에는 정체성 및 언어(북아일랜드) 법 2022를 통해 아일랜드어가 북아일랜드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고,[45] 2024년에는 300년 만에 처음으로 벨파스트 법정에서 아일랜드어가 사용되었다.[46]

캐나다 온타리오주 탬워스에는 북미 영구 게일터흐트가 있는데, 이곳은 영구 거주자는 없지만 북미 전역의 아일랜드어 사용자를 위한 자원 센터 역할을 하며 2007년에 공식 개관했다.[48]

5. 1. 신 게일타흐트 (New Gaeltacht)

아일랜드 북부와 남부에는 아일랜드어 사용 공동체를 재건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성공 정도는 다양하다. 이러한 지역은 도시와 농촌 모두에 존재한다. 현재 아일랜드어를 매일 사용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기존의 게일터흐트 지역 외부에 거주하며, 특히 더블린에 많이 거주한다. 2018년 포라스 나 게일게(Foras na Gaeilge)는 런던데리주의 카른 토허르가 벨파스트, 골웨이주의 로흐레이, 클레어주의 에니스, 더블린의 클론달킨과 함께 아일랜드 섬 최초의 5개 리오나리 게일게(아일랜드어 사용 네트워크 지역)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더블린과 그 교외 지역은 매일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가장 많은 곳으로 보고되며, 14,229명이 매일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며 이는 전체 일일 사용자의 18%를 차지한다.[42] 더블린에서 성장하여 정규 교육을 마친 성인 소규모 표본 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4%가 약간의 아일랜드어 구사 능력을 보였으며, 가벼운 대화부터 완전한 유창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아일랜드어를 주 3회 이상 사용하는 사람은 19%에 불과했으며, 과반수(43%)는 2주에 한 번 미만으로 아일랜드어를 사용했다.[43]

클론달킨에는 아일랜드어 센터 ''Áras Chrónáin''이 있으며, 루칸과 피닉스 공원에는 아일랜드어 GAA 클럽 Na Gaeil Óga CLG가 있다. 더블린 카운티에는 10개의 게일콜라이지를 포함하여 50개 이상의 게일스코일레안나가 있다.

클레어주의 일부 지역은 1925년 코미시운 나 게알타흐타(Coimisiún na Gaeltachta)의 권고에 따라 게알타흐트 지역으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1956년, 전통적인 사용자가 너무 적어 클레어주를 공식 게알타흐트에 포함시키는 것을 정당화할 수 없다고 결정되었다. 그 이후로 지역 사회에서 언어를 재건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2012년에는 클레어주에 매일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최대 170명에 달한다고 주장되었다.[47] 주요 활동 단체는 코이스테 포르바르타 게알타흐타 콘테 안 클라르(Coiste Forbartha Gaeltachta Chontae an Chláir, 클레어주 게알타흐트 개발 위원회)이며, 이 단체의 목표는 클레어주 전체 또는 일부 지역에 게알타흐트 지위를 획득하는 것이다.

5. 2. 북아일랜드

2001년, 영국 정부는 유럽 지역·소수 언어 헌장을 비준했다. 아일랜드어(북아일랜드)는 헌장 제3부에 명시되어 웨일스어 또는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비슷한 지위를 부여받았다. 여기에는 교육, 법령 번역, 공공 기관과의 상호 작용, 지명 사용, 미디어 접근, 문화 활동 지원 및 기타 사항에 관한 약속이 포함되었다. 국가의 의무 준수는 유럽 평의회 전문가 위원회에서 정기적으로 평가한다.[44]

또한 슬래흐트 네일(Sleacht Néill)과 카르토허(Carn Tóchair)를 중심으로 런던데리 남부에서도 언어 부흥 운동이 일어나고 있으며, 두 곳 모두 마헤라 외곽에 위치해 있다.

2022년 영국 의회는 정체성 및 언어(북아일랜드) 법 2022를 통과시켜 아일랜드어를 영어와 함께 북아일랜드의 두 공식 언어로 지정했으며, 1737년 북아일랜드 법원에서 아일랜드어를 금지했던 법률을 폐지했다.[45] 2024년 1월, 이 법의 폐지 이후 처음으로 벨파스트 법정에서 아일랜드어가 사용되었다. 이는 거의 300년 만에 처음이다.[46]

5. 3. 북미

북미 영구 게일터흐트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탬워스에 있는 지역이다. 이곳에는 영구 거주자는 없지만, 북미 전역의 아일랜드어 사용자를 위한 자원 센터 역할을 한다. 2007년에 공식적으로 개관했다.[48]

6. 아일랜드어 칼리지

아일랜드 칼리지는 여름 방학 동안 학생들이 아일랜드어에 완전히 몰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기숙형 아일랜드어 여름 강좌이다. 일반적으로 여름철에 3주 동안 진행된다. 이 강좌 동안 학생들은 수업에 참석하고 다양한 활동, 게임, 음악, 미술 및 스포츠에 참여한다. 학생들은 전국에서 여러 아일랜드 칼리지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많은 칼리지는 아일랜드어를 통해 젊은이들을 위한 다양한 활동과 행사를 제공하는 동시에 특정 범주로 알려져 있거나 전문 분야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콜라시테 루르간은 음악을 통한 아일랜드어 보급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콜라시테 아오다인은 수상 스포츠 및 팀 게임으로, 다른 곳은 GAA 스포츠로 유명하다.

일반 학교와 마찬가지로 교육부는 수업 규모 및 교사가 갖춰야 할 자격 요건을 규정한다. 일부 강좌는 칼리지 기반이며, 다른 강좌는 골웨이의 로스 묵, 미스 카운티의 라흐 카이른, 도네갈 카운티의 텔린 및 라나패스트와 같은 게일터흐트 지역의 호스트 가족과 함께 거주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아일랜드어를 구사하는 하숙집 주인인 ''bean an tí''가 지도를 제공한다.[49] 인기 있는 아일랜드 칼리지/게일타흐트에는 스플레오다르, 콜라시테 세오사이, 우이스케 등이 있다. 게일타흐트에서 십 대를 위한 대부분의 아일랜드어 여름 칼리지는 레히르 모어에 본부를 둔 CONCOS의 지원을 받고 있다.

7. 스코틀랜드 게일어 사용 지역

과거 게일터흐트는 게일어에서 유래한 지명이나 당시 기록에서 볼 수 있듯이 스코틀랜드 남동쪽 끝을 넘어선 지역이나 북쪽 섬의 많은 부분을 포함했다. 여기에는 던디(Dùn Deaghgd), 인버네스(Inbhir Nisgd), 스털링(Sruighleagd), 아가일(Earra-Ghàidhealgd), 갤러웨이(Gall-Ghaidhealaibhgd)가 포함된다. 반대로 글래스고브르타뉴어의 glas cubr(게일어의 Glaschugd)에서 유래했다. 애버딘 역시 브르타뉴어에서 유래했다. 에든버러의 법정에서 스코틀랜드 영어가 사용된 것과 같은 역사적인 이유로 게일터흐트는 대폭 축소되어 현재 서부 섬과 북동부 하이랜드의 스카이 섬, 로하르슈, 아가일, 뷰트 섬만의 영역이 되었고, 글래스고와 에든버러에 소수의 게일어 사용자가 남아있다.[1]

또한 게일어는 캐나다 동부의 노바스코샤, 프린스에드워드 섬, 뉴펀들랜드 섬에서 이민자의 혈통을 가진 공동체 사이에서도 남아있다. 이들 지역을 Gaidhealtachdangd이라고 부른다.[1]

참조

[1] 웹사이트 Webster's Dictionary – definition of Gaeltacht http://www.merriam-w[...] Webster's Dictionary
[2] 학술지 Language and Landscape in the Connemara Gaeltacht 2002-09
[3] 간행물 The Death of a Language http://www.drb.ie/es[...] Dublin Review of Books 2014-06-16
[4] 뉴스 News Report of Friday 29 May 2015 RTÉ 2015-05-29
[5] 웹사이트 NUASHONRÚ AR AN STAIDÉAR CUIMSITHEACH TEANGEOLAÍOCH AR ÚSÁID NA GAEILGE SA GHAELTACHT: 2006–2011 https://static.rasse[...]
[6] 보고서 Coimisiún na Gaeltachta Report https://aran.library[...] The Stationery Office 1925
[7]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the Gaeltacht as a Bilingual Entity. https://files.eric.e[...] 1990
[8] ISB Ministers and Secretaries (Amendment) Act 1956 1956-06-05
[9] si Gaeltacht Areas Order 1956 1956-06-05
[10] 뉴스 Number of Gaeltacht schools using Irish 'in steep decline' http://www.independe[...] 2005-06-11
[11] 웹사이트 Report of the Gaeltacht Commission http://www.ahg.gov.i[...] 2012-08-21
[12] 웹사이트 http://www.pobail.ie[...]
[13] 웹사이트 Census 2006 – Volume 9 – Irish Language http://www.cso.ie/en[...] "[[Central Statistics Office (Ireland)|CSO]]"
[14] 뉴스 Flawed Gaeltacht Bill in need of brave revision http://www.irishtime[...] 2012-07-03
[15] 웹사이트 Teorainneacha na Gaeltachta faoin mBille Nua http://www.beo.ie/al[...] Beo 2012-07
[16] 웹사이트 Tuarascáil Bhliantúil 2012 Annual Report http://www.coimisine[...] An Coimisinéir Teanga
[17] 웹사이트 Nuashonrú ar an Staidéar Cuimsitheach Teangeolaíoch ar Úsáid na Gaeilge sa Ghaeltacht: 2006–2011 http://www.udaras.ie[...] Údarás na Gaeltachta 2015-06-05
[18] 웹사이트 'A lot of work to do' - Census shows drop in Gaeltacht's Irish speakers https://www.newstalk[...]
[19] 웹사이트 Irish Statute Book http://www.irishstat[...]
[20] 웹사이트 Irish Language and the Gaeltacht – CSO – Central Statistics Office https://www.cso.ie/e[...] 2023-12-19
[21] 웹사이트 Resuscitation of the Irish Gaeltacht http://www.geo.hunte[...]
[22] 문서 For a description of this in a local area and the steps taken to counter it, see http://www.udaras.ie/en/faoin-udaras/cliant-chomhlachtai/cas-staideir/ceim-aniar-teo-caomhnu-teanga-i-ndun-na-ngall/.
[23] 웹사이트 http://www.udaras.ie[...]
[24] 웹사이트 Ceisteanna—Questions. Oral Answers. – Gaeltacht Thír Chonaill https://www.oireacht[...] 1975-06-04
[25] 웹사이트 Donegal https://udaras.ie/en[...] "[[Údarás na Gaeltachta]]"
[26] 웹사이트 http://www.udaras.ie[...]
[27] 웹사이트 Galway https://udaras.ie/en[...] "[[Údarás na Gaeltachta]]"
[28] 웹사이트 http://www.udaras.ie[...]
[29] 웹사이트 Gaeltacht Area Kerry http://census.cso.ie[...] "[[Central Statistics Office (Ireland)|Central Statistics Office]]"
[30] 웹사이트 http://www.udaras.ie[...]
[31] 웹사이트 http://www.udaras.ie[...]
[32] 웹사이트 Gaeltacht Area Mayo http://census.cso.ie[...] "[[Central Statistics Office (Ireland)|Central Statistics Office]]"
[33] 웹사이트 http://www.udaras.ie[...]
[34] 웹사이트 Gaeltacht Area Cork http://census.cso.ie[...] "[[Central Statistics Office (Ireland)|Central Statistics Office]]"
[35] 웹사이트 http://www.udaras.ie[...]
[36] 웹사이트 Dáil Éireann (30th Dáil) – Thursday, 18 Feb 2010 – Houses of the Oireachtas https://www.oireacht[...] 2010-02-18
[37] 웹사이트 waterford-news.ie http://www.waterford[...]
[38] 웹사이트 Gaeltacht Area Waterford http://census.cso.ie[...] Central Statistics Office
[39] 웹사이트 udaras.ie http://www.udaras.ie[...]
[40] 웹사이트 Gaeltacht Area Meath http://census.cso.ie[...] Central Statistics Office
[41] 간행물 Language Report: Rath Cairn, the youngest Gaeltacht Spring 1986
[42] 웹사이트 Profile 9 What We Know – Education, skills and the Irish language http://www.cso.ie/en[...] CSO 2012-11-22
[43] 웹사이트 The First Official Language? The status of the Irish language in Dublin http://languageconta[...]
[44] 문서 Council of Europe Charter monitoring report, 2010 http://www.coe.int/t[...]
[45] 뉴스 Language and identity laws could spell significant change https://www.bbc.com/[...] 2022-12-11
[46] 뉴스 Irish language used in Belfast courtroom for first time in 300 years https://m.belfasttel[...] 2024-01-16
[47] 웹사이트 Public Meeting on Clare Gaeltacht Revival http://www.cogar.ie/[...] Cogar.ie 2012-01-27
[48] 웹사이트 Gaeltacht Cheanada – Canada's Gaeltacht http://www.gaeilge.i[...] Foras na Gaeilge 2012
[49] 웹사이트 Coláiste Aoidh Mhic Bhricne ag ceiliúradh 60 bliain http://www.meoneile.[...] Meon Eile 2015
[50] 서적 観光と体験 - this is Ireland https://ireland.ie/j[...] 2020-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