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일 디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일 디버스는 미국의 육상 선수로, 100m와 100m 허들에서 뛰어난 기량을 보였다. 1988년 올림픽에 처음 출전한 후, 그레이브스병을 겪었으나 이를 극복하고 1992년 올림픽 1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100m와 100m 허들에서 모두 우승하며 2관왕에 올랐으며, 1996년 올림픽 100m에서 또 한 번 금메달을 획득하여 올림픽 2연패를 달성했다. 2000년대에도 선수 생활을 이어가며 여러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고, 2007년에는 40세의 나이로 60m 허들에서 세계 기록을 경신하기도 했다. 디버스는 전미 육상 명예의 전당과 미국 올림픽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NCAA 실버 기념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7년 팬아메리칸 게임 육상 참가 선수 - 칼 루이스
    칼 루이스는 미국의 육상 선수로, 올림픽에서 9개의 메달을 획득하고 제시 오웬스의 업적을 재현했으며, IOC와 IAAF로부터 세기의 선수로 선정될 만큼 육상 역사상 위대한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1987년 팬아메리칸 게임 육상 참가 선수 - 하비에르 소토마요르
    하비에르 소토마요르는 쿠바의 높이뛰기 선수로, 2.45m의 세계 기록 보유자이며 올림픽 금메달과 은메달,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두 차례 우승을 차지한 높이뛰기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이다.
  • 미국의 여자 허들 선수 - 달리아 무하마드
    달리아 무하마드는 한국에서 활동하는 이주 배경의 예술가로, 젠더 문제, 다문화 사회, 사회적 불평등 등의 주제를 다루며 미술, 공공 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사회의 다양성을 반영하고 포용성 증진에 기여하지만, 정치적 입장과 소셜 미디어 정보의 정확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미국의 여자 허들 선수 - 시드니 매클로플린
  • 미국의 여자 단거리달리기 선수 - 개브리엘 토머스
    개브리엘 토머스는 1996년 애틀랜타 출생으로 하버드 대학교에서 신경생물학 및 국제보건학을 전공하며 2020년 도쿄 올림픽 200m 동메달, 4x100m 계주 은메달, 202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0m 은메달, 2024년 파리 올림픽 3관왕을 달성한 미국 육상 선수이다.
  • 미국의 여자 단거리달리기 선수 - 헬렌 스티븐스
    헬렌 스티븐스는 미주리주 풀턴 출신의 육상 선수로,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풀턴의 번개"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프로 야구 및 소프트볼 선수, 여성 최초의 준프로 농구팀 구단주 겸 감독으로도 활동한 인물이다.
게일 디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욜란다 게일 디버스
원어 이름Yolanda Gail Devers
출생일1966년 11월 19일
출생지워싱턴주 시애틀
신장160cm
체중52kg
2011년 국립 육상 명예의 전당 헌액 당시의 게일 디버스
2011년 국립 육상 명예의 전당 헌액 당시의 게일 디버스
경력
종목단거리 달리기, 100m 허들
대학팀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주요 성과
올림픽1992년 바르셀로나: 금메달 (100m)
1996년 애틀랜타: 금메달 (100m, 4x100m 계주)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1991년 도쿄: 은메달 (100m 허들)
1993년 슈투트가르트: 금메달 (100m, 100m 허들), 은메달 (4x100m 계주)
1995년 예테보리: 금메달 (100m 허들)
1997년 아테네: 금메달 (4x100m 계주)
1999년 세비야: 금메달 (100m 허들)
2001년 에드먼턴: 은메달 (100m 허들)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1993년 토론토: 금메달 (60m)
1997년 파리: 금메달 (60m)
2003년 버밍엄: 금메달 (60m 허들)
2004년 부다페스트: 금메달 (60m), 은메달 (60m 허들)
IAAF 그랑프리 파이널1996년 밀라노: 은메달 (100m 허들)
2000년 도하: 금메달 (100m 허들)
2002년 파리: 금메달 (100m 허들)
팬 아메리칸 게임1987년 인디애나폴리스: 금메달 (100m, 4x100m 계주)
개인 최고 기록
100m10.82초 (1992년)
100m 허들12.33초 (2000년)

2. 생애 및 선수 경력

게일 디버스는 100미터와 100미터 허들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인 선수였다. 1988년 하계 올림픽을 준비하던 중 건강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레이브스병을 극복하고 세계 정상급 선수로 성장했다.

1990년 그레이브스병 진단을 받고 방사성 요오드 치료와 갑상선 호르몬 대체 요법을 받았다.[1] 치료 과정에서 발에 물집이 생기고 부어 거의 걸을 수 없게 되었지만, 방사선 치료를 중단하고 회복하여 훈련을 재개했다. 199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00m 허들 은메달을 획득하며 성공적인 복귀를 알렸다.

1992년 하계 올림픽 100m 결승에서는 사진 판독 끝에 자메이카줄리엣 커스버트를 꺾고 금메달을, 1996년 하계 올림픽 100m 결승에서는 멀린 오티와 같은 기록을 냈지만, 다시 한번 사진 판독 끝에 승리하여 올림픽 100m 2연패를 달성했다. 4 × 100m 릴레이에서도 금메달을 추가했다.

199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100m와 100m 허들에서 모두 우승하며 2관왕을 차지했고, 199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100m 허들 타이틀을 방어했다.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준결승에서 기권했지만, 이후에도 선수 생활을 이어가며 2004년 아테네 올림픽까지 5번의 올림픽에 참가했다.[5] 2007년에는 40세의 나이로 밀로스 게임 60m 허들에서 우승하며 건재함을 과시했다.[6]

디버스는 선수 생활 동안 매우 길고 화려한 손톱을 가진 것으로 유명했다. 긴 손톱 때문에 출발 자세를 변경해야 했으며,[7] 이는 어릴 적 손톱을 물어뜯는 버릇을 고치기 위한 아버지의 아이디어였다.[8]

2. 1. 초기 생애

게일 디버스는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태어나 캘리포니아주 내셔널시티 근처에서 자랐으며, 1984년 스위트워터 고등학교를 졸업했다.[1] 스위트워터의 축구 및 육상 경기장은 나중에 게일 디버스 스타디움으로 명명되었다.

2. 2. 선수 경력 초반

게일 디버스는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태어나 캘리포니아주 내셔널시티 근처에서 자랐으며, 1984년 스위트워터 고등학교를 졸업했다.[1] 100미터와 100미터 허들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이며 유망주로 떠올랐다. 1988년 하계 올림픽을 위해 훈련하던 중 편두통 및 시력 상실을 포함한 건강 문제로 고통받기 시작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100m 허들 종목에 출전했으나 준결승에서 탈락했다.

2. 3. 그레이브스병 투병과 회복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위해 훈련하던 중 편두통 및 시력 상실을 포함한 건강 문제로 고통받기 시작했다. 올림픽 100미터 허들 준결승에서 탈락했고, 건강은 계속 악화되었다.

1990년, 그녀는 그레이브스병 진단을 받았고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받았으며, 이후 갑상선 호르몬 대체 요법을 받았다. 방사선 치료를 받는 동안 디버스는 발에 물집과 부종이 생기기 시작했다. 결국 그녀는 거의 걸을 수 없게 되었다. 방사선 치료가 중단된 후 디버스는 회복하여 훈련을 재개했다. 199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그녀는 100m 허들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

2. 4. 전성기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100m 결승에서 5명의 선수가 0.06초 이내로 결승선을 통과하는 접전이 벌어졌다. 사진 판독 결과 디버스가 자메이카줄리엣 커스버트를 간신히 이기고 금메달을 획득했다.[1] 100m 허들 결승에서는 마지막 허들에 걸려 넘어지면서 5위를 기록, 그리스의 부울라 파투리두가 우승했다.

199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디버스는 멀린 오티와의 사진 판독 끝에 100m 공동 우승을 차지했고,[1] 100m 허들에서도 우승하여 2관왕에 올랐다. 1995년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100m 허들 타이틀을 유지했다.[1]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100m 결승은 1993년 세계 선수권 대회와 비슷하게 진행되었다. 디버스와 오티는 다시 한번 같은 기록(10.94초)으로 결승선을 통과했고, 사진 판독 끝에 디버스가 우승, 와오미아 타이어스 이후 처음으로 올림픽 100m 2연패를 달성했다.[1] 셸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가 2012년에, 일레인 톰슨-헤라가 2021년에 이 기록을 달성했다. 100m 허들에서는 4위에 그쳤지만, 4 × 100m 릴레이에서 금메달을 추가했다.[1]

199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100m 허들에서 다시 우승했다.[1]

2. 5. 2000년대 이후

디버스는 199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지만, 2000년 하계 올림픽 100m 허들 준결승에서 기권했다.[1]

200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00m 허들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2002년 IAAF 월드컵 100m 허들에서 우승했다. 2003년과 2004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60m와 60m 허들 종목에서 번갈아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4년 하계 올림픽 아테네에서 100m와 100m 허들에 출전하여 다섯 번째 올림픽에 참가했으나,[5] 100m 준결승, 100m 허들 준결승에서 모두 탈락했다.

2005년 잠시 선수 생활을 중단하고 남편과의 사이에서 아이를 낳았고, 2006년에 복귀했다.

2007년 2월 2일, 40세의 디버스는 2004년 올림픽 챔피언 조안나 헤이즈를 제치고 밀로스 게임 60m 허들 종목에서 7.86초로 우승했는데, 이는 그 시즌 세계 최고 기록이자 2003년에 세운 기록보다 0.12초 뒤진 기록이었다. 게다가 이 기록은 40세 여성의 세계 기록을 거의 0.7초나 넘어선 기록이다.[6]

3. 주요 국제 대회 기록

연도대회개최지종목결과기록
1988올림픽대한민국 서울100m 허들8위 (준결승)13.51
1991세계 선수권 대회일본 도쿄100m 허들Silver medal|은메달영어12.63
1992올림픽스페인 바르셀로나100mGold medal|금메달영어10.82
100m 허들5위12.75
1993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캐나다 토론토60mGold medal|금메달영어6.95
세계 선수권 대회독일 슈투트가르트100mGold medal|금메달영어10.82
100m 허들Gold medal|금메달영어12.46
4 x 100m 릴레이Silver medal|은메달영어41.49
1995세계 선수권 대회스웨덴 예테보리100m 허들Gold medal|금메달영어12.68
1996올림픽미국 애틀랜타100mGold medal|금메달영어10.94
100m 허들4위12.66
4 x 100m 릴레이Gold medal|금메달영어41.95
1997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프랑스 파리60mGold medal|금메달영어7.06
세계 선수권 대회그리스 아테네4 x 100m 릴레이Gold medal|금메달영어41.47
1999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일본 마에바시60mSilver medal|은메달영어7.02
세계 선수권 대회스페인 세비야100m5위10.95
100m 허들Gold medal|금메달영어12.37
4 x 100m 릴레이4위42.30
2000올림픽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100m 허들DNF (준결승)
2001세계 선수권 대회캐나다 에드먼턴100m 허들Silver medal|은메달영어12.54
2002IAAF 월드컵스페인 마드리드100m 허들Gold medal|금메달영어12.65
2003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영국 버밍엄60m 허들Gold medal|금메달영어7.81
세계 선수권 대회프랑스 파리100m6위11.11
100m 허들3위 (준결승)12.87
월드 육상 파이널모나코 몬테카를로100m 허들Gold medal|금메달영어12.45
2004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헝가리 부다페스트60mGold medal|금메달영어7.08
60m 허들Silver medal|은메달영어7.78
올림픽그리스 아테네100m7위 (준결승)11.22
100m 허들DNF (준결승)


4. 업적 및 수상

2011년 전미 육상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9] 이듬해 미국 올림픽 명예의 전당에도 헌액되었다.[9] 2012년 11월에는 NCAA 실버 기념상 수상자로 발표되었는데, 이 상은 대학 스포츠 경력 25주년을 기념하여 매년 6명의 뛰어난 전직 대학 선수들에게 수여된다.[10]

5. 개인 최고 기록

종목기록날짜
100m10초 821992년
100m 허들12초 332000년


6. 기타

게일 디버스는 선수 시절 매우 길고 화려한 손톱으로 유명했다. 긴 손톱 때문에 출발 자세를 변경해야 했는데,[7] 이는 어렸을 때 손톱을 물어뜯는 버릇을 고치기 위해 아버지가 제안한 대회에서 비롯된 것이었다.[8]

참조

[1] 웹사이트 Gail Devers https://web.archive.[...] USA Track & Field 2015-05-20
[2] 웹사이트 Say How? A Pronunciation Guide to Names of Public Figures: D – Library of Congress. https://web.archive.[...] 2017-08-02
[3] 웹사이트 Event Report – Women's 100m – Final http://berlin.iaaf.o[...] 2009-08-17
[4] 웹사이트 Athletics LLC EP35: Gail Devers https://www.youtube.[...] 2020-12-04
[5] 웹사이트 Gail DEVERS | Profile https://www.iaaf.org[...]
[6] 웹사이트 Records Indoor Women https://web.archive.[...] 2010-02-07
[7] 웹사이트 Long Nails: Gail Devers's long nails – 1 https://web.archive.[...] 2020-03-16
[8] 웹사이트 Athlete: Gail Devers – the Many-Splendored Faces of Today's Black Woman Ebony – Find Articles https://web.archive.[...] 2022-06-06
[9] 웹사이트 USA Track & Field – Devers, O'Brien, Temple, Connolly selected to U.S. Olympic Hall of Fame https://web.archive.[...] 2019-11-23
[10] 간행물 NCAA announces Silver Anniversary Award winners https://web.archive.[...] 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2012-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