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겸지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겸지왕은 492년에 즉위하여 521년까지 금관가야를 통치한 왕이다. 김겸왕이라고도 불리며, 신라의 잦은 공격에 직면했다. 왕비는 출충의 딸 숙으로 구형왕을 낳았다. 김해 봉황대 설화에 따르면 유민공주라는 딸이 있었으며, 당시 금관가야와 신라 간의 긴장 관계를 보여주는 설화가 전해진다. 질지왕과 방원부인의 아들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관가야 국왕 - 수로왕
    김수로왕은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이자 초대 왕으로, 42년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알에서 태어나 가락국을 건국하고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을 왕비로 맞이하여 가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능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고 김해 김씨의 시조로 받들어지고 있다.
  • 금관가야 국왕 - 구형왕
    구형왕은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으로, 신라에 항복 후 신라 진골 귀족으로 편입되었으며, 그의 후손 김유신은 신라의 삼국통일에 공헌하였다.
  • 6세기 한국의 군주 - 법왕
    법왕은 백제의 제29대 왕으로, 혜왕 또는 위덕왕의 아들이며, 재위 기간 동안 불교를 숭상하고 미륵사 건립을 추진했으며 백성들에게 고기잡이와 사냥을 금지하는 정책을 펼쳤다.
  • 6세기 한국의 군주 - 동성왕
    동성왕은 백제 제22대 왕으로 왕권 강화, 활발한 외교, 탐라 정벌 등 국력 신장에 기여했으나 말년의 폭정으로 암살당했으며, 무령왕과의 관계는 기록이 엇갈려 논쟁거리가 된다.
  • 5세기 한국의 군주 - 장수왕
    장수왕은 광개토왕의 맏아들로 즉위 후 연호를 사용하고 광개토대왕릉비 등을 건립하여 고구려의 위상을 드높였으며, 평양으로 천도하여 남진 정책을 추진하고 백제를 공격하여 한반도 중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다가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5세기 한국의 군주 - 아신왕
    아신왕은 백제 제17대 국왕으로, 고구려의 침략에 맞서 왜와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등 국운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나, 전쟁에서의 패배로 백제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의 삶과 결정은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겸지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겸지왕
다른 이름금겸왕
한자 표기鉗知王
金鉗王
로마자 표기Gyeomji wang
Geumgyeom wang
신상 정보
김겸지
존칭폐하
출생생년 미상
사망521년
배우자숙부인
자녀구형왕
김탈지
부모부: 질지왕
모: 방원부인
왕위 정보
왕조금관가야
대수제9대
재위 기간492년 - 521년
즉위 전질지왕
계승자구형왕
기타 정보
묘호미상
시호숙왕
능묘미상
가문김해 김씨

2. 생애

겸지왕은 김겸왕(金鉗王)이라고도 불린다.[3] 왕비는 각간(角干) 출충(出忠)의 딸 숙(淑)으로 구형왕의 어머니이다.[3]

김해 봉황대 설화에 따르면, 겸지왕에게는 유민공주(流民公主)라는 외동딸이 있었다. 신라의 잦은 공격에 공을 세운 황세장군을 부마로 삼았으나, 황세장군은 혼인 전 약혼했던 여의낭자가 죽자 따라 죽었다. 이에 유민공주는 크게 슬퍼하며 임호산(林虎山)에 출가하였고, 이후 그 산은 유민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2. 1. 즉위와 통치

영명(永明) 10년(492년)에 즉위하였다. 재위 기간은 30년으로, 정광(正光) 2년(521년) 4월 7일에 사망하였다. 왕비는 각간(角干) 출충(出忠)의 딸 숙(淑)으로 구형왕(仇衡王)을 낳았다.[3]

2. 2. 사망

정광 2년(521년) 4월 7일에 사망하였다.[3]

2. 3. 설화

김해 봉황대 설화에 따르면, 겸지왕에게는 유민공주(流民公主)라는 외동딸이 있었다. 신라의 잦은 공격에 공을 세운 황세장군을 부마로 삼았으나, 황세장군은 혼인 전 약혼했던 여의낭자가 죽자 따라 죽었다. 이에 유민공주는 크게 슬퍼하며 임호산(林虎山)에 출가하였고, 이후 그 산은 유민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3. 가계

겸지왕은 질지왕과 방원부인의 아들이며, 왕후는 각간 출충의 딸 숙부인이다.

관계이름비고
부왕질지왕
모후방원부인
왕후숙부인각간 출충의 딸
장남구형왕
차남김탈지이질금


참조

[1] 문서
[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21-07-04
[3] 문서 권2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겸지왕(鉗知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