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공황귀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공황귀비는 옹정제 시대에 태어나 건륭제의 후궁이 된 인물로, 한족 평민 출신이다. 건륭 연간에 귀인, 경빈, 경비, 경귀비로 책봉되었으며, 령귀비의 아들인 가경제의 양육을 맡았다. 건륭 39년에 사망하여 서화원에 묻혔으며, 가경제에 의해 경공황귀비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4년 사망 - 프랑수아 케네
    프랑수아 케네는 프랑스의 의사이자 경제학자로, 중농학파의 창시자이며, 농업을 부의 유일한 원천으로 보는 경제 순환 모델을 제시하고 자유방임주의 경제 정책을 주창하여 경제학과 프랑스 경제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774년 사망 - 로버트 클라이브
    로버트 클라이브는 18세기 영국 동인도회사 소속으로 인도에서 활동하며 영국령 인도의 기틀을 다졌으나, 부정부패 혐의와 벵골 대기근 등의 부정적 영향 또한 남긴 인물이다.
  • 1724년 출생 - 이마누엘 칸트
    이마누엘 칸트는 1724년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나 평생 그곳에서 연구하며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등을 통해 인식론, 윤리학, 미학에 혁신적인 사상을 제시하여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1724년 출생 - 프리드리히 고틀리프 클로프슈토크
    프리드리히 고틀리프 클로프슈토크는 18세기 독일의 시인이자 작가로, 서사시 《메시아》를 통해 독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언어 및 문헌학 연구에도 기여했으며 미국 독립 전쟁과 프랑스 혁명에도 관심을 가진 인물이다.
  • 청나라의 후궁 - 화유황귀비
    화유황귀비는 청나라 가경제의 후궁으로, 가경제의 첩 시절 두 자녀를 두었으며 함비, 함귀비를 거쳐 현희황귀태비로 봉해졌고 사후 화유황귀비로 추증되었으며 73세에 사망하여 창릉에 안장되었다.
  • 청나라의 후궁 - 경민황귀비
    경민황귀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옹친왕 인상의 생모이며, 비빈으로 총애를 받아 윤상 등 자녀를 낳고 사망 후 민비로 추증, 아들 윤상의 공헌으로 황귀비로 추봉, 최종적으로 경민황귀비로 추존되어 경릉에 합장되었으나, 출생년도, 입궁 시기, 가족 배경 등은 상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경공황귀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건륭제의 경빈
경빈
이름육 (陸; Lu) (출생 시)
성씨아이신 교로 (Aisin Gioro) (결혼 후)
출생일1724년 8월 12일 (옹정 2년 6월 24일)
사망일1774년 8월 21일 (건륭 39년 7월 15일)
사망 장소자금성
매장지동청릉 유릉 비원침
배우자건륭제 (1774년 결혼)
시호경공황귀비 (慶恭皇貴妃; Qinggong Huangguifei)
품계
초기 품계육상재 (陸常在)
최종 품계 (사후 추증)경공황귀비 (慶恭皇貴妃)
가족 관계
부친육사륭 (陸士隆)

2. 생애

경공황귀비는 한족 평민 출신으로, 언제 입궁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건륭 연간에 후궁이 되었다. 건륭 13년(1748년) 귀인, 건륭 16년(1751년) 경빈, 건륭 24년(1759년) 경비, 건륭 33년(1768년) 경귀비로 책봉되었다.

영귀비가 많은 자녀를 양육하느라 고생하는 동안, 경비는 친자가 없어 영귀비의 차남 영염을 양자로 삼아 키웠다.[2]

건륭 39년(1774년) 7월 15일에 51세로 사망하였고,[1] 건륭 40년(1775년) 유릉비원침에 안장되었다. 가경 4년(1799년), 가경제는 자신을 길러준 경비의 은혜를 기려 경공황귀비로 추존하였다.

2. 1. 초기 생애

경공황귀비는 1724년 8월 12일 (옹정 2년 6월 24일)에 태어났다.[1] 한족 평민 출신으로, 이름은 역사에 기록되지 않았다.[1]

언제 입궁하였는지는 불분명하다. 육씨는 민인 출신으로 팔기 이외의 사람이 수녀선발을 통해 입궁할 수 없었다. 방비 진씨와 녹귀인 모두 남방염정과 세무감찰소가 내정에 들어간 점으로 미뤄, 육씨는 당시 봉양관 세무감사인 보복정이 내정에 들어온 여자로 추정된다. 보복은 건륭 7년(1742년)에서야 이 직책을 맡았는데, 이전에는 육고 사무량을 총괄하는데 그쳤다. 따라서 육씨는 건륭 7년에서 건륭 12년(1747년) 사이에 입궁한 것으로 보인다.[1]

건륭 13년(1748년) 정월에 이미 육상재로 봉해졌고,[1] 같은 해 4월 12일에 나상재와 함께 귀인이 되었다.[1] 건륭 16년(1751년) 정월 초이틀에 경빈으로 진봉되고, 그해 6월 초이틀에 경빈 책봉례가 정식으로 행해졌다.[1]

경공황귀비 가계
관계이름
아버지사륭(士隆)
형제4명[1]


2. 2. 후궁 생활

육씨의 입궁 시기는 불분명하나, 팔기 이외의 사람이 수녀선발을 통해 입궁할 수 없었던 점, 방비 진씨와 녹귀인이 남방염정과 세무감찰소가 내정에 들어간 점으로 미뤄, 건륭 7년에서 건륭 12년(1747년) 사이에 입궁한 것으로 추정된다.[3]

건륭 13년(1748년) 정월, 육상재로 봉해졌고, 같은 해 4월 12일 귀인으로 책봉되어 육귀인이라 불렸다.[3] 건륭 16년(1751년) 정월 초이틀, 경빈으로 진봉되었고, 같은 해 6월 초이틀 책봉례가 거행되었다.[4] 건륭 24년(1759년) 11월 21일, 경비로 진봉되었고, 12월 18일 책봉례가 치러졌다. 건륭제는 책봉례에 앞서 경빈에게 산호조주와 금박쌍동주추를 하사했다.[5]

건륭 25년(1760년), 경비는 궁내 일감을 맡기고 은 41냥을 전달했으나, 유진옥이 은 26냥을 착복하는 사건이 있었다. 건륭 33년(1768년) 5월 21일, 경비는 학칙을 내려 여자 한 명에게 평상시에 봉했다. 가경제의 어릴 적 종두 기록에 따르면, 건륭 30년(1765년) 이전 경비 육씨는 가경제의 양어머니였다. 건륭 33년(1768년) 10월 6일, 경귀비로 정식 책봉되었다.[6]

건륭제는 3년간 병을 앓은 경귀비를 위해 양의를 찾아다녔지만 효험이 없자, 경귀비를 창춘원 서쪽 서화원에 머물게 했다. 건륭제는 피서산장에 도착한 후에도 경귀비의 근황을 묻고, 위독하다는 소식에 즉시 사람을 보냈다.

2. 3. 말년

건륭 33년(1768년) 5월 21일, 경비는 학칙을 내려 여자 한 사람에게 평상시에 봉했다. 가경제의 어릴 적 종두 기록에 따르면 건륭 30년(1765년) 이전에 경비 육씨는 가경제의 양어머니였다.[2] 건륭 33년 10월 6일, 경비가 정식으로 경귀비로 책봉되었다.

건륭제는 3년 동안 병을 앓은 경귀비를 위해 양의를 찾아다녔지만, 효과가 없자 그녀를 창춘원(𣈱春園) 서쪽에 있는 서화원에 머물게 했다. 건륭제는 피서산장에 도착한 후에도 여전히 그녀의 몸이 매우 마음에 걸려 매번 그녀의 근황을 물었다. 경귀비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고 즉시 사람을 보냈다. 건륭 39년(1774년) 7월 15일, 경귀비는 병으로 서화원에서 5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1]

경귀비가 병으로 사망한 날로부터 닷새 만에 금관이 길안소에서 정안장으로 옮겨지자 효를 입은 황자, 공주, 복진 등이 정안장으로 가서 거상하였고, 15황자는 신무문 안 동쪽 북소화원에서 효를 입혔다. 건륭 40년(1775년) 10월 26일, 금관은 유릉비원침에 묻혔다.

가경 4년(1799년) 정월 4일, 태상황 건륭제가 가경제를 길러준 은혜와 배려를 기려 육씨를 경공황귀비로 추서하였다.

2. 4. 가족 관계

경비의 친정은 한족 평민 가문이었다. 건륭 22년(1757년), 경비의 가족들은 관례를 따라 기적(旗籍)에 이름을 올렸다.[1]

건륭제는 경비 육씨의 친척인 "육마마의숙"이 겁이 많고 무능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선동당할 우려가 있다고 여겼다. 그래서 사람을 보내 그를 감시하고, 관련 지역 관원에게도 밀지를 내려 그를 구속하고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였다.[1]

2. 4. 1. 가족 구성

관계이름(성씨)배우자비고
육사륭육사룡, 육세룡, 한산 등으로 불린다.[1] 건륭 22년(1757년) 9월, 육사룡은 현 승려를 헌납하고 부후보로 가려고 했다.[1] 안녕은 "현 승려를 기부하는 것은 지방에서 일을 일으키지 않은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 같다."라고 생각하고, 마침내 부로 가게 했다.[1] 건륭제는 이를 들은 후 안녕을 책망하였다.[1] "각찰이 잘못되어 이 사람에게 관직을 대신 기부하게 되었다."[1]
남동생육유등건륭 22년(1757년) 각자에게 복갑상냥의 곡식 미석, 육기보, 복갑인을 주었다.[1]
육정영
육조원
육조보
여동생육씨건륭 22년(1757년)에 세 명의 여동생이 수도에 들어왔다.[1]
조카육숭령백당아, 육송령, 가경 연간에 기도위에게 상을 받았다.[1]
조카손자육상복한산



건륭 22년(1757년) 10월, 경비의 부모, 형제, 조카 총 15명, 친가 15명과 하인 남자 23명이 상경하여 이빈의 아버지 백사채의 예를 따라 기적에 이름을 올렸다.[1] 내무부는 육사륭의 네 아들에게 1인당 3냥의 양식을 입히고, 탁주지 칠경팔십오묘의 연강 임대료를 받을 수 있으며, 정양문 박 서하에서 임대료를 열 칸씩 받으면 매월 12냥의 임대료를 받을 수 있으며, 숭문문 안 쑤저우 골목의 관방 75칸 중 43칸을 뽑아 그 가족의 주거를 제공했다.[1]

참조

[1] 서적 Ho & Bronson (2004)
[2] 문서 Qing Shi Gao vol. 214
[3] 문서 乾隆十三年 四月 十二日
[4] 문서 乾隆十六年 六月 八日
[5] 문서 乾隆二十四年 十二月 十八日
[6] 문서 乾隆三十三年 十月 六日
[7] 문서 嘉慶四年 正月 四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