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남대학교는 1946년 서울에서 국민대학관으로 설립되어, 1948년 국민대학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최범술 측과의 갈등으로 운영권을 잃고 마포에 재개교한 국민대학관이 현재의 경남대학교가 되었다. 한국전쟁 중 해인대학, 마산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며 여러 차례 이전을 거쳐 1973년 현재의 창원시 월영동 캠퍼스로 이전했다. 1982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1987년 학교법인 명칭을 변경했다. 경남대학교는 일반대학원 및 특수대학원을 운영하며, 중앙도서관, 박물관 등의 부속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원시의 학교 - 창신대학교
창신대학교는 1990년 창신전문대학으로 설립되어 2011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간호대학 등을 운영하고 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을 갖춘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이다. - 창원시의 학교 - 국립창원대학교
1969년 마산교육대학으로 설립되어 마산초급대학과 마산대학을 거쳐 1991년 국립 창원대학교로 승격된 이 대학은 8개의 단과대학과 7개의 대학원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교육과 연구,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경상남도의 대학교 -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는 1946년 개교한 대한민국 최초의 국립 종합대학교로, 진리·자유·봉사를 교육 이념으로 삼아 부산, 양산, 밀양에 캠퍼스를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대학 및 대학원을 갖춘 동남권 대표 거점국립대학교이다. - 경상남도의 대학교 - 창신대학교
창신대학교는 1990년 창신전문대학으로 설립되어 2011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간호대학 등을 운영하고 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을 갖춘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이다. - 대한민국의 대학 야구부 -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는 1906년 명진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캠퍼스를 운영하며 불교 정신을 바탕으로 교육하고 특성화된 학과와 부속 기관을 갖춘 대한민국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대한민국의 대학 야구부 -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는 1947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로, 죽전캠퍼스와 천안캠퍼스를 운영하며, 생명과학, 정보통신, 문화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운영하며 연구 활동과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경남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대학 이름 | 경남대학교 |
로마자 표기 | Gyeongnam Daehakgyo |
한자 표기 | 慶南大學校 |
영문 표기 | Kyungnam University |
설립일 | 1946년 9월 1일 |
개교일 | 1946년 12월 27일 |
유형 | 사립 종합대학 |
건학 이념 | 실천궁행, 국구독립, 이교위가 |
모토 | 진리, 자유, 창조 |
마스코트 | "한마"라는 이름의 말 |
별칭 | 경대 |
학교법인 | 한마학원 |
캠퍼스 | 도시형 |
색상 | 하늘색 |
웹사이트 | 경남대학교 홈페이지 |
위치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 자치 단체 | 경상남도 |
기초 자치 단체 | 창원시 |
행정 구역 |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 |
구성원 | |
총장 | 박재규 |
교수진 | 900명 (2013년) |
학부생 | 15,000명 |
대학원생 | 2,000명 |
전체 학생 | 17,000명 |
학교 규모 | |
캠퍼스 | 1개 |
대학 | 7개 |
대학원 | 4개 |
2. 연혁
1946년 9월 1일 서울에서 '''국민대학관'''으로 설립되었으나, 한국전쟁으로 인해 남쪽으로 이전하였다. 1952년 해인사 경내에 자리 잡으면서 '''해인대학'''으로, 1961년에는 '''마산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71년 12월 31일 '''경남대학'''(慶南大學)으로 교명을 변경하였고,[5] 1982년 3월 1일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다.
2. 1. 설립 초기 (1946년 ~ 1960년)
1946년 9월 1일 서울에서 독립지사였던 신익희 선생(설립자)과 이승만, 김구 선생(고문)이 뜻을 모아 '''국민대학관'''(國民大學館)을 설립했고, 1948년 8월 10일 '''국민대학'''(國民大學)으로 승격했으며, 신익희 선생이 초대학장에 취임함으로써 대학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5]이때 주로 자금을 댄 최범술 측과 학생들의 갈등이 생기면서 학교 운영권을 잃은 최범술측 재단은 서울 마포에 비인가 대학으로 국민대학관을 재개교 하였다. 이것이 현재 경남대학교의 시초이다.[5]
한국전쟁 시기, 마포의 국민대학관은 합천 해인사 경내로 이전하면서 1952년 3월 23일 '''해인대학'''(海印大學)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3] 같은 해 8월 다시 경상남도 진주시 강남동으로 옮겼으며, 1956년 4월에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완월동에 위치한 새 교사로 이전하였다.[5] 한국 전쟁으로 인해 서울에 남아 있는 것보다 남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유리했기 때문이다.[2] 1961년 2월 22일, '''마산대학'''(馬山大學)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5]
2. 2. 발전기 (1961년 ~ 1981년)
1961년 2월 22일, 해인대학에서 '''마산대학'''(馬山大學)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5]1968년 학교법인 삼양학원이 대학 운영을 맡게 되었으며, 1970년 5월 20일 학교법인 경남학원으로 정관을 변경하면서 제2의 창학기를 맞았다. 1971년 12월 31일 '''경남대학'''(慶南大學)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5]
1973년 11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영동 449번지 일대의 약 120000m2에 달하는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2. 3. 종합대학교 승격 이후 (1982년 ~ 현재)
1982년 3월 1일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1987년 11월 학교법인 명칭을 경남학원에서 한마학원으로 변경하였다.[5] 2021년 정부 일반재정지원대학으로 선정되었다.3. 교육 및 연구
경남대학교는 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을 설립하여 석·박사 과정을 제공하고 있으며, 1976년 개관한 박물관을 통해 가야 유적 및 유물 연구에 힘쓰고 있다.
3. 1. 대학원
경남대학교는 일반대학원 1개원, 특수대학원 3개원을 설립하여 석·박사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3. 2. 부설 연구기관
1976년 11월 18일에 개관한 경남대학교 박물관은 경남 지방의 향토문화와 가야 유적 및 유물 연구에 특화되어 있다. 박물관은 개관 당시 인문관에 위치했다가 1980년 9월 중앙도서관, 2008년 5월 한마미래관으로 이전하였다. 2006년 1월 경상남도에 박물관 등록을 하고, 같은 해 4월 국립중앙박물관으로부터 '경력인정대상기관'으로 선정되었다. 박물관 부설 연구기관으로 '가라문화연구소'를 두고 옛 가야지역(주로 마산과 창원지역 등 중부해안지대)의 역사, 문화, 사회에 대한 종합적 연구를 진행하면서 기관지 《가라문화》를 간행하고 있다. 또한 일본 야마구치현립대학 도서관에 소장되었던 '데라우치문고' 중 한국사와 관련된 전적류 98종 135점을 기증받아 소장하고 있다.4. 캠퍼스
경남대학교는 캠퍼스로 중앙도서관, 박물관 등을 갖추고 있다. 중앙도서관은 3761m2 규모의 현대식 건물로, 다양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으며 전자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한다. 박물관은 1976년 개관하여 가야 유물과 유적에 특화되어 있으며, 부설 연구기관으로 '가라문화연구소'를 두고 있다.
4. 1. 주요 시설
경남대학교의 중앙도서관은 지하 1층, 지상 10층, 연건평 3761m2 규모의 현대식 건물이다. 1층은 대출실, 전자정보자료실, 2층은 일반 열람실, 3층은 연속간행물실, 수험자료실, 학위논문실, 4층은 참고자료실, 신간자료실, 고전자료실, 한적실, 5층은 중앙도서관장실, 학술정보실 및 전산실, 6층은 일반열람실로 운영되고 있다. 단과대학 독서실을 포함하여 2,100여 석의 열람 좌석을 갖추고 있으며, 약 80만여 권의 장서를 소장하고 있다. 웹 기반의 전자도서관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갖추고 있다.경남대학교 박물관은 1976년 11월 18일에 개관하였다. 개관 당시 인문관에 위치하였던 박물관은 1980년 9월 중앙도서관으로 이전하였다가 2008년 5월에 한마미래관으로 이전하였다. 2006년 1월에는 경상남도에 박물관 등록을 하고, 같은 해 4월에 국립중앙박물관으로부터 '경력인정대상기관'으로 선정되었다. 경남대학교 박물관은 경남 지방의 향토 문화 연구와 선사 시대 및 삼국 시대 가야의 유적과 유물에 특화되어 있으며, 각종 보고서와 전시 등을 통해 그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부설 연구기관으로 '가라문화연구소'를 두고 옛 가야 지역(주로 마산과 창원 지역 등 중부 해안 지대)의 역사와 문화, 사회에 대한 종합적 연구를 진행하면서 기관지인 《가라문화》를 간행하고 있다. 또한 일본의 야마구치현립대학 도서관에 소장되었던 '데라우치문고' 중 한국사와 관련된 전적류 98종 135점을 기증받아 소장하고 있다.
5. 저명한 동문
경남대학교 출신 저명한 동문은 분류:경남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참조
[1]
웹사이트
Mission&Vision
https://www.kyungnam[...]
2023-06-07
[2]
서적
Study in Korea
https://books.google[...]
Korea Research Foundation
[3]
서적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e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Buddhist Thought & Culture.
[4]
웹사이트
대학알리미 개별 공시
https://www.academyi[...]
[5]
간행물 # 출처가 불분명하여 간행물로 분류. 더 정확한 정보가 있다면 수정해야 함.
해방 직후 경남의 국립대는 부산대였다. 부산은 당시 경남의 도청 소재지로서 부산대 역시 경남에 소속된 시였으나 부산이 1963년 정부직할시로 승격됨으로써 경상남도에서 분리됐다. 이에 따라 부산대도 경남의 국립대가 아니라 부산의 국립대가 돼 부산의 15배에 달하는, 울산을 포함한 경남을 포기해야 했다. 부산시의 분리에 따라 국립대가 없어진 경남은 도립진주농과대학의 국립 승격을 요구하였고 1968년 국립으로 전환하게 된다. 진주농과대학은 1972년 7월 그 이름을 경상대학으로 개칭하였다. 이에 앞서 마산대학을 인수한 삼양학원 이사장에 대통령 경호실장 박종규가 1970년 2월 18일 취임했고 5월 20일에는 학교법인 삼양학원의 이름을 경남학원으로 바꿨다. 이어 1971년 12월 교명을 경남대학으로 변경하였다. 이 때문에 6개월 차이로 이름을 빼앗긴 경상대는 국립대임에도 도명을 교명으로 사용하지 못함으로써 거점국립대 이미지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2026학년도 수시모집 총 1934명 선발
‘지방 청년의 꿈’ 조선소의 퇴락…그러나 다른 길도 없었다
경남교육청 ‘아이좋아 대학진학박람회’ 18∼19일 창원서 개최
4월30일 인사
4월7일 알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