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상남도청은 경상남도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으로, 진주시 월아산로에 위치하고 있다. 청사에는 서부청사가 있으며, 도지사, 행정부지사, 서부부지사 아래 여러 부서와 직속기관, 지역본부, 사업소를 두고 있다. 산하에는 8개의 시와 10개의 군을 두고 있으며, 2018년 기준 총 1,506명의 정원을 두고 있다. 2018년 총예산은 7조 2,797억 6,106만 2,000원이었으며, 국장 휴가비 각출 논란과 같은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남도청 - 경상남도체육회
경상남도체육회는 1945년 경상남도체육협회로 설립되어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부산, 울산광역시체육회 분리 및 학교, 생활체육회를 흡수하고 회장, 사무처 등을 갖춘 조직으로 8개 시와 10개 군에 지부를 둔다. - 경상남도청 - 경상남도농업기술원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은 경상남도 지역의 농업 기술 연구 및 개발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1908년에 설립되어 지역 특화 작물 연구 및 기술 개발을 담당하며, 농가 소득 증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 1896년 설립 -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
- 1896년 설립 - 부산지방법원
부산지방법원은 1896년 부산재판소를 전신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지방법원으로, 일제강점기 일본인 거류민 재판을 위해 설치되었으나 해방 후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되었으며, 부산광역시의 일부 구와 군을 관할하는 본원, 동부지원, 서부지원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재판부와 사무국을 두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경상남도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현지어 이름 | Gyeongnam Provincial Government (영어) |
설립일 | 1896년 8월 4일 |
표어 | Bravo Gyeongnam |
소재지 | 경상남도 창원시 |
직원 | 1,450명 (국가직 제외) |
예산 | 7조 2797억 6106만 2000원 |
기관장 성명 | 박완수 |
기관장 직책 | 도지사 |
기관장2 성명 | 최만림 |
기관장2 직책 | 행정부지사 |
기관장3 성명 | 김병규 |
기관장3 직책 | 경제부지사 |
상급 기관 | (정보 없음) |
산하 기관 | 직속기관 23, 사업소 13 |
웹사이트 | 경상남도청 |
2. 청사
2. 1. 서부청사
경상남도진주의료원을 리모델링해 서부청사를 만들었고, 2015년 12월 17일 개청했다. 서부청사는 경상남도 진주시 월아산로 2026에 있다.3. 조직
3. 1. 도지사
3. 2. 행정부지사
경상남도청에는 행정부지사 아래 여러 부서들이 있다. 감사관실[5][6], 기획조정실[7], 재난안전건설본부[10], 미래산업국[12], 경제통상국[12], 행정국[12], 해양수산국[12], 도시교통국[12], 문화관광체육국[12], 복지보건국[12]이 있다.기획조정실에는 정책기획관실[8], 교육지원담당관실[4], 예산담당관실[4], 법무담당관실[6][9], 정보통계담당관실[4], 재정점검과[4]가 있다. 재난안전건설본부에는 안전정책과[4], 재난대응과[4], 건설지원과[4], 도로과[11], 수자원정책과[4], 안전점검단[4]이 있다.
미래산업국에는 미래융복합산업과[4], 투자유치과[4], 연구개발지원과[4], 국가산단추진단[4]이 있다. 경제통상국에는 일자리창출과[4], 기업지원과[4], 경제정책과[4], 국제통상과[9], 지역공동체과[4]가 있다.
행정국에는 행정과[4], 인사과[4], 대민봉사과[9], 세정과[9], 회계과[4]가 있다. 해양수산국에는 해양수산과[4], 어업진흥과[11], 항만정책과[4]가 있다.
도시교통국에는 도시계획과[11], 건축과[11], 교통물류과[11], 토지정보과[11], 신공항건설지원단[11]이 있다. 문화관광체육국에는 문화예술과[4], 관광진흥과[4], 체육지원과[4], 가야사연구복원추진단[4]이 있다.
복지보건국에는 서민복지노인정책과[4], 장애인복지과[4], 보건행정과[4], 식품의약과[4]가 있다. 여성가족정책관실[4]과 소방본부[13]도 행정부지사 소속이다.
3. 3. 서부부지사
경상남도청 서부부지사 산하에는 서부권개발국, 농정국, 환경산림국이 있다.[12] 서부권개발국에는 서부정책과, 서부대개발과, 한방항노화산업과가 있다.[4] 농정국에는 농업정책과, 친환경농업과, 농산물유통과,[4] 축산과,[11] 동물방역과가 있다.[14] 환경산림국에는 환경정책과, 기후대기과,[4] 수질관리과,[11] 산림녹지과가 있다.[11]3. 4. 직속기관
경상남도청의 직속기관으로는 경상남도농업기술원, 경상남도인재개발원, 경상남도보건환경연구원이 있다. 또한, 소방서로는 진주소방서, 통영소방서, 사천소방서, 김해동부소방서, 김해서부소방서, 밀양소방서, 거제소방서, 양산소방서, 의령소방서, 함안소방서, 창녕소방서, 고성소방서, 남해소방서, 하동소방서, 산청소방서, 함양소방서, 거창소방서, 합천소방서가 있다.3. 5. 지역본부
경상남도청은 서부권지역본부를 두고 있다.3. 6. 사업소
경상남도청은 여러 사업소를 운영하고 있다.4. 산하 자치단체
경상남도 산하에는 창원시, 진주시, 통영시, 사천시, 김해시, 밀양시, 거제시, 양산시 등 8개 시와 의령군, 함안군, 창녕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등 10개 군이 있다.
5. 정원
경상남도청에 두는 지방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2]
총계 | 1,506명 | |
---|---|---|
정무직 계 | 1명 | |
style="border-top:hidden" | | 도지사 | 1명 |
colspan=3 | | ||
일반직 계 | 1,316명 | |
style="border-top:hidden" | | 1급 이하 2급 이상 | 1명 |
style="border-top:hidden" | | 3급 이하 5급 이상 | 339명 |
style="border-top:hidden" | | 6급 이하 | 968명 |
style="border-top:hidden" | | 전문경력관 | 8명 |
colspan=3 | | ||
별정직 계 | 13명 | |
style="border-top:hidden" | | 1급 상당 이하 2급 상당 이상 | 1명 |
style="border-top:hidden" | |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 | 7명 |
style="border-top:hidden" | | 6급 상당 이하 | 5명 |
colspan=3 | | ||
연구직 계 | 4명 | |
style="border-top:hidden" | | 연구사 | 4명 |
colspan=3 | | ||
소방공무원 계 | 172명 | |
style="border-top:hidden" | | 소방정 | 5명 |
style="border-top:hidden" | | 소방령 이하 | 167명 |
6. 재정
2018년 경상남도청의 총예산은 전년도 대비 4.6% 증가한 7조 2797억 6106만 2000원이었다.[3]
세입 예산은 지방세수입 2조 5627억 6300만 원(1.9% 증가), 세외수입 1463억 4478만 9000원(2.0% 감소), 지방교부세 4407억 7800만 원(3.5% 증가), 보조금 3조 8187억 9143만 4000원(5.4% 증가),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3110억 8383만 9000원(27.8% 증가)으로 구성된다.[3]
구분 | 2018년 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지방세수입 | 2조 5627억 6300만 원 | +1.9% |
세외수입 | 1463억 4478만 9000원 | -2.0% |
지방교부세 | 4407억 7800만 원 | +3.5% |
보조금 | 3조 8187억 9143만 4000원 | +5.4% |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 3110억 8383만 9000원 | +27.8% |
세출 예산은 일반공공행정 7753억 3014만 5000원(10.5% 감소), 공공질서 및 안전 2152억 4912만 1000원(37.3% 증가), 교육 5565억 6220만 2000원(4.2% 증가), 문화 및 관광 2153억 9915만 8000원(6.0% 증가), 환경보호 3462억 9654만 원(5.1% 감소), 사회복지 2조 8802억 5483만 3000원(9.2% 증가), 보건 1259억 1169만 1000원(16.3% 증가), 농림해양수산 8260억 7789만 9000원(2.4% 증가), 산업·중소기업 1912억 8331만 2000원(14.9% 증가), 수송 및 교통 3456억 3318만 9000원(7.6% 증가), 국토 및 지역개발 3293억 1088만 2000원(1.4% 증가), 과학기술 27억 6600만 원(3.5% 감소), 예비비 320억 77만 5000원(42.3% 감소), 기타 4376억 8531만 5000원(6.9% 증가) 등이다.[3]
구분 | 2018년 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
분야 | 부문 | ||
일반공공행정 | 7753억 3014만 5000원 | -10.5% | |
style="border-top:hidden" | | 입법및선거관리 | 69억 8552만 7000원 | +2.8% |
style="border-top:hidden" | | 지방행정·재정지원 | 6568억 7625만 1000원 | -14.9% |
style="border-top:hidden" | | 재정·금융 | 299억 336만 6000원 | +10.7% |
style="border-top:hidden" | | 일반행정 | 815억 6500만 1000원 | +34.5% |
공공질서및안전 | 2152억 4912만 1000원 | +37.3% | |
style="border-top:hidden" | | 재난방재·민방위 | 801억 3154만 4000원 | -2.7% |
style="border-top:hidden" | | 소방 | 1351억 1757만 7000원 | +81.4% |
교육 | 5565억 6220만 2000원 | +4.2% | |
style="border-top:hidden" | | 유아및초중등교육 | 5387억 1582만 8000원 | +6.7% |
style="border-top:hidden" | | 평생·직업교육 | 178억 4637만 4000원 | -39.1% |
문화및관광 | 2153억 9915만 8000원 | +6.0% | |
style="border-top:hidden" | | 문화예술 | 395억 9837만 9000원 | -7.1% |
style="border-top:hidden" | | 관광 | 446억 5649만 3000원 | -12.9% |
style="border-top:hidden" | | 체육 | 821억 1799만 5000원 | +33.7% |
style="border-top:hidden" | | 문화재 | 490억 2629만 1000원 | +2.3% |
환경보호 | 3462억 9654만 원 | -5.1% | |
style="border-top:hidden" | | 상하수도·수질 | 2874억 2690만 8000원 | -7.5% |
style="border-top:hidden" | | 폐기물 | 110억 3403만 8000원 | +3.3% |
style="border-top:hidden" | | 대기 | 318억 8324만 4000원 | +21.1% |
style="border-top:hidden" | | 자연 | 117억 792만 8000원 | +4.6% |
style="border-top:hidden" | | 환경보호일반 | 42억 4442만 2000원 | -32.1% |
사회복지 | 2조 8802억 5483만 3000원 | +9.2% | |
style="border-top:hidden" | | 기초생활보장 | 9186억 9106만 8000원 | +1.5% |
style="border-top:hidden" | | 취약계층지원 | 2312억 2630만 3000원 | +16.9% |
style="border-top:hidden" | | 보육·가족및여성 | 7597억 8645만 7000원 | +8.7% |
style="border-top:hidden" | | 노인·청소년 | 9123억 9316만 6000원 | +14.7% |
style="border-top:hidden" | | 노동 | 298억 7175만 1000원 | +11.6% |
style="border-top:hidden" | | 보훈 | 110억 6632만 1000원 | -8.2% |
style="border-top:hidden" | | 주택 | 172억 1976만 7000원 | +698.7% |
보건 | 1259억 1169만 1000원 | +16.3% | |
style="border-top:hidden" | | 보건의료 | 1224억 430만 5000원 | +16.5% |
style="border-top:hidden" | | 식품의약안전 | 35억 738만 6000원 | +11.5% |
농림해양수산 | 8260억 7789만 9000원 | +2.4% | |
style="border-top:hidden" | | 농업·농촌 | 5363억 3885만 1000원 | -1.6% |
style="border-top:hidden" | | 임업·산촌 | 1594억 5519만 1000원 | +3.5% |
style="border-top:hidden" | | 해양수산·어촌 | 1302억 8385만 7000원 | +21.3% |
산업·중소기업 | 1912억 8331만 2000원 | +14.9% | |
style="border-top:hidden" | | 무역및투자유치 | 221억 1789만 6000원 | -43.7% |
style="border-top:hidden" | | 산업진흥·고도화 | 1011억 6745만 2000원 | -6.5% |
style="border-top:hidden" | | 에너지및자원개발 | 492억 3997만 4000원 | +498.2% |
style="border-top:hidden" | | 산업·중소기업일반 | 187억 5799만 원 | +72.7% |
수송및교통 | 3456억 3318만 9000원 | +7.6% | |
style="border-top:hidden" | | 도로 | 2640억 3527만 4000원 | +7.1% |
style="border-top:hidden" | | 해운·항만 | 13억 3520만 2000원 | -4.5% |
style="border-top:hidden" | | 항공·공항 | 224억 3040만 원 | -28.3% |
style="border-top:hidden" | | 대중교통·물류등기타 | 578억 3231만 3000원 | +38.4% |
국토및지역개발 | 3293억 1088만 2000원 | +1.4% | |
style="border-top:hidden" | | 수자원 | 1774억 1300만 원 | -3.8% |
style="border-top:hidden" | | 지역및도시 | 1417억 9924만 7000원 | +15.8% |
style="border-top:hidden" | | 산업단지 | 100억 9863만 5000원 | -44.0% |
과학기술 | 27억 6600만 원 | -3.5% | |
style="border-top:hidden" | | 과학기술일반 | ||
예비비 | 320억 77만 5000원 | -42.3% | |
style="border-top:hidden" | | 예비비 | ||
기타 | 4376억 8531만 5000원 | +6.9% | |
style="border-top:hidden" | | 기타 |
7. 사건·사고 및 논란
7. 1. 국장 휴가비 각출 논란
2012년 8월 1일 경상남도청 공무원노동조합 홈페이지 '나도 한마디' 코너에 '내부고발자'라는 이름으로 모 국장의 하계 휴가비를 해당 국에서 각출한다는 고발성 글이 게재되었다.[15] 글에는 "어떤 세상인데 이런 생각을 하고 돈을 내라고 할까. 그 발상을 한 사람을 철저히 규명해 징계위 회부는 물론, 공직에서 배제시켜야 할 것이다"라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었다.[15] 공무원노조는 즉시 자체 진상조사에 착수했으며,[16] 3일 간의 조사 결과 '해당 국의 모 과장이 지시한 일로 1개 담당에서 15만원씩 갹출 중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17] 김석규 노조 사무국장은 "금액이 문제가 아니라 있을 수 없는 일이다"라고 말했다.[17]2012년 8월 6일 노조는 행정지원국장에게 재발방지를 요구했으며, 감사실은 진상조사에 착수했다.[15] 감사관실 관계자는 "누가 그런 지시를 했는지 더 조사를 해야 한다"며 "돈이 오갔는지, 전달됐는지, 상급자들이 알고 있었는지에 따라 징계 수위가 달라질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 해당 과장은 "요즘 세상이 어떤 세상인데 내가 그런 지시를 했겠느냐"며 혐의를 부인했다. 한편, 해당 국장은 7일부터 일주일간 휴가 중이었다.[15]
참조
[1]
문서
국가직 제외
[2]
문서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 시행규칙 별표
[3]
웹사이트
경상남도청 - 예산
http://www.gyeongnam[...]
[4]
문서
지방서기관 또는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5]
문서
지방부이사관 또는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6]
문서
지방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7]
문서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8]
문서
지방부이사관·지방서기관 또는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9]
문서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10]
문서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11]
문서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12]
문서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13]
문서
소방준감으로 보한다
[14]
문서
지방기술서기관 또는 지방수의연구관으로 보한다
[15]
뉴스
경남도청, '휴가비 거출' 내부고발에 발칵
https://news.naver.c[...]
2012-08-07
[16]
뉴스
경남도청 모 국장 휴가비 갹출 논란
http://www.knnews.co[...]
2012-08-07
[17]
뉴스
"국장님 휴가비, 15만원씩 갹출"… 경남도청 시끌
http://news.khan.co.[...]
2012-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