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1호 ~ 제100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1호 ~ 제100호)는 1972년 12월 29일부터 지정되기 시작하여, 국보나 보물로 승격되거나 해제된 문화재를 포함한다. 이 목록에는 명봉사경청선원자적선사릉운탑비,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 한천사삼층석탑, 상주 복룡동 당간지주, 영주삼가동석조당간지주, 용화동삼층석탑, 현일동삼층석탑, 화천동삼층석탑, 봉감모전오층석탑, 현이동모전오층석탑, 적개공신논상록권, 손소선생분재기, 손소선생영정,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 삼릉계곡마애관음보살상, 삼릉계곡선각육존불, 안동 월영대, 고성이씨재사, 고성이씨신도비, 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탁청정종가, 광산김씨재사및사당, 예안향교, 선성현객사, 역동유허비, 농암사당, 긍구당, 시사단, 애일당, 호계서원, 은곡서당, 추원재, 안동 김자수 효자비, 부나원루, 침락정, 용암정, 어은정및재사, 농암각자, 안정사석조여래좌상, 나소동삼층석탑, 방초정, 청량사유리보전, 만남재, 도곡재, 회연서원, 월담헌및사월종택, 생육신이경은선생부조묘, 생육신이경은선생제단, 영천 용계서원, 비안면자락동석조여래좌상, 남장사철불비로자나불좌상, 남장사목각후불탱, 동방사지칠층석탑, 성주 쌍충사적비, 농암영정후사본및금서대, 후조당유물, 가례증해판목, 박노계집판목, 이숭원초상화, 효종어전희우시회인물도, 영천 강호정, 오회공종택, 하천재, 사의당, 삼휴정, 오회당, 동린각, 자양서당, 선암서원, 난포고택, 우금촌두암고택, 화수루, 자계서원, 환성사심검당, 상주양진당, 법수사지삼층석탑, 법수사지당간지주, 세종대왕자태실, 이운룡장군영정, 호수종택, 황상동마애아미타여래석불입상, 남지장사청련암, 경주남산입곡석불두, 경주동천동사방불탑신석, 성덕왕릉귀부, 분황사화쟁국사비부, 불국사석조, 안동이천동삼층석탑, 안동운흥동당간지주 등이 포함되어 있다.

2. 지정 목록

2. 1. 제1호 ~ 제100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호부터 제100호까지는 1972년 12월 29일부터 지정되기 시작하였다. 이 목록에는 국보나 보물로 승격되거나 해제된 문화재도 포함되어 있다.

  • 제3호 명봉사경청선원자적선사릉운탑비(보물 제1648호)는 1972년 12월 29일에 지정되었다가 2010년 2월 24일 해제 후 보물로 승격되었다.
    150px
  • 제4호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는 1972년 12월 29일에 지정되었다.
    150px
  • 제5호 한천사삼층석탑은 1972년 12월 29일에 지정되었다.
    150px
  • 제6호 상주 복룡동 당간지주는 1972년 12월 29일에 지정되었다.
  • 제7호 영주삼가동석조당간지주는 1972년 12월 29일에 지정되었다.
  • 제8호 용화동삼층석탑은 1972년 12월 29일에 지정되었다.
    150px
  • 제9호 현일동삼층석탑(보물 제610호)은 1977년 1월 1일에 지정되었다가 1977년 8월 22일 해제 후 보물로 승격되었다.
    150px
  • 제10호 화천동삼층석탑(보물 제609호)은 1977년 1월 1일에 지정되었다가 1977년 8월 22일 해제 후 보물로 승격되었다.
    150px
  • 제11호 봉감모전오층석탑(국보 제187호)은 1977년 1월 1일에 지정되었다가 1977년 8월 22일 해제 후 국보로 승격되었다.
    150px
  • 제12호 현이동모전오층석탑은 1972년 12월 29일에 지정되었다.
    150px
  • 제13호 적개공신논상록권은 1972년 12월 29일에 지정되었다.
  • 제14호 손소선생분재기는 1972년 12월 29일에 지정되었다.
  • 제15호 손소선생영정(보물 제1216호)은 1972년 12월 29일에 지정되었다가 1995년 5월 6일 해제 후 보물로 승격되었다.
    150px
  • 제16호 한천사철조여래좌상(국보 제667호)은 1977년 1월 1일에 지정되었다가 1980년 8월 23일 해제 후 국보로 승격되었다.
  • 제17호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1972년 12월 29일에 지정되었다.
  • 제19호 삼릉계곡마애관음보살상은 1972년 12월 29일에 지정되었다.
    150px
  • 제21호 삼릉계곡선각육존불은 1972년 12월 29일에 지정되었다.
    150px
  • 제22호 월영대는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23호 고성이씨재사는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24호 고성이씨신도비는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25호 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은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고, 2010년 8월 2일 명칭이 변경되었다.
  • 제26호 탁청정종가(국가민속문화재 제226호)는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가 2012년 8월 24일 해제 후 국가민속문화재로 승격되었다.
  • 제27호 광산김씨재사및사당은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28호 예안향교는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29호 선성현객사는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30호 역동유허비는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31호 농암사당은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32호 긍구당은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33호 시사단은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34호 애일당은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35호 호계서원은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36호 은곡서당은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37호 추원재는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38호 효자비는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39호 부나원루는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40호 침락정은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41호 용암정은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42호 어은정및재사는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43호 농암각자는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44호 안정사석조여래좌상은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45호 나소동삼층석탑은 1973년 8월 31일에 지정되었다.
  • 제46호 방초정(보물 제2047호)은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가 2019년 12월 30일 해제 후 보물로 승격되었다.
    150px
  • 제47호 청량사유리보전은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
  • 제48호 만남재는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
  • 제49호 도곡재는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가 1995년 5월 12일 해제 후 대구 유형문화재 제32호로 재지정되었다.
  • 제51호 회연서원은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
  • 제52호 월담헌및사월종택은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
  • 제53호 생육신이경은선생부조묘는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
  • 제54호 생육신이경은선생제단은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
  • 제55호 용계서원은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
    150px
  • 제56호 비안면자락동석조여래좌상은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
  • 제57호 남장사철불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990호)은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가 1989년 4월 10일 해제 후 보물로 승격되었다.
  • 제58호 남장사목각후불탱(보물 제922호)은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가 1987년 7월 16일 해제 후 보물로 승격되었다.
  • 제60호 동방사지칠층석탑은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
  • 제61호 쌍충사적비는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
  • 제63호 농암영정후사본및금서대는 1994년 11월 2일에 지정되었다.
    150px
  • 제64호 후조당유물은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
  • 제67호 가례증해판목은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
  • 제68호 박노계집판목은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
  • 제69호 이숭원초상화는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
    150px
  • 제70호 효종어전희우시회인물도는 1974년 12월 10일에 지정되었다가 1995년 5월 12일 해제 후 대구 유형문화재 제33호로 재지정되었다.
  • 제71호 강호정은 1975년 8월 18일에 지정되었다.
    150px
  • 제72호 오회공종택은 1975년 8월 18일에 지정되었다.
  • 제73호 하천재는 1975년 8월 18일에 지정되었다.
  • 제74호 사의당은 1975년 8월 18일에 지정되었다.
  • 제75호 삼휴정은 1975년 8월 18일에 지정되었다.
  • 제76호 오회당은 1975년 8월 18일에 지정되었다.
  • 제77호 동린각은 1975년 8월 18일에 지정되었고, 2010년 6월 17일 위치가 정정되었다.
  • 제78호 자양서당은 1975년 8월 18일에 지정되었고, 2010년 6월 17일 위치가 정정되었다.
  • 제79호 선암서원은 1975년 8월 18일에 지정되었다.
  • 제80호 난포고택은 1975년 8월 18일에 지정되었다.
  • 제81호 우금촌두암고택은 1975년 12월 30일에 지정되었다.
  • 제82호 화수루는 1975년 12월 30일에 지정되었다가 2010년 1월 11일 해제 후 중요민속문화재 제260호로 승격되었다.
  • 제83호 자계서원은 1975년 12월 30일에 지정되었다.
  • 제84호 환성사심검당은 1975년 12월 30일에 지정되었다.
  • 제85호 상주양진당(보물 제1568호)은 1975년 12월 30일에 지정되었다가 2008년 7월 10일 해제 후 보물로 승격되었다.
    150px
  • 제86호 법수사지삼층석탑(보물 제1656호)은 1975년 12월 30일에 지정되었다가 2010년 7월 5일 해제 후 보물로 승격되었다.
  • 제87호 법수사지당간지주는 1975년 12월 30일에 지정되었다.
  • 제88호 세종대왕자태실(사적 제444호)은 1975년 12월 30일에 지정되었다가 2003년 3월 6일 해제 후 사적으로 승격되었다.
  • 제89호 이운룡장군영정은 1975년 12월 30일에 지정되었다.
  • 제90호 호수종택은 1977년 7월 15일에 지정되었다.
  • 제91호 황상동마애아미타여래석불입상(보물 제1122호)은 1977년 7월 15일에 지정되었다가 1992년 1월 15일 해제 후 보물로 승격되었다.
  • 제92호 남지장사청련암은 1977년 7월 15일에 지정되었다가 1995년 5월 12일 해제 후 대구 유형문화재 제34호로 재지정되었다.
  • 제94호 경주남산입곡석불두는 1979년 1월 25일에 지정되었다.
  • 제95호 경주동천동사방불탑신석은 1979년 1월 25일에 지정되었다.
  • 제96호 성덕왕릉귀부는 1979년 1월 25일에 지정되었다.
  • 제97호 분황사화쟁국사비부는 1979년 1월 25일에 지정되었다.
  • 제98호 불국사석조(보물 제1523호)는 1979년 1월 25일에 지정되었다가 2007년 9월 11일 해제 후 보물로 승격되었다.
    150px
  • 제99호 안동이천동삼층석탑은 1979년 1월 25일에 지정되었다.
    150px
  • 제100호 안동운흥동당간지주는 1979년 1월 25일에 지정되었다.

2. 2. 제101호 ~ 제200호

2. 3. 제201호 ~ 제300호

2. 4. 제301호 ~ 제400호

2. 5. 제401호 ~ 제500호

2. 6. 제501호 ~ 제600호

3. 유형별 분류

3. 1. 불교 문화재

3. 2. 유교 문화재

3. 3. 건축물

3. 4. 고문서 및 전적

3. 5. 기타

4. 해제 및 승격

5. 지역별 분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