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신고등학교 (대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신고등학교는 1966년 경신상업전수학교로 설립되어, 1978년 경신고등학교로 인가받은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다. 1979년 인문계 고등학교로 개교했으며, 2011년 자율형 사립고로 지정되었다. 교목은 소나무, 교화는 배롱나무이며, 권영진, 김부겸, 김태원, 슈가 등이 이 학교 출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수성구의 고등학교 - 경북고등학교
경북고등학교는 1916년 대구고등보통학교로 개교하여 교명 변경과 학제 개편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1985년 수성구 황금동으로 교사를 이전하고 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를 개교했으며, 목련과 느티나무를 상징으로 노태우 전 대통령 등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다. - 대구 수성구의 고등학교 - 능인고등학교
능인고등학교는 1938년 오산학림으로 시작하여 1939년 오산불교학교로 설립 인가 후 능인중학교를 거쳐 1951년 능인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받아 1986년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동 현재 위치로 이전한 사립 고등학교이다. - 대구광역시의 고등학교 - 계성고등학교 (대구)
1900년 대남소학교로 시작하여 1906년 제임스 E. 아담스에 의해 설립된 계성고등학교는 영남 최초의 중등교육기관으로, 일제강점기 교명 변경의 아픔을 겪었으나 광복 후 재건되었으며, 역사적인 건축물과 저명한 동문을 배출한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이다. - 대구광역시의 고등학교 - 대건고등학교
대건고등학교는 1946년 대건초급중학교로 개교하여 1951년 중·고등학교로 개편, 1970년 선목고등학교를 병합, 1990년 대구 달서구로 이전하는 등 성장을 거듭해 2011년 자율형 사립고로 지정되었으며 김대건 기념관 등의 시설을 갖춘 사립 고등학교이다. - 1966년 개교 - 동광초등학교 (충북)
동광초등학교(충북)는 1966년 충청북도에 개교한 초등학교로, 교원능력개발평가 선도학교, 교육과정 연구학교, 안전교육 연구학교 등 다양한 연구학교 운영을 통해 교육과정 발전에 기여했으며, 2019년 기준 23학급으로 운영되었다. - 1966년 개교 - 충암중학교
1972년 서울 서대문구에 설립된 사립 중학교인 충암중학교는 충암학원을 모체로 1980~90년대 학생 수 증가에 따라 규모를 확대했으며, 2024년에는 충암학원 출신 프로바둑 기사들의 승단 점수 총합 500단 돌파 기념 행사를 개최했다.
경신고등학교 (대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학교 정보 | |
이름 | 경신고등학교 |
한자 표기 | 慶信高等學校 |
영문 표기 | Gyeongsin High School |
교훈 | 바르게 생각하고 부지런히 일하며 서로 믿고 돕자 |
개교 | 1966년 |
설립 형태 | 사립 |
교장 | 김봉준 |
교감 | 박병주 (직무대리) |
위치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504길 34 (범어동) |
학생 수 | 587 명 (2022년 5월 1일 기준) |
교직원 수 | 68 명 (2022년 5월 1일 기준) |
상징 | 교목: 소나무, 교화: 백일홍 |
학교 법인 | 경신교육재단 |
관할 관청 | 대구광역시교육청 |
웹사이트 | 공식 URL |
2. 연혁
경신고등학교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1966년 3월 3일, 경신상업전수학교가 설립되어 박재욱이 교장으로 취임했다. 1971년 4월 10일에는 학교가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4동 산100번지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1972년 10월 6일, 학교법인 경신교육재단 설립이 인가되었고, 김수복이 초대 재단이사장으로 취임했다.
1978년 11월 8일, 경신고등학교 설립이 인가되었으며(45학급), 1979년 3월 1일 박재욱이 초대 교장으로 취임했다. 같은 해 3월 5일, 제14회(인문계 제1회) 1학년 입학식이 거행되었다.
2002년 4월 11일에는 별관(6개 교실)이 준공되었고, 2003년 9월 26일에는 신관(20개 교실 및 소강당, 화장실 6실)이 준공됨과 동시에 정문이 이전되었다. 2005년 9월 23일에는 송원관(체육관)이 준공되었으며, 2007년 10월 15일에는 솔빛 도서관(디지털)이 개관했다. 2008년 11월 7일에는 식당 '태인관'이 준공되었다.
2010년에는 김진일이 재단이사장으로 취임하고, 제42회 졸업식을 통해 총 졸업생 수가 21,530명이 되었다. 같은 해 2011학년도 자율형 사립고로 선정 고시되었다.
2011년 3월 2일 자율형 사립고 1학년 입학식이 거행되었으며, 2018년 3월 2일에는 일반계고 1학년 입학식이 진행되어 215명이 입학했다. 2021년 3월 2일에는 이병갑이 제9대 교장으로 취임했다.
2022년 1월 4일, 제54회 졸업식이 거행되었고 223명이 졸업하여 총 졸업생 수는 26,278명이 되었다. 2023년 3월 2일에는 김봉준이 제10대 교장으로 취임했다.
2. 1. 설립 초기
1966년 3월 3일, 경신상업전수학교가 설립되었으며, 박재욱이 교장으로 취임했다.1971년 4월 10일에는 학교 위치를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4동 산100번지(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1972년 10월 6일, 학교법인 경신교육재단 설립이 인가되었으며, 김수복이 초대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1978년 11월 8일, 경신고등학교 설립이 인가되었다(45학급).
2. 2. 고등학교 개교 및 발전
1978년 11월 8일, 경신고등학교가 설립 인가(45학급)를 받았다.1979년 3월 1일, 초대 교장으로 박재욱이 취임했다.
1979년 3월 5일, 제14회(인문계 제1회) 1학년 입학식이 거행되었다.
2002년 4월 11일, 별관(6개 교실)이 준공되었다.
2003년 9월 26일, 신관(20개 교실 및 소강당, 화장실 6실)이 준공되었고 정문이 이전되었다.
2005년 9월 23일, 송원관(체육관)이 준공되었다.
2007년 10월 15일, 솔빛 도서관(디지털)이 개관했다.
2008년 11월 7일, 식당 '태인관'이 준공되었다.
2010년 2월 5일, 김진일이 재단이사장으로 취임했다.
2010년 2월 10일, 제42회 졸업생(581명)을 배출하여 총 졸업생 수는 21,530명이 되었다.
2010년 4월 20일, 2011학년도 자율형 사립고로 선정 고시되었다.
2011년 3월 2일, 자율형 사립고 1학년 입학식이 거행되었다.
2018년 3월 2일, 일반계고 1학년 입학식(215명)이 거행되었다.
2021년 3월 2일, 제9대 교장으로 이병갑이 취임했다.
2022년 1월 4일, 제54회 졸업식(223명)을 통해 총 졸업생 수는 26,278명이 되었다.
2023년 3월 2일, 제10대 교장으로 김봉준이 취임했다.
2. 3. 자율형 사립고 전환 이후
2010년 2월 5일 재단이사장으로 김진일이 취임했다. 같은 해 2월 10일, 제42회 졸업생 581명이 졸업하여 총 졸업생 수는 21,530명이 되었다. 2010년 4월 20일에는 2011학년도 자율형 사립고로 선정 고시되었다.2011년 3월 2일 자율형 사립고 1학년 입학식이 거행되었으며, 2018년 3월 2일에는 일반계고 1학년 입학식이 진행되어 215명이 입학했다. 2021년 3월 2일에는 제9대 교장으로 이병갑이 취임했다.
2022년 1월 4일, 제54회 졸업식이 거행되었고 223명이 졸업하여 총 졸업생 수는 26,278명이 되었다. 2023년 3월 2일에는 제10대 교장으로 김봉준이 취임했다.
3. 상징
경신고등학교(대구)의 상징은 학교의 정신과 역사를 담고 있다. 학교를 상징하는 나무는 소나무로, 이는 사계절 푸르름을 유지하며 변치 않는 모습에서 역경과 압력에 굴하지 않는 군자의 굳건함을 상징한다. 또한, 학교의 꽃은 배롱나무로, 여름부터 가을까지 붉고 흰 꽃을 피워 오랫동안 빛을 발하는 젊은 생명을 의미한다.
3. 1. 교목
학교를 상징하는 나무는 소나무다. 소나무는 사계절 푸르름을 잃지 않고 변치 않으며, 역경과 압력에 굴하지 않는 군자의 굳건함을 의미한다.3. 2. 교화
학교의 꽃은 배롱나무로, 여름부터 가을까지 붉고 흰 꽃이 빛을 발하며 오랫동안 꽃을 피우는 젊은 생명을 의미한다.4. 동문
경신고등학교 (대구) 졸업생은 다음과 같다.
- 권영진: 대한민국의 정치인. 제37·38대 대구광역시 시장 (국민의힘).
- 김부겸: 대한민국의 정치인. 제46대 국무총리 (더불어민주당).
- 김태원: 대한민국의 음악가. 부활의 리더이자 기타리스트.
- 이종헌: 대한민국의 법조인. 헌법재판소 재판관.
- 장제국: 동서대학교 총장.
- 슈가(민윤기): 대한민국의 랩퍼, 작곡가, 프로듀서. 방탄소년단의 멤버.
- 이진훈: 대한민국의 정치인. 제17·18대 대구광역시 수성구청장 (국민의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