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기압은 일기도에서 등압선이 뚜렷하지 않게 닫힌 형태로 나타나며, 주변보다 기압이 높은 영역을 의미한다. 고기압은 공기의 밀도 차이나 공기의 유입과 유출량에 따라 한랭 고기압, 온난 고기압, 이동성 고기압으로 분류된다. 고기압 내부에서는 하강 기류로 인해 맑은 날씨가 나타나고, 바람이 약해지면서 대기 오염이 발생하기 쉽다. 고기압은 대류권의 하강 기류에 의해 형성되며, 열대 지방의 아열대 고기압은 해들리 순환의 일부로 기후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기압 - 대적점
목성의 대적점은 남반구에 위치한 거대한 고기압성 폭풍으로, 17세기부터 관측되었고 보이저와 주노 탐사선 등을 통해 자세히 관측되었으며, 최근 크기가 줄어들면서 소멸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고기압 - 아열대 고압대
아열대 고압대는 위도 30도 부근 아열대 지역에 형성되는 대규모 고기압대로, 열대 지방에서 상승한 공기가 냉각되어 하강하면서 생기며, 사막 기후 형성에 기여하고 몬순과 열대 저기압의 경로에 영향을 주어 여러 지역의 여름철 기후와 관련된다. - 기상 현상 - 한파
한파는 북극 또는 남극의 찬 공기가 중위도 지역으로 내려와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며, 북극진동과 남극진동의 기압 차이에 따라 빈도가 달라지고, 가축과 야생 동물 피해, 수도관 동파, 인명 피해 등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 기상 현상 - 홍수
홍수는 과도한 강수량, 눈 녹음, 폭풍 해일, 쓰나미 등으로 발생하는 범람 현상으로 인명 및 재산 피해, 환경 파괴를 일으키며, 기후변화로 심각성이 커짐에 따라 제방 건설,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 등 예방 대책과 취약 계층 지원이 필요하지만, 토양 비옥도 증가와 같은 긍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고기압 | |
---|---|
지도 | |
고기압 | |
정의 | 주위보다 기압이 높은 영역 |
특징 | 하강 기류 맑은 날씨 바람 약함 |
기호 | H |
종류 | |
온대 고기압 | 아열대 고압대에서 형성, 이동성 |
아열대 고기압 | 지구 규모의 대기 순환, 위도 30도 부근 형성 |
한대 고기압 | 대륙성 한랭 고기압, 겨울철 발달 |
이동성 고기압 | 온대 지역에서 서에서 동으로 이동 |
영향 | |
날씨 | 맑고 건조한 날씨 미세먼지 축적 가능성 |
풍향 | 북반구 시계 방향, 남반구 반시계 방향 |
기온 | 여름철 폭염 유발, 겨울철 한파 동반 |
관련 현상 | |
기단 | 고기압과 관련된 대규모 공기 덩어리 |
저기압 | 고기압과 반대되는 기압 영역 |
기압 경도력 | 기압 차이로 인한 힘, 바람 발생 원인 |
전향력 | 지구 자전에 의한 힘, 바람 방향에 영향 |
고기압 능선 | 고기압 영역에서 기압이 높은 부분, 확장된 형태 |
응용 분야 | |
일기 예보 | 날씨 예측에 중요 |
기상학 | 대기 현상 연구의 핵심 주제 |
항공 | 항공 안전 및 연료 효율에 영향 |
농업 | 작물 생육 및 수확에 영향 |
2. 종류
고기압은 공기 기둥 전체의 밀도가 주위보다 크거나, 공기 기둥으로 흘러들어오는 공기의 양이 흘러나가는 양보다 많을 때 발생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기압은 크게 한랭 고기압, 온난 고기압, 이동성 고기압으로 나뉜다. 한랭 고기압은 방사 냉각으로 지표 부근 공기 밀도가 커져 발생하고, 온난 고기압은 대기 순환 중 공기가 막혀 지표에 형성된다. 이동성 고기압은 두 저기압 사이를 빠르게 이동한다.
2. 1. 한랭 고기압

한랭 고기압은 방사 냉각이 강하여 지표 부근의 공기 밀도가 커져서 생기는 고기압이다.[1]
2. 2. 온난 고기압
대기 순환 중에서 공기가 막혀 그 지표에 형성되는 고기압은 온난 고기압이다.
2. 3. 이동성 고기압
이동성 고기압은 두 저기압 사이를 상당히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고기압이다.[4]
3. 특징
고기압 중심 부근은 저기압만큼 뚜렷하지 않다. 지상에서는 기류가 발산하고 상공에서 공기가 하강하여 하강 기류가 생긴다. 하강 기류는 공기를 단열적으로 압축시켜 온도를 높이고, 수증기 응결을 어렵게 만들어 구름 생성을 억제한다. 따라서 고기압 내부에는 구름이 적고, 생성되더라도 낮은 층운형 구름이 된다.[32]
이러한 조건으로 인해 야간에는 복사 냉각이 강해져 지면 부근 온도가 낮아진다. 고기압 내부에서는 바람이 약해 접지(接地) 역전이 발생하기 쉬워, 추운 계절에는 아침에 서리가 자주 발생하고, 도시에서는 스모그 발생이 많아진다.[32]
3. 1. 기상 현상
일기도에서 보면 중심 주위가 막힌 등압선으로 에워싸여 있으며 중심이 저기압만큼 뚜렷하지는 않다. 지상의 고기압 부분에서는 기류가 발산하여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 상공에서 공기가 하강하기 때문에 고기압 안에는 하강 기류가 있다. 하강 기류가 있으면 공기는 단열적으로 온도가 올라가고, 수증기의 응결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고기압 내부는 구름이 적다. 구름이 생성되는 경우는 낮은 층운형이 된다. 고기압 안은 이와 같은 상태이기 때문에 야간의 복사 냉각이 강하여 지면 부근의 온도가 낮아진다. 한편 고기압 내부에서는 바람이 약하기 때문에 접지(接地) 역전이 일어나기 쉽다. 그렇기 때문에 추운 계절에는 아침 일찍 서리가 발생하기 쉽고, 도시에서는 스모그 발생이 많아진다.[32]
고기압은 지표면에서 약한 바람과 대류권 하층의 침강과 자주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침강은 단열 혹은 압축 가열을 통해 기단을 건조하게 만든다.[6] 따라서 고기압은 일반적으로 맑은 하늘을 가져온다.[7] 낮에는 구름이 없어 태양광이 반사되지 않으므로, 유입되는 단파 태양 복사가 많아지고 기온이 상승한다. 밤에는 구름이 없다는 것은 유출 장파 복사(즉, 지표면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가 흡수되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모든 계절에서 기온의 일교차가 더 낮아진다. 지표면의 바람이 약해지면 고기압계 아래에서 직접 생성되는 침강으로 인해 능선 아래 도시 지역에 미립자가 축적되어 광범위한 연무가 발생할 수 있다.[8] 저층 상대 습도가 야간에 100%에 가까워지면 안개가 형성될 수 있다.[9]
북반구에서 고위도에서 저위도로 이동하는 강하고 수직적으로 얕은 고기압계는 대륙성 한대 기단과 관련이 있다.[10] 한대 기단이 얼지 않은 해양 위로 이동하면, 기단은 따뜻한 해수 위에서 크게 변형되어 해양성 기단의 특성을 띠게 되고, 고기압계의 세기를 약화시킨다.[11] 극히 차가운 공기가 비교적 따뜻한 해양 위로 이동하면 극 저기압이 발달할 수 있다.[12] 그러나 열대 지역에서 극쪽으로 이동하는 따뜻하고 습한(또는 해양성 열대) 기단은 한대 기단보다 변형 속도가 느리다.[13]
3. 2. 바람
바람은 고기압 지역에서 저기압 지역으로 이동하는데,[30] 이는 두 기단 간의 밀도 차이 때문이다. 강한 고기압계는 더 차갑거나 건조한 공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기단의 밀도가 더 높아 따뜻하거나 습한 지역(저기압 지역 근처, 특히 한랭전선 앞)으로 이동한다. 고기압계와 저기압계 사이의 기압 차이, 즉 기압 경도가 클수록 바람이 강해진다. 지구 자전으로 인한 코리올리 효과는 북반구 고기압계 내 바람의 시계 방향 순환(바람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며 고기압 중심에서 오른쪽으로 편향됨)과 남반구 고기압계 내 바람의 반시계 방향 순환(바람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며 고기압 중심에서 왼쪽으로 편향됨)을 만든다. 지면 마찰은 고기압계에서 흘러나오는 바람을 느리게 하고, 마찰이 없는 경우보다 바람이 더 바깥쪽으로 흐르게 한다. 이는 마찰에 의한 영향을 포함한 '실제 바람' 또는 '진풍'을 만들어내는데, 이는 등압선과 평행하게 흐르는 지균풍에 더해진다.[31]3. 3. 기온
일기도에서 고기압 중심은 저기압만큼 뚜렷하지 않다. 지상에서는 기류가 발산하고 상공에서는 공기가 하강하여 하강 기류가 나타난다. 하강 기류는 공기를 단열적으로 압축시켜 온도를 높이고, 수증기 응결을 어렵게 만들어 구름 생성을 억제한다. 따라서 고기압 내부에는 구름이 적고, 생성되더라도 낮은 층운형 구름이 된다.[32] 이러한 조건으로 인해 야간에는 복사 냉각이 강해져 지면 부근 온도가 낮아진다. 바람이 약해 접지(接地) 역전이 발생하기 쉬워, 추운 계절에는 아침에 서리가 자주 발생하고, 도시에서는 스모그 발생이 많아진다.[32]고기압은 지표면에서 약한 바람, 대류권 하층의 침강과 관련이 있다. 침강은 단열 압축 가열을 통해 기단을 건조하게 만든다.[6] 따라서 고기압은 맑은 하늘을 유발한다.[7] 낮에는 구름이 없어 태양광이 많이 유입되어 기온이 상승하고, 밤에는 구름이 없어 유출 장파 복사가 흡수되지 않아 기온이 하강하여 일교차가 작아진다. 바람이 약하면 능선 아래 도시 지역에 미립자가 축적되어 연무가 발생할 수 있다.[8] 밤에 상대 습도가 높아지면 안개가 형성될 수 있다.[9]
북반구에서 고위도에서 저위도로 이동하는 강하고 수직적으로 얕은 고기압은 대륙성 한대 기단과 관련이 있다.[10] 한대 기단이 얼지 않은 해양 위로 이동하면 따뜻한 해수로 인해 해양성 기단으로 변형되어 고기압 세기가 약화된다.[11] 극히 차가운 공기가 따뜻한 해양 위로 이동하면 극 저기압이 발달할 수 있다.[12] 반면, 열대 지역에서 극쪽으로 이동하는 따뜻하고 습한 기단은 변형 속도가 느리다.[13]
3. 4. 대기 오염
고기압에서는 기류가 발산하고 상공에서 공기가 하강하여 하강 기류가 나타난다. 하강 기류는 공기를 단열적으로 따뜻하게 만들고, 수증기 응결을 어렵게 해 고기압 내부에는 구름이 적다. 구름이 생성되는 경우는 낮은 층운형 구름이다. 이러한 상태 때문에 야간 복사 냉각이 강해 지면 부근 온도가 낮아진다. 고기압 내부에서는 바람이 약해 접지(接地) 역전이 잘 일어나, 추운 계절에는 아침에 서리가 발생하기 쉽고, 도시에서는 스모그 발생이 많아진다.[32]고기압은 지표면의 약한 바람, 대류권 하층의 침강과 관련이 깊다. 침강은 단열 압축 가열을 통해 기단을 건조하게 만든다.[6] 그래서 고기압은 맑은 하늘을 보인다.[7] 낮에는 구름이 없어 태양광이 반사되지 않아 단파 태양 복사가 많아지고 기온이 상승한다. 밤에는 구름이 없어 유출 장파 복사(지표면 방출 열에너지)가 흡수되지 않아 모든 계절에서 기온의 일교차가 작아진다. 지표면 바람이 약해지면 고기압계 아래에서 생성되는 침강으로 인해 능선 아래 도시 지역에 미립자가 축적되어 연무가 발생한다.[8] 저층 상대 습도가 밤에 100%에 가까워지면 안개가 형성될 수 있다.[9]
북반구에서 고위도에서 저위도로 이동하는 강하고 수직적으로 얕은 고기압계는 대륙성 한대 기단과 관련이 있다.[10] 한대 기단이 얼지 않은 해양 위로 이동하면, 따뜻한 해수 위에서 크게 변형되어 해양성 기단의 특성을 띠게 되고, 고기압계의 세기가 약해진다.[11] 극히 차가운 공기가 비교적 따뜻한 해양 위로 이동하면 극 저기압이 발달할 수 있다.[12] 그러나 열대 지역에서 극쪽으로 이동하는 따뜻하고 습한(또는 해양성 열대) 기단은 한대 기단보다 변형 속도가 느리다.[13]
4. 형성
고기압은 대류권(날씨가 발생하는 대기층)을 통해 공기가 하강하면서 형성된다. 상층 대류권의 시노프틱 기상학적 흐름에서 고기압이 주로 발생하는 지역은 저기압 골의 서쪽 부분 아래이다. 기상도에서 이러한 지역은 비발산 고도 근처 또는 그 위에서 바람이 수렴하는 (등속선) 수렴(기상학) 현상을 보인다. 비발산 고도는 대류권 중간 부근의 약 500 hPa 등압면 근처이며, 이는 지표면 대기압의 약 절반에 해당한다.[19][20]
고기압계는 영어로 안티사이클론(anticyclones)이라고도 한다. 영어 기상도에서는 고기압 중심을 H로 표시한다.[21] 고기압은 등압선 중 가장 높은 기압 값을 가진 등압선 내에 위치하며, 일정한 기압의 상층 차트에서는 가장 높은 고도선 윤곽선 내에 위치한다.[5]
4. 1. 상층 기류
고기압은 대류권(날씨가 발생하는 대기층)을 통해 공기가 하강하면서 형성된다. 상층 대류권의 시노프틱 기상학적 흐름에서 고기압이 주로 발생하는 지역은 저기압 골의 서쪽 부분 아래이다. 기상도에서 이러한 지역은 비발산 고도 근처 또는 그 위에서 바람이 수렴하는 (등속선) 수렴(기상학) 현상을 보인다. 비발산 고도는 대류권 중간 부근의 약 500 hPa 등압면 근처이며, 이는 지표면 대기압의 약 절반에 해당한다.[19][20]4. 2. 지표 기압
고기압은 대류권, 즉 날씨가 발생하는 대기층을 통한 하강 기류에 의해 형성된다. 상층 대류권의 시노프틱 기상학적 흐름 패턴 내에서 선호되는 지역은 저기압 골의 서쪽 부분 아래이다. 기상도에서 이러한 지역은 비발산 고도 근처 또는 그 위에서 수렴하는 바람(등속선), 즉 수렴(기상학)을 보여준다. 비발산 고도는 대류권 중간 부근의 약 500 hPa 등압면 근처이며, 지표면의 대기압의 약 절반에 해당한다.[19][20]고기압계는 고기압(anticyclones)이라고도 한다. 영어로 된 기상도에서는 고기압 중심이 영어 알파벳 H로 표시된다.[21] 등압선 중 가장 높은 기압 값을 가진 등압선 내에 위치한다. 일정한 기압의 상층 차트에서는 가장 높은 고도선 윤곽선 내에 위치한다.[5]
5. 기후학적 고기압
기후학적 고기압은 지구의 대기 순환과 특정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의해 형성되는 고기압 시스템이다. 대표적인 예로 아열대 고기압, 시베리아 고기압, 극 고기압 등이 있다.
시베리아 고기압은 일 년 중 가장 추운 시기에 한 달 이상 거의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 독특하며, 북미의 고기압보다 크기가 크고 지속 시간이 길다.[26] 서태평양 해안선을 따라 계곡을 따라 가속되는 지표면 바람은 겨울 몬순을 일으킨다.[27] 시베리아 고기압과 같은 북극 고기압 시스템은 차가운 핵을 가지고 있어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약해진다.[14]
지구상에서 기록된 최고 기압은 1085.7hPa로, 2001년 12월 19일 몽골 자브한주 토손쳉겔에서 측정되었다.[29]
5. 1. 아열대 고기압 (해들리 순환)
말등위도 또는 열대 지대[22]는 대략 북위 30도 부근에 위치하며 따뜻한 고기압 시스템의 근원이다. 적도에 가까운 뜨거운 공기가 상승하면 냉각되어 수분을 잃고, 그 후 극쪽으로 이동하여 하강하면서 고기압 지역을 만든다.[23] 이것은 해들리 순환의 일부이며 아열대 고압대 또는 아열대 고기압으로 알려져 있다. 아열대 고압대는 일년 내내 태양의 경로를 따라 봄에는 북쪽(남반구에서는 남쪽)으로 확장되고 가을에는 남쪽(남반구에서는 북쪽)으로 후퇴한다.[24] 아열대 고압대는 따뜻한 핵 고기압 시스템으로,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강해진다.[14] 세계의 많은 사막은 이러한 기후 고기압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다.[25]
일부 기후 고기압 지역은 지역적으로 기반한 이름을 갖는다. 아조레스 고기압으로도 알려진 버뮤다 고기압의 영향은 북대서양의 대부분과 여름 중후반의 서유럽 폭염에 좋은 날씨를 가져온다.[28] 버뮤다 고기압의 남쪽 주변부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순환하면서 종종 동풍파와 그로부터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을 대양을 가로질러 해양 분지 서쪽의 육지로 허리케인 시즌 동안 이동시킨다.[15]
2003년과 같이 아열대 고압대가 평소보다 더 확장되는 특히 더운 여름은 스칸디나비아까지 폭염을 가져올 수 있다. 2003년 유럽은 특히 강한 아열대 고압대 때문에 여름철 기록적인 폭염을 경험했지만, 북미의 대응 지역은 이례적으로 약했고, 그 봄과 여름 대륙 전역의 기온은 습하고 평년보다 훨씬 낮았다.[4]
5. 2. 시베리아 고기압
말등위도 또는 열대 지대는 대략 북위 30도 부근에 위치하며 따뜻한 고기압 시스템의 근원이다. 적도에 가까운 뜨거운 공기가 상승하면 냉각되어 수분을 잃고, 그 후 극쪽으로 이동하여 하강하면서 고기압 지역을 만든다.[23] 이것은 해들리 세포 순환의 일부이며 아열대 고압대 또는 아열대 고기압으로 알려져 있다. 육지 기반의 시베리아 고기압은 일년 중 가장 추운 시기에 한 달 이상 거의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 그 점에서 독특하다. 또한 북미의 대응 지역보다 크기가 크고 지속 시간이 길다는 점도 특징이다.[26] 서태평양 해안선을 따라 계곡을 따라 가속되는 지표면 바람은 겨울 몬순을 일으킨다.[27] 시베리아 고기압과 같은 북극 고기압 시스템은 차가운 핵을 가지고 있어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약해진다.[14]5. 3. 극 고기압
극 고기압은 차가운 핵을 가지고 있어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약해지는 고기압 시스템이다.[14] 시베리아 고기압과 같은 북극 고기압 시스템이 이에 해당한다.[14] 프랜시스 골턴은 1877년에 고기압 주변의 날씨 유형을 나타내는 용어인 Anticyclone영어을 만들었다.[18]시베리아 고기압은 일 년 중 가장 추운 시기에 한 달 이상 거의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 그 점에서 독특하며, 북미의 고기압보다 크기가 크고 지속 시간이 길다.[26]
6. 바람과의 관계
바람은 기단 간의 밀도 차이 때문에 고기압 지역에서 저기압 지역으로 이동한다.[30] 북반구의 고기압계는 시계 방향으로, 남반구의 고기압계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는 지구 자전으로 인한 코리올리 효과 때문이다.[31]
6. 1. 지균풍
바람은 기단 간의 밀도 차이 때문에 고기압 지역에서 저기압 지역으로 이동한다.[30] 강한 고기압계는 더 차갑거나 건조한 공기를 포함하고 있어 기단의 밀도가 더 높으므로, 따뜻하거나 습한 지역(저기압 지역 근처, 특히 한랭전선 앞)으로 이동한다. 고기압계와 저기압계 사이의 기압 차이, 즉 기압 경도가 클수록 바람이 강해진다. 지구 자전으로 인한 코리올리 효과는 북반구 고기압계 내 바람의 시계 방향 순환(바람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며 고기압 중심에서 오른쪽으로 편향됨)과 남반구 고기압계 내 바람의 반시계 방향 순환(바람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며 고기압 중심에서 왼쪽으로 편향됨)을 만든다. 지면 마찰은 고기압계에서 흘러나오는 바람을 느리게 하고, 마찰이 없는 경우보다 바람이 더 바깥쪽으로 흐르게 한다. 이는 마찰에 의한 영향을 포함한 '실제 바람' 또는 '진풍'을 만들어내는데, 이는 등압선과 평행하게 흐르는 지균풍에 더해진다.[31]6. 2. 실제 바람
바람은 고기압 지역에서 저기압 지역으로 이동한다.[30] 이는 두 기단 간의 밀도 차이 때문이다. 강한 고기압계는 더 차갑거나 건조한 공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기단의 밀도가 더 높아 따뜻하거나 습한 지역(저기압 지역 근처, 특히 한랭전선 앞)으로 이동한다. 고기압계와 저기압계 사이의 기압 차이, 즉 기압 경도가 클수록 바람이 강해진다. 지구 자전으로 인한 코리올리 효과는 북반구 고기압계 내 바람의 시계 방향 순환(바람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며 고기압 중심에서 오른쪽으로 편향됨)과 남반구 고기압계 내 바람의 반시계 방향 순환(바람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며 고기압 중심에서 왼쪽으로 편향됨)을 만든다. 지면 마찰은 고기압계에서 흘러나오는 바람을 느리게 하고, 마찰이 없는 경우보다 바람이 더 바깥쪽으로 흐르게 한다. 이는 마찰에 의한 영향을 포함한 '실제 바람'을 만들어내는데, 이는 등압선과 평행하게 흐르는 지균풍에 더해진다.[31]참조
[1]
웹사이트
Glossary: Anticyclone
http://www.nws.noaa.[...]
National Weather Service
2010-01-19
[2]
웹사이트
Weather Conditions
https://www.metoffic[...]
Met Office
2024-11-07
[3]
웹사이트
A dry start to winter
http://www.bom.gov.a[...]
Australian Government Bureau of Meteorology
2017-07-01
[4]
웹사이트
European Heat Wave
https://earthobserva[...]
2003-08-16
[5]
웹사이트
High
http://amsglossary.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2-16
[6]
웹사이트
Appendix G: Glossary
http://www.ofcm.gov/[...]
NOAA
2009-02-16
[7]
웹사이트
What's happening inside highs and lows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09-02-16
[8]
웹사이트
Haze
http://www.kjc.gov.m[...]
2007-02-11
[9]
웹사이트
Fog characteristics
http://www.rap.ucar.[...]
NCAR National Research Laboratory
2007-02-11
[10]
웹사이트
Blame Yukon: Arctic air mass chills rest of North America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entre
2009-02-16
[11]
웹사이트
North Atlantic International General Aviation Operations Manual Chapter 2. Environment
http://www.faa.gov/a[...]
FAA
2009-02-16
[12]
서적
Polar Lows: Mesoscale Weather Systems in the Polar Reg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CHAPTER 11: Air Masses, Fronts, Cyclones, and Anticyclones
http://userpages.umb[...]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County
2009-02-16
[14]
웹사이트
STEC 521: Lesson 4 Surface Pressure Systems and Airmasses
http://ccrc.unh.edu/[...]
University of New Hampshire
2009-02-16
[15]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What determines the movement of tropical cyclones?
http://www.aoml.noaa[...]
Atlantic Oceanographic and Meteorological Laboratory
2006-07-25
[16]
웹사이트
An Australian "Anti-storm"
http://earthobservat[...]
NASA
2013-02-12
[17]
웹사이트
Cyclone
http://dictionary.re[...]
Dictionary.com
2013-01-24
[18]
사전
Anticyclone
http://dictionary.re[...]
2024-11-07
[19]
웹사이트
Level of nondivergence
http://amsglossary.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2-17
[20]
웹사이트
Middle-Latitude Cyclones – II
http://www.phys.ufl.[...]
University of Florida
2009-02-16
[21]
웹사이트
Weather's Highs and Lows: Part 1 The High
http://www.islandnet[...]
The Weather Doctor
2009-02-16
[22]
웹사이트
Hadley's Principle: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the Trade Winds
http://www.meteohist[...]
International Commission on History of Meteorology: History of Meteorology 3
2009-02-16
[23]
웹사이트
Hadley Cell
http://www.windows.u[...]
University Corporation for Atmospheric Research
2009-02-16
[24]
웹사이트
Subtropical High
http://amsglossary.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2-16
[25]
웹사이트
The Formation of Deserts
http://library.think[...]
Oracle ThinkQuest Education Foundation
2009-02-16
[26]
서적
Pollution of the Arctic Atmospher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02-16
[27]
웹사이트
Siberian High
http://amsglossary.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2-16
[28]
웹사이트
Azores High
http://www.weatheron[...]
Weather Online Limited
2009-02-16
[29]
서적
Extreme Weather
https://archive.org/[...]
Twin Age Ltd.
[30]
웹사이트
Education and Careers: What is wind?
http://www.bwea.com/[...]
British Wind Energy Association
2009-02-16
[31]
웹사이트
Origin of Wind
http://www.srh.noaa.[...]
National Weather Service Southern Region Headquarters
2009-02-16
[32]
간행물
고기압의 성격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