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라주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라주데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드리나 강 유역에 자리 잡고 있다. 중세 시대에는 세르비아와 보스니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14세기부터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다. 1465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된 후 오리엔트적인 특징을 갖게 되었으며, 중요한 무역 거점으로 발전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거점이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활동 거점이 되었다. 보스니아 전쟁 중에는 유엔 안전 구역으로 지정되었으나, 스릅스카 공화국군의 포위 공격을 받았다. 고라주데는 다양한 문화 유산을 가지고 있으며, 문학 작품과 스포츠 팀을 통해 알려져 있다. 또한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도시 - 사라예보
    사라예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이자 연방 수도로, 터키어에서 유래한 지명을 가지며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 원인이 된 사라예보 사건과 보스니아 전쟁의 장기 포위 공격을 겪었으며, 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공존하는 다문화 도시이자 1984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이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도시 - 투즐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동부에 위치한 투즐라는 6,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정착지 중 하나로, 소금 매장지로 번성했으나 지반 침하 문제를 겪었고, 여러 제국을 거쳐 보스니아 전쟁의 아픔을 겪었으며, 현재는 산업 및 문화 중심지이자 염호 관광지로 발전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고라주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고라주데
고라주데
공식 명칭고라주데 시
로마자 표기Grad Goražde
행정 구역
구성체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보스니아=포드리네 현
지리적 지역포드리네
정치
시장에르네스트 이마모비치
소속 정당SDP BiH
지리
면적248.8 제곱킬로미터
시가지 면적23.8 제곱킬로미터
해발 고도345 미터
인구
총 인구 (2013년)20,897명
시가지 인구 (2013년)11,806명 (4개 지방 자치 공동체 13,970명)
시가지 인구 밀도1944.97명/제곱킬로미터 (586.97명/제곱킬로미터)
시간대
시간대CET
협정 세계시 (UTC) 오프셋+1
하계 시간대CEST
하계 시간 협정 세계시 (UTC) 오프셋+2
기타 정보
우편 번호73000
지역 번호+387 38
웹사이트고라주데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고라주데는 1379년 무역 정착지로 처음 언급되었고, 1444년에는 요새로 언급되었다. 도시 이름은 슬라브어 단어 "고라즈드"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1415년 두브로브니크 상인들과 활발한 상업 관계를 맺으면서 시장이 유명해졌다.

1465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된 후, 고라주데는 보스니아 도로와 두브로브니크 도로가 교차하는 중요한 무역 중심지가 되었다. 1550년부터 1557년까지 메흐메드-파샤 소콜로비치는 드리나 강에 돌다리와 카라반사라이를 건설했다.[1] 18세기에는 Sijerčić 베이들이 지은 두 개의 모스크가 건설되었다.

19세기 중반까지 고라주데는 헤르체고비나 산자크의 일부였다가, 이후 사라예보 산자크의 일부가 되었다.[1] 오스트리아-헝가리 점령 시기에는 국경에 위치한 지리적 위치 때문에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세르비아몬테네그로를 상대로 사용된 주요 거점 중 하나였다.

유고슬라비아 시기에는 국경 도시가 아니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발전했다. 1941년 독일군이탈리아군이 도시를 점령했다. 민족 해방군은 1942년 1월 27일 처음으로 도시를 점령했고, 티토 원수가 이 곳에 머물기도 했다. 1945년 3월 6일, 고라주데는 마침내 점령에서 해방되었다.[1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고라주데는 사회적, 경제적으로 크게 성장했다. 질소 공장을 비롯한 여러 산업 기업이 설립되어 제조업, 건설업, 운송업, 무역업, 수공업 등이 발전했다.

1992년부터 1995년까지 보스니아 전쟁 동안 고라주데는 스릅스카 공화국군에 포위되었지만, 유엔 안전 구역으로 지정되어 민간인에 대한 공격이 억제되었다.[3] 1994년 세르비아군의 대규모 공세가 있었으나, NATO의 개입으로 세르비아군은 철수했다.[4] 1995년에는 로열 웰치 퓨질리어스 소속 영국군 유엔 병사들이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들에게 제압당하기도 했지만,[5] 도시 방어에 성공하여 스레브레니차 학살과 같은 비극을 막을 수 있었다.[6] 데이튼 협정 이후, 고라주데와 연방 사이에 육상 회랑이 건설되었다.

2. 1. 중세 시대

고라주데의 드리나 강


고라주데는 고르네 포드리네와 함께 1376년까지 세르비아의 일부였으며, 트브르트코 국왕의 통치하에 보스니아에 병합되었다. 트브르트코의 사후에는 훔 공작들이 도시를 통치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사람은 헤르조그 스테판 부크치치 코사차였다.

1379년에 고라주데는 처음으로 무역 정착지로 언급되었고, 1444년에는 요새로 언급되었다. 도시 이름의 유래는 슬라브어 단어 "고라즈드"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1415년에 두브로브니크의 상인들이 이곳과 활발한 상업 관계를 맺으면서 고라주데 시장은 유명해졌다. 1446년에는 고라주데 근처에 정교회 교회가 세워졌다.

2. 2.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

1465년 오스만 제국은 고라주데를 정복했고, 이 지역은 오리엔탈적인 특징을 갖게 되었다. 1477년에는 마을에 4개의 마할이 있었다. 1550년부터 1557년까지 메흐메드-파샤 소콜로비치는 드리나 강에 돌다리와 카라반사라이를 건설했다.[1]

터키 지배 기간 동안 고라주데는 보스니아 도로와 두브로브니크 도로, 두 개의 중요한 도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해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다. 1477년 토지에서 얻는 총 국가 수입은 24,256 아크치였다. 1711년에는 26,000 아크치에 달했다.[1]

Sijerčić 베이들이 지은 두 개의 모스크18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라주데 근처에는 1454년 스테판 부크치치 코사차가 아내를 위해 지은 동방 정교회 성 조지 교회가 있다. 교회 단지 내에 위치한 고라주데 인쇄소는 1519년부터 1521년까지 운영되었다. 이곳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설립된 최초의 인쇄소이자 발칸 반도에서 두 번째로 설립된 인쇄소였다.[1]

고라주데 인구 구성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점령 시대부터 추적할 수 있다. 정교회 주민들은 산자크의 스타리 블라, 몬테네그로의 브르다, 헤르체고비나, 남부 세르비아에서 유래되었다. 몇몇 조상 주민 외에, 이슬람교도들은 17세기에 고라주데와 그 주변 지역으로 대거 이주하기 시작했다.[1]

18세기19세기 전반기에 고라주데의 쇠퇴는 다른 요인들과 함께 역병의 영향으로 여겨진다. 19세기 중반까지 고라주데는 헤르체고비나 산자크의 일부였으며, 이후 사라예보 산자크의 일부가 되었다.[1]

2. 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통치 시기

오스트리아-헝가리 점령 시기 고라주데는 쇠퇴하였지만, 동시에 어느 정도 발전도 있었다. 국경에 위치한 지리적 위치 때문에 고라주데는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세르비아몬테네그로를 상대로 사용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다.

2. 4. 유고슬라비아 시대

유고슬라비아 시기 고라주데는 더 이상 국경 도시가 아니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발전하고 번영할 수 있었다.

1941년 4월 17일 공습 이후 독일군이 이 도시에 진입했고, 이후 이탈리아군도 주둔했다.

민족 해방군은 1942년 1월 27일 처음으로 이 도시를 점령했으며, 그해 5월까지 주둔했다. 이 기간 동안 포차 조항에 따라 고라주데 시를 위한 민족 해방 위원회가 결성되었다. 동시에 고라주데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동부 지역 민족 해방군의 사령부였다. 1942년 3월 초, 최고 사령관인 티토 원수가 고라주데에 머물렀다. 고라주데는 1943년과 1944년에 두 번 더 해방되었고, 1945년 3월 6일 마침내 점령으로부터 해방되었다.[15]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1961년까지 고라주데의 경제 성장에 매료되어 인근 마을과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상당수의 가족들이 고라주데로 이주해왔다. 196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고라주데의 인구는 8,812명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고라주데의 산업은 주로 소매업, 어느 정도 도매업, 요식업, 수공업, 운송업으로 구성되었다.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점령 기간 동안 산업은 파괴되었고 기존 주택의 약 45%도 파괴되었다.[1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엄청난 사회적, 경제적 성장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다. 많은 새로운 산업 기업이 설립되었으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질소 공장이다.[15]

그 이후 고라주데의 산업은 체계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주요 분야는 제조업, 건설업, 운송업, 무역업, 수공업이다. 1981년 고라주데의 1인당 GDP는 유고슬라비아 평균의 70%였다.[15]

2. 5. 보스니아 전쟁

1992년부터 1995년까지 보스니아 전쟁 동안 고라주데는 스레브레니차, 제파와 함께 보스니아인의 6개 거점 중 하나였으며, 스릅스카 공화국군에 의해 포위되었다. 1993년 4월, 이곳은 유엔이 민간인에 대한 공격을 억제해야 했던 유엔 안전 구역으로 지정되었다.[3] 1994년 3월 30일부터 4월 23일까지 세르비아인들은 도시를 향해 대규모 공세를 시작했다. 세르비아 탱크와 전초기지에 대한 공습과 NATO의 최후 통첩 이후, 세르비아군은 도시에서 20km 떨어진 곳으로 포병과 장갑차를 철수하기로 합의했다.[4]

1995년 5월 28일,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들은 다시 고라주데를 공격하여 드라바 강의 서쪽 강둑에 있는 4개의 관측소에서 근무하던 로열 웰치 퓨질리어스 소속의 영국군 유엔 병사 33명을 제압했다.[5] 동쪽 강둑에 주둔해 있던 나머지 병력은 빠져나가 보스니아계 증원군을 도와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이 도시를 내려다보는 주요 언덕을 점령하는 것을 막았다. 이 작전은 스레브레니차 학살과 같은 스레브레니차의 운명을 겪는 것을 막았다고 평가받고 있다.[6]

데이튼 협정 이후, 고라주데와 연방 사이에는 육상 회랑이 건설되었다. 1992년부터 1995년까지의 보스니아 전쟁 당시, 고라주데는 6개 보스니아인 영토 비(非)연속 지역 중 하나로 스레브레니차, 제파와 함께 스릅스카 공화국군에 포위되었다. 1993년 4월에 시민을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유엔 안전 지대로 지정되었다. 1994년 3월 30일부터 4월 23일까지 스릅스카 측은 대규모 공격을 마을에 가했다. 그 후, 스릅스카의 전차와 전초 기지에 대해 본격적이지 않은 공습이 가해졌고, NATO의 최후 통첩에 스릅스카 공화국군은 동의하여 중화기 및 장갑차를 마을에서 20km 떨어진 곳으로 철수시켰다.[16] 공격이 끝날 때까지 694명의 군인과 시민이 사망하고 1,917명이 부상당했다. 고라주데는 보스니아 동부 마을 중 유일하게 세르비아인에 의한 인종 청소가 행해지지 않은 마을이다.

3. 지리

고라주데는 보스니아 남동부 드리나 강 강둑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도시는 야호리나 산의 동쪽 경사면 기슭 해발 345m에 위치해 있다. 이 정착지는 드리나 강의 침식으로 형성된 넓은 계곡의 충적 평지에 자리 잡고 있다. 이 계곡은 남동쪽으로 비세르나(701m), 남쪽으로 사마리(696m), 남서쪽으로 미샤크(618m), 서쪽으로 구바비차(410m), 북쪽으로 포브르스니차(420m)와 경계를 이룬다.

드리나 강은 이 언덕들과 다른 언덕들 사이로 흐른다. 고대부터 바다에서 내륙(두브로브니크트레비네–가츠코–포차–드리나 계곡)으로 가는 길의 일부였던 이 계곡은 보스니아 남동부 지역의 주요 교통 동맥이다. 고라주데에서 이 길은 야부카 산을 거쳐 사라예보와 보스니아 중부에서 오는 다른 길과 만나 드리나 계곡으로 내려가 플레블레로 이어진다.

고라주데는 보스니아 남서부의 포차, 소코라츠와 비셰그라드 사이의 드리나 강 강변에 위치한 도시로, 야호리나 산의 동쪽 사면에 위치하며 해발 345m이다. 드리나 강의 침식 작용으로 형성된 충적 단구가 넓은 계곡에 펼쳐져 있다. 주변은 구릉지가 펼쳐진 지형이다.

4. 기후

고라주데의 기후는 1961년부터 1990년까지의 관측 기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1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C)17.2°C21.2°C27°C31.2°C34.2°C35.8°C38.2°C38.2°C34.8°C30.5°C26°C20.6°C38.2°C
평균 최고 기온 (°C)2.6°C7°C12.5°C17°C22.1°C25°C27.4°C27.4°C23.6°C17.2°C9.5°C3.4°C16.2°C
평균 기온 (°C)-1°C1.8°C5.8°C10.1°C14.5°C17.4°C19°C18.7°C15.4°C10.3°C5°C0.4°C9.8°C
평균 최저 기온 (°C)-4.7°C-2.8°C-0.4°C3.2°C7.5°C11.1°C12.3°C12°C9.6°C5.5°C0.9°C-2.8°C4.3°C
최저 기온 (°C)-23.5°C-20°C-15°C-5°C-2°C0°C4.5°C3°C-2°C-6°C-16°C-19°C-23.5°C
강수량 (mm)55.2mm52.9mm51.6mm66.9mm70.6mm80mm63.1mm67.2mm68.2mm67.8mm85.1mm71.6mm800mm
평균 강수일수 (≥ 0.1mm)9.710.310.211.911.212.79.18.28.88.311.011.8123.2
평균 적설일수 (≥ 1cm)17.011.93.30.30.00.00.00.00.00.13.212.748.6
평균 상대 습도 (%)89.787.283.780.780.180.579.380.683.687.789.190.484.4


5. 인구

고라주데 시의 정착지별 인구 변화
정착지1961년1971년1981년1991년2013년
총계31,30334,68536,92437,50520,897
바치1,4211,120
보구시치295244
부디치388324
초브치치356250
두치치277273
고라주데9,48213,02216,27312,512
그라보비크284239
므라빈야크387249
포트르쿠샤144237
세들라리391211
비트코비치1,080942
주프치치792382


5. 1. 인구 구성

보스니아 전쟁 이전 199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187개 지방 자치 단체를 포함하는 고라주데 기초 자치 단체의 인구는 37,573명이었다. 오늘날의 고라주데 자치 단체는 데이턴 협정에 의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 속하게 된 전쟁 전 고라주데 자치 단체의 일부분으로, 전쟁 전 자치 단체의 영역 대부분을 계승하고 있다. 고라주데의 인구 구성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지배 시대의 잔재이다. 세르비아인 등 정교회 인구는 소수의 오래된 주민을 제외하고 산자크의 스타리 블라, 몬테네그로의 브르다, 헤르체고비나, 남부 세르비아 등을 기원으로 한다. 무슬림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 것은 17세기 이후의 일이다.

1991년 인구 조사에 따른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

구분보스니아인세르비아인유고슬라비아인크로아티아인기타
고라주데 기초 자치 단체26,296명 (69.98%)9,843명 (26.19%)789명 (2.09%)80명 (0.21%)-
고라주데 시가지9,568명 (58.79%)5,584명 (34.31%)663명 (4.07%)62명 (0.38%)396명 (2.43%)


5. 2. 민족 구성

Opština Goraždebs의 민족 구성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다음은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른 민족 구성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고라주데 시의 민족 구성
연도총계보스니아인세르비아인유고슬라비아인크로아티아인기타
1971년9,482명5,266명 (55.54%)3,675명 (38.76%)100명 (1.055%)133명 (1.403%)308명 (3.242%)
1981년13,022명6,746명 (51.80%)4,376명 (33.60%)1,495명 (11.48%)75명 (0.576%)330명 (2.544%)
1991년16,273명9,568명 (58.80%)5,584명 (34.31%)663명 (4.07%)62명 (0.38%)396명 (2.43%)



199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고라주데 기초 자치 단체의 인구는 37,573명이었다. 이 중 보스니아인이 26,296명(69.98%)으로 가장 많았고, 세르비아인이 9,843명(26.19%), 유고슬라비아인이 789명(2.09%), 크로아티아인이 80명(0.21%)이었다.

고라주데 시가지의 인구는 16,273명이었으며, 보스니아인이 9,568명(58.79%), 세르비아인이 5,584명(34.31%), 유고슬라비아인이 663명(4.07%), 크로아티아인이 62명(0.38%), 기타가 396명(2.43%)이었다.

보스니아 전쟁 이후, 데이턴 협정에 따라 고라주데 자치 단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 속하게 되었다. 고라주데의 인구 구성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지배 시대의 영향을 받았다. 정교회 인구는 소수의 오래된 주민을 제외하고 산자크의 스타리 블라, 몬테네그로의 브르다, 헤르체고비나, 남부 세르비아 등에서 유래했다. 무슬림 인구는 17세기 이후 증가하여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6. 환경

고라주데는 야호리나 산 동쪽 경사면 기슭, 해발 345m에 위치하며, 드리나 강의 침식으로 형성된 넓은 계곡의 충적 평지에 자리 잡고 있다. 이 계곡은 남동쪽으로 비세르나(701m), 남쪽으로 사마리(696m), 남서쪽으로 미샤크(618m), 서쪽으로 구바비차(410m), 북쪽으로 포브르스니차(420m)와 경계를 이룬다.

드리나 강은 이 언덕들 사이로 흐르며, 고대부터 바다에서 내륙(두브로브니크–트레비네–가츠코–포차–드리나 계곡)으로 가는 길의 일부였다. 이 계곡은 보스니아 남동부 지역의 주요 교통 동맥이며, 고라주데에서 야부카 산을 거쳐 사라예보와 보스니아 중부에서 오는 다른 길과 만나 플레블레로 이어진다.

6. 1. 자연 환경

고라주데는 보스니아 남동부 드리나 강 강둑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도시는 야호리나 산 동쪽 경사면 기슭 해발 345m에 위치한다. 이 정착지는 드리나 강의 침식으로 형성된 넓은 계곡의 충적 평지에 있다. 이 계곡은 남동쪽으로 비세르나(701m), 남쪽으로 사마리(696m), 남서쪽으로 미샤크(618m), 서쪽으로 구바비차(410m), 북쪽으로 포브르스니차(420m)와 경계를 이룬다.

드리나 강은 이 언덕들과 다른 언덕들 사이로 흐른다. 고라주데 주변 지역은 고생대와 페름기의 셰일, 사암, 탄소 퇴적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언덕은 대부분 둥글고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높은 언덕은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라주데와 그 주변 지역은 주로 온화하고 신선한 산악 기후를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10.8°C이며 강수량은 연중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한다. 이 도시는 6개의 샘에서 물을 공급받는다. 주민 일부는 일반적인 우물에서 식수를 얻는다. 1962년에는 고라주데에서 16.5km 떨어진 차이니체의 샘에서 시작하여 급수 시스템이 건설되었다.

드리나 강은 고라주데의 설립과 발전에 큰 의미를 지닌다. 17세기 이후 기록된 가장 큰 홍수는 1677년, 1731년, 1737년, 1896년, 1911년, 1922년, 1952년, 1974년, 2010년에 발생했다.

6. 2. 수자원

고라주데 주변 지역은 고생대와 페름기의 셰일, 사암, 탄소 퇴적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언덕은 대부분 둥글고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높은 언덕은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라주데와 그 주변 지역은 주로 온화하고 신선한 산악 기후를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10.8°C이며 강수량은 연중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한다. 이 도시는 6개의 샘에서 물을 공급받는다. 주민의 일부는 일반적인 우물에서 식수를 얻는다. 1962년에 고라주데에서 16.5km 떨어진 차이니체의 샘에서 시작하여 급수 시스템이 건설되었다.

드리나강은 고라주데의 설립과 발전에 큰 의미를 지닌다.

17세기 이후 기록된 가장 큰 홍수는 1677년, 1731년, 1737년, 1896년, 1911년, 1922년, 1952년, 1974년, 2010년에 발생했다.

6. 3. 홍수

드��나 강은 고라주데의 설립과 발전에 큰 의미를 지닌다.[1]

1677년, 1731년, 1737년, 1896년, 1911년, 1922년, 1952년, 1974년, 2010년에 큰 홍수가 발생했다.[1]

6. 4. 도시 환경

고라주데는 우스티프라차-포차 도로를 따라 길게 뻗은 형태가 주요 특징이다. 1465년부터 1878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다. 18세기와 19세기에는 무슬림과 정교회 공동체가 고라주데에 거주했다. 제2차 세계 대전까지 고라주데는 무슬림 지역과 정교회 지역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오늘날 이러한 구분은 사라지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도시는 확장되고 현대화되기 시작하여, 새로운 도로가 건설되고 중심부와 외곽에 공공 및 주거 건물이 세워졌다. 1945년부터 1961년까지 시영 아파트 1,130개와 개인 주택 680개가 건설되었다. 1961년에는 도시 전체에 총 616개의 건물이 있었다.

7. 문화

1992년부터 1995년까지의 고라주데 포위는 여러 책에서 다루어졌는데, 그 중 두 권은 영어로 번역되었다. 사보 헬레타의 《내 차례는 아니야》는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 청소년이자 생존자가 쓴 책이다.[8][9] 조 사코의 그래픽 노블 《안전 구역 고라주데(Safe Area Goražde)》는 당시 포위된 도시를 여러 번 방문했던 기자가 쓴 책이다.[10] 닉 리처드슨의 《탈출 불가 지역》은 NATO 폭격 임무 중 고라주데 지역에서 격추된 전 영국 해군 항공대 조종사가 쓴 책으로, 도시 안에서 몇 주를 보낸 경험을 담고 있다.[11]

FK 고라주데는 보스니아 2부 리그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1부 리그에서 활동하는 축구 클럽이며, 홈 경기는 스타디온 미드하트 드르예비치에서 치른다.

7. 1. 문학

1992년부터 1995년까지의 고라주데 포위는 여러 권의 책에서 다루어졌으며, 그 중 두 권은 영어로 번역되었다. 두 책 모두 그 시대를 특징짓는 잔혹함과 인간성의 혼합을 강조한다. 사보 헬레타의 《내 차례는 아니야》는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 청소년이자, 한때 세르비아군의 폭격을 받았으며, 주로 보스니아인들이 거주하는 마을에서 세르비아인으로 의심받았던 생존자가 쓴 책이다.[8][9] 조 사코의 그래픽 노블 《안전 구역 고라주데(Safe Area Goražde)》는 당시 포위된 도시를 여러 번 방문했던 기자가 쓴 책이다.[10]

닉 리처드슨이 저술한 《탈출 불가 지역》은 NATO 폭격 임무 중 고라주데 지역에서 격추된 전 영국 해군 항공대 조종사가 쓴 책으로, 그는 도시 안에서 몇 주를 보냈으며 주민들과 UN군이 직면한 상황과 매일의 포격에 대해 언급한다.[11]

7. 2. 스포츠

FK 고라주데는 보스니아 2부 리그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1부 리그에서 활동하며, 홈 경기는 스타디온 미드하트 드르예비치에서 치른다.

8. 자매 도시

고라주데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2]

국가도시
아다파자르
델체보[13]
가지에미르
게라
귕괴렌
카라타이[14]
케치외렌
마라게
샤힌베이
스타리 그라드 (사라예보)


9. 저명한 출신 인물


  • 아드미르 라시치 - 축구 선수
  • 야노시 비테즈 - 도나우 인문주의자, 에스테르곰 대주교 겸 헝가리 수석 주교, 바라드 주교 (1445–1465)
  • 이사크 사모코블리야 - 작가
  • 아나벨라 아티야스 - 가수
  • 카심 카메니차 - 핸드볼 선수 겸 코치
  • 제일라 라모비치 - 가수
  • 후세인 조조 - 이슬람 신학자
  • 스테판 부크치치 코사차 - 보스니아의 헤르체크/헤르조크(공작)
  • 라데 요바노비치 - 민요 수집가 겸 작곡가
  • 엘비르 라코비치 라카 - 가수

참조

[1] 웹사이트 Naseljena Mjesta 1991/2013 http://www.statistik[...] Statistical Office of Bosnia and Herzegovina 2022-04-09
[2] 서적 Atlas svijeta: Novi pogled na Zemlju Sveučilišna naklada Liber
[3] 웹사이트 The Bosnian 'Safe Havens' http://www.beyondint[...] Beyondtractabiliity.org 2013-11-23
[4] 서적 Just war: principles and cases CUA Press
[5] 웹사이트 Serbs take 33 Britons hostage https://www.independ[...] 2023-11-03
[6] 뉴스 Fusiliers' battle to save Bosnians http://news.bbc.co.u[...] BBC 2002-12-05
[7] 웹사이트 Meteorlogical data for station Goražde in period 1961–1990 http://atlasklime.fh[...] Meteorological Institute of Bosnia and Herzegovina 2018-04-30
[8] 웹사이트 Dr Savo Heleta | Author of NOT MY TURN TO DIE: Memoirs of a Broken Childhood in Bosnia http://www.savohelet[...] Savoheleta.com 2013-11-23
[9] 서적 Not My Turn to Die: Memoirs of a Broken Childhood in Bosnia: Savo Heleta: 9780814401651: Amazon.com: Books AMACOM
[10] 웹사이트 Safe Area Gorazde: The War in Eastern Bosnia 1992–1995 by Joe Sacco - Powell's Books http://www.powells.c[...] Powells.com 2013-11-23
[11] 서적 No Escape Zone Little, Brown and Company
[12] 웹사이트 Pregled odluka, sporazuma, deklaracija o bratimljenju/prijateljstvu općine Goražde https://gorazde.ba/w[...] Goražde 2021-02-25
[13] 웹사이트 Službene novine grada Goražda http://www.gorazde.b[...] Goražde 2018-12-03
[14] 웹사이트 Kardeş Şehirler https://www.karatay.[...] Karatay 2020-11-13
[15] 서적 Atlas svijeta: Novi pogled na Zemlju Sveučilišna naklada Liber
[16] 문서 Just war: principles and cases CUA Press
[17] 웹인용 Meteorlogical data for station Goražde in period 1961–1990 http://atlasklime.fh[...] Meteorological Institute of Bosnia and Herzegovina 2018-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