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옹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성옹주는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태조의 손녀이자 정종의 딸이다. 남편은 지중추부사 김한이다. 슬하에 3남 3녀를 두었으며, 친정은 전주 이씨이고 시가는 안산 김씨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세기 사망 - 안드레이 루블료프
15세기 러시아의 이콘 화가이자 수도사인 안드레이 루블료프는 러시아 정교회 미술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인물로, 「성삼위일체」 이콘은 성삼위일체 묘사의 표준으로 인정받았으며 금욕적인 아름다움과 비잔틴 양식의 조화로 '루블료프파'라는 독자적인 예술 사조를 형성했다. - 15세기 사망 - 경선공주
경선공주는 조선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의 딸로, 1393년 심종에게 하가하여 딸 하나를 두었으며, 남편의 사망 후 1446년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고종 때 공주로 봉해졌다. - 조선 정종의 자녀 - 무림군
무림군은 조선 세조의 아들 정종과 숙의 기씨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로, 정부인 홍씨와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었으며, 세조의 순행을 호종하고 문폐사로 활동하며 지방 실정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 조선 정종의 자녀 - 도평군
도평군은 조선 정종의 아들로, 기생 첩을 사랑하여 탄핵을 받았으나 세종의 비호를 받았고, 예종 즉위년에 군호를 하사받았으며 1470년 이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조선의 옹주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의 옹주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고성옹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고성옹주 |
작위 | 군주, 옹주 |
왕조 | 조선 왕조 |
아버지 | 정종 |
어머니 | 미상 |
친척 | 태조(조부), 태종(숙부), 세종(사촌) 등 |
배우자 | 지중추 김한(知中樞 金澣) |
자녀 | 3남 3녀 김사공(金士恭), 김사온(金士溫), 김사양(金士讓), 민혜(閔憓)의 처, 이수증(李秀增)의 처, 하징(河澄)의 처 |
휘 | 미상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조선 |
사망일 | 미상 |
사망지 | 조선 |
2. 별칭
- 고성군주
- 고성옹주
3. 가족 관계
고성옹주는 태조의 손녀이자 정종의 딸이다. 어머니는 알려져 있지 않다. 안산 김씨 지중추부사 호평공 김한(金澣)과 혼인하여 3남 3녀를 두었다.
3. 1. 친정 전주 이씨
- 조부: 태조대왕 (1335~1408, 재위: 1392~1398)
- 조모: 신의왕후 안변 한씨 (1337~1391)
- '''아버지''': 정종대왕 (1357~1419, 재위: 1398~1400)
- '''어머니''': 미상
3. 2. 시가 안산 김씨
시아버지 | 연성군 위정공 김정경(蓮城君 威靖公 金定卿, 1345~1419) |
---|---|
시어머니 | 판서 신익지(判書 申翼之)의 딸 |
시어머니 | 신양군 노영(新陽君 盧瑛)의 딸 교하 노씨(交河 盧氏) |
친시어머니 | 남평군 왕화(南平君 王和)의 딸 개성 왕씨(開城 王氏)[2] |
부마 | 지중추부사 호평공 김한(知中樞府事 胡平公 金澣, 1409~1485[3]) |
장남 | 김사공(金士恭) |
며느리 | 남양 홍씨 - 홍극치(洪克治)의 딸 |
손자 | 김종손(金宗孫) |
손자 | 김윤손(金胤孫) |
손녀 | 전의 이씨 이승열(李承烈)에게 출가 |
차남 | 김사온(金士溫) |
며느리 | 칠원 윤씨 - 윤휘(尹撝)의 딸 |
손자 | 김인손(金仁孫) |
손자 | 김지손(金智孫) |
손자 | 김신손(金信孫) |
손녀 | 동래 정씨 정철함(鄭啓咸)에게 출가 |
삼남 | 김사양(金士讓) |
며느리 | 밀양 박씨 - 박심문(朴審問)의 딸 |
손자 | 김감(金瑊) |
손자 | 김환(金環) |
장녀 | 여흥 민씨 민혜(閔憓)에게 출가 |
외손자 | 민석형(閔碩亨) |
외손자 | 민세형(閔世亨) |
외손자 | 민시형(閔時亨) |
외손녀 | 의성 김씨 김자치(金自治)에게 출가 |
차녀 | 예안 이씨 이수증(李秀增)에게 출가 |
외손자 | 이정필(李貞弼) |
삼녀 | 숙부인 김씨(淑夫人 金氏) |
사위 | 진주 하씨 인동현감 하복산(仁同縣監 河福山)의 아들 태인현감 증 이조참의 하징(泰仁縣監 贈 吏曹參議 河澄, 1457 ~ 1521) |
외손자 | 하팽로(河彭老) |
외손자 | 하충로(河忠老) |
외손자 | 하원로(河元老) |
외손자 | 하인로(河仁老) |
외손녀 | 최응윤(崔應尹)에게 출가 |
참조
[1]
서적
성종실록 224권, 20년(1489 기유 / 명 홍치(弘治) 2년) 1월 21일(경진) 1번째기사
[2]
웹사이트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 김정경
http://gsm.nricp.go.[...]
[3]
서적
성종실록 184권, 16년(1485 을사 / 명 성화(成化) 21년) 10월 15일(임진) 6번째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