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이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이 전투는 1868년 이치카와·후나바시 전쟁에서 패배한 막부군을 신정부군이 추격하여 가즈사 지역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4월 7일 요로 강을 사이에 두고 시작된 전투에서 신정부군은 사쓰마번, 조슈번, 오무라번, 쓰번 등의 병력을 투입하여 막부군을 공격했다. 신정부군은 아네가사키를 함락시키고 곤겐도에서도 승리하며 막부군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이 전투로 막부군은 보소 반도에서 조직적인 저항 능력을 상실했고, 도쿠가와 의군은 궤멸되었다.

2. 전투의 경과

1868년(게이오 4년) 음력 4월 3일, 이치카와·후나바시 전쟁에서 패배한 막부군은 가즈사 방면으로 남하했다. 신정부군은 이를 추격하여 4월 4일 게미 강, 4월 6일 지바(소가)를 거쳐 진군했다. 4월 6일 밤, 가즈사국 야와타(이치하라시) 부근에서 사쓰마번 병사 두 명이 막부군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다음 날인 4월 7일, 막부군과 신정부군은 요로강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면서 고이 전투가 시작되었다.

신정부군은 요로 강을 건너 아네가사키로 진출했으나, 삿페이대 제3대대가 맹공에 밀려 후퇴했다. 고이 주변 전투에서 막부군은 분전했지만, 병사 60명이 전사하고 패배하여 보소반도에서 조직적인 저항을 할 수 없게 되었다.

2. 1. 요로 강 전투

1868년(게이오 4년) 음력 4월 7일, 이치카와·후나바시 전쟁에서 패배한 막부군은 가즈사국 이치하라 야와타 부근에서 사쓰마번 병사 두 명을 살해했다. 이를 계기로 신정부군과 막부군은 요로 강에서 대치하게 되었다. 막부군은 요로 강 나룻배를 유지하라는 명령을 마을에 내렸다.

신정부군은 세 방면으로 나뉘어 공격을 개시했다. 우익대는 오카야마번 병사와 오무라번 병사 절반으로 구성되었고, 중앙대는 사쓰마 번, 조슈번, 오무라 번 병사가 담당했다. 좌익대는 쓰번 병사가 동부 대지 위를 본당과 평행하게 하여 요로 강 상류의 곤겐도로 향했다.

중앙대는 먼저 무라타 강을 따라 전개하는 적을 공격하기 위해 하마노 동쪽 주변에 전개하여 전진했고, 우익대는 본도에서 서쪽 해안을 산개하여 전진하며 적에게 접근했다. 철병대는 완강하게 저항하지 않고 서서히 요로 강 선까지 후퇴했다. 신정부군은 이를 추격하여 요로 강 우안으로 진격했지만, 막부군은 여기서 약간 강력한 저항을 했다.

이때, 우익대의 오무라 번 병사가 도하를 감행하여 요로 강 좌안에 도달, 막부군을 측면에서 공격했다. 이 측면 공격으로 막부군은 무너져 퇴각하기 시작했다. 중앙대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요로 강 도하를 강행하여 막부군의 제2선 진지로 예상된 아네가사키 정동쪽 고지 공격으로 넘어갔다.

2. 2. 아네가사키 전투

1868년 (게이오 4년) 윤4월 3일 이치카와·후나바시 전쟁에서 패배한 막부군은 가즈사 방면으로 남하했고, 관군도 이를 추격했다. 4월 7일, 요로 강에서 양측이 대치하며 고이 전투가 발발했다.[1]

정오가 지나 신정부군은 아네가사키 동쪽 고지를 공격했다. 사쓰마번 병력 2개 대대와 포병 1개 부대가 본도 정면의 구 막부군을 공격했고, 사쓰마번 병력 1개 대대와 조슈번, 오무라번 병력 일부는 우익대를 구성하여 아네가사키 시가지 방면으로 전진했다.[4] 늦게 도착한 사도하라번 병력은 중앙대 좌측으로 이동하다 오카야마번 병력과 합류하여 좌익대를 형성, 대지 중앙으로 전진했다.[4]

아네가사키는 의군부(막부군)의 거점이었기에 방어가 견고했지만, 대포가 2문뿐이었고[4] 포병도 부족했다. 반면 신정부군은 사쓰마번만 해도 포 5문과 박격포를 투입했고, 사도하라번과 오카야마번도 포를 보유했다. 전장이 트인 지형이라 신정부군은 소총 사거리 밖에서 포격을 가했고, 정예 철병대도 속수무책이었다. 포탄이 명중할 때마다 막부군은 동요했고, 신정부군은 쉽게 대지에 접근했다.[5]

신정부군 우익대는 포병의 엄호 사격을 받으며 큰 피해 없이 아네가사키 북동쪽 끝 흉벽에 돌입했다. 좌익대의 사도하라, 오카야마 번 병력도 중앙 대지를 공격해 올라갔고, 오후 2시경 아네가사키의 의군부 진지는 함락되었다.[5]

곤겐도 방면으로 향하던 쓰번 병력은 이치하라 야와타 부근에서 적 소부대를 격파하고 막부군 주둔지인 다이시도를 불태운 뒤 곤겐도 맞은편에 도착했다. 쓰번 병력은 서쪽 고지에서 철병대를 공격했고, 철병대는 마을로 후퇴했다. 쓰번 병력은 도하하여 곤겐도 마을에 돌입, 막부군을 격파하고 아네가사키 동쪽 고지를 점령했지만, 이미 신정부군 주력이 점령한 후였다.[6]

고이 주변 전투에서 신정부군 피해는 전사 1명, 부상 28명[2] 정도였던 반면, 막부군은 전사 50~60명, 부상 140~150명[2]으로 궤멸적이었다.

2. 3. 곤겐도 전투

1868년 윤4월 3일 이치카와·후나바시 전쟁에서 패한 막부군의 한 부대는 가즈사 방면으로 남하했고, 이를 쫓아 관군도 4일에 검견천, 6일에 지바 (소가)로 추격해 왔다. 같은 날 밤 가즈사국 이치하라 야와타 부근에서 사쓰마번 병사 두 명이 막부 군에게 살해당했고, 이를 계기로 다음 날 7일, 막부 군과 신정부군은 요로강에서 대치하며 고이 전쟁이 발발했다.

신정부군 중 좌익대는 쓰번 병력이 담당하여 동부 대지 위를 본대와 평행하게 하여, 요로강 상류의 곤겐도로 향했다. 쓰번 병력은 이치하라 야와타 부근에서 분파하여 적의 소부대를 격파하고, 막부 군의 주둔지로 여겨지던 다이시도를 불태우고 곤겐도 맞은편에 도달했지만, 맞은편 서쪽 넓은 지역에 적병이 있어 방어했으므로 도하 공격은 용이하지 않았다.

쓰번은 이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한 대를 서쪽 넓은 지역 북쪽의 고지에 파견하여, 고지 끝에서 철병대에 부감 사격을 실시했다. 정예로 꼽히던 철병대도 이것에는 손을 쓸 수 없었고, 강가에서 철수하여 마을 안에 숨어들었다. 쓰번 병력은 이 호기를 놓치지 않고, 도하하여 좌안에 올라 곤겐도 마을 안으로 돌입했다. 이 때문에 막부 군은 여기에서도 격파되어, 쓰번 병력은 더욱 추격하여 아네가사키 동쪽 북면 고지를 점령했지만, 이미 신정부군 주력 부대가 고지를 점령한 후였다.

2. 4. 전투 결과

1868년 고이 전투에서 신정부군은 전사 1명, 부상 28명[2]의 경미한 피해를 입었다. 반면 막부군은 전사 50~60명, 부상 140~150명[2]의 큰 피해를 입고 궤멸되었다. 이 패배로 막부군은 보소반도에서 더 이상 조직적인 저항을 할 수 없게 되었다.

3. 전투 이후

1868년(게이오 4년) 윤4월 8일, 신정부군은 의군부의 거점인 기사라즈마리야(술집)를 공격하기 위해 사쓰마 번, 조슈 번, 오무라 번, 사도와라 번 병력을 집결시켰다. 그러나 기사라즈의 의군부는 이미 해상으로 도망친 후였고, 마리야의 신뇨지(真如寺)는 막부군이 다시 사용할 것을 우려하여 소각되었다.[1] 의군부 총대장 후쿠다 하치로에몬 미치나오의 전후 행적은 불분명하다.[1]

마리야에 주둔하던 의군 일부는 오미가와(小見川)의 가시마 신궁사에 둔집하고 있다가 설득당해 무장 해제 후 에도로 연행되었다.[1] 센고쿠 반사부로가 이끄는 철병대 일부는 닛코산(日光山)을 향했으나, 우쓰노미야 부근에서 신정부군의 기습을 받고 흩어졌다.[1]

이로써 도쿠가와 의군은 괴멸하고, 보소반도는 신정부가 평정하게 되었다. 이치카와·후나바시 전쟁에서 시작된 보소의 전투는 신정부군의 압승으로 빠르게 종결되었다. 도쿠가와 의군의 패인으로는 의군부 수뇌부에 유능한 인재가 없었던 점과 정예 부대로 알려진 철병대 자체가 실제로는 전투 의지가 부족했던 점이 꼽힌다.[1] 일부는 하코다테 전쟁까지 항전했지만, 도쿠가와 의군부 주력의 저항은 이 고이 전투 이후 완전히 불가능하게 되었다.[1]

4. 전투의 의의 및 평가

고이 전투는 보소 반도에서 막부군의 조직적인 저항을 종식시키고 신정부의 지배를 확립한 결정적인 전투였다. 막부군 패배의 주요 원인은 지휘부의 부재와 철병대의 실전 경험 부족이었다. 일부 막부군은 하코다테 전쟁까지 항전했으나, 고이 전투 이후로는 더 이상 주력 부대의 저항은 불가능했다.

이 전투는 당시 동아시아의 정세 변화 속에서 일본의 근대화 과정과 권력 투쟁의 양상을 보여주는 사례로, 당시 조선의 상황과 비교하여 고찰할 필요가 있다.

참조

[1] 서적 戊辰役戦史(上) 時事通信社
[2] 웹사이트 新編大村市史第四巻(近代編)第一章 https://www.city.omu[...] 大村市 2024-12-21
[3] 서적 戊辰役戦史(上) 時事通信社
[4] 서적 戊辰役戦史(上) 時事通信社
[5] 서적 戊辰役戦史(上) 時事通信社
[6] 서적 戊辰役戦史(上) 時事通信社
[7] 서적 戊辰役戦史(上) 時事通信社
[8] 서적 戊辰役戦史(上) 時事通信社
[9] 서적 戊辰役戦史(上) 大山「「復古外記」(東海道戦記十二)の閏四月二十五日の田安、広瀬の上申書の中に「房総脱走の大隊長以下徒五百四十三人が下総国小見川(銚子西北二十五キロ、利根川右岸。内田正学(一万石)の治所)鹿島神宮社家へ屯集していたのを招撫し、小銃四百七十挺と弾薬三千発とを押収し、閏四月二十五日江戸に連れ帰った」とある。これが真里谷駐屯の二大隊の主力と判断される。」 時事通信社
[10] 서적 戊辰役戦史(上) 時事通信社
[11] 서적 戊辰役戦史(上) 時事通信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