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질라 9 - 고질라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질라 9 - 고질라 2세는 1967년 개봉한 일본 영화로, 고질라가 자신의 아들 미니라를 만나 함께 괴수들과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다. 남해의 졸겔 섬에서 기상 조절 실험 중 카마키라스와 쿠몽가가 나타나고, 고질라는 미니라를 보호하기 위해 이들과 대결한다. 과학자들은 기상 조절 장치를 다시 작동시켜 섬을 얼리고, 고질라와 미니라는 동면에 들어간다. 이 영화는 고질라 슈트의 크기를 키우고, 미니라를 아기 고질라로 묘사하여 부성애를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미를 소재로 한 영화 - 쿨 월드
    1992년 랄프 박시 감독이 연출하고 게이브리얼 번, 브래드 피트, 킴 베이싱어가 출연한 실사 애니메이션 영화 《쿨 월드》는 만화 세계와 현실 세계의 충돌을 다루며 제작 과정과 평가 면에서 여러 논란을 낳았다.
  • 거미를 소재로 한 영화 - 샬롯의 거미줄 (2006년 영화)
    2006년에 개봉한 영화 샬롯의 거미줄은 E.B. 화이트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아기 돼지 윌버와 농장 거미 샬롯의 우정을 그린 가족 영화로, 다코타 패닝, 줄리아 로버츠, 스티브 부세미 등이 출연했고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에서 최고의 실사 가족 영화상을 수상했다.
  • 곤충을 소재로 한 영화 - 꿀벌 대소동
    2007년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에서 개봉한 꿀벌 대소동은 꿀벌 배리 B. 벤슨이 인간 세상에 불만을 느껴 인류를 고소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제리 사인펠드가 제작, 각본, 주연을 맡았으며 개봉 후 엇갈린 평가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밈으로 재조명받았다.
  • 곤충을 소재로 한 영화 - 앤트맨 (영화)
    2015년 개봉한 마블 스튜디오의 슈퍼히어로 영화 앤트맨은 행크 핌이 개발한 핌 입자로 크기를 조절하는 앤트맨 슈트를 입고 활약하는 스콧 랭의 이야기이며,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페이즈 2의 마지막 작품이다.
  • 고지라 영화 - 고질라 (1998년 영화)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핵실험으로 탄생한 거대 돌연변이 이구아나 고질라가 뉴욕을 파괴하는 내용의 1998년 미국 괴수 영화 《고질라》는 과학자와 프랑스 비밀요원이 고질라 번식을 막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기존 시리즈와 다른 디자인과 스토리로 호불호가 갈렸고 비평가와 팬들에게 혹평을 받았다.
  • 고지라 영화 - 고지라 (1954년 영화)
    고지라 (1954년 영화)는 핵실험으로 깨어난 괴수 고지라가 일본을 파괴하는 내용을 담은 1954년 일본 영화이며, 핵무기의 공포를 은유하고 괴수 영화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고질라 9 - 고질라 2세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극장 개봉 포스터
원제괴수섬의 결전 고지라의 아들 (怪獣島の決戦 ゴジラの息子)
로마자 표기Kaijū-tō no Kessen: Gojira no Musuko
영문 제목Son of Godzilla
영화 정보
감독후쿠다 준
특수 효과아리카와 사다마사
제작다나카 도모유키
각본세키자와 신이치
시바 가즈에
출연구보 아키라
다카시마 다다오
마에다 비바리
히라타 아키히코
음악사토 마사루
촬영야마다 가즈오
편집후지이 료헤이
제작사도호 주식회사
배급사도호
개봉일1967년 12월 16일
상영 시간86분
국가일본
언어일본어
흥행
일본 내 수입2억 6천만 엔

2. 줄거리

유엔 식량 계획 기구는 졸겔 섬에서 기상 조절 실험을 진행한다. 이 실험은 기상 컨트롤 타워를 이용해 합성 방사능 존데를 발사하여 인공적으로 기후를 조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험 도중 섬 중앙부에서 발사된 수수께끼의 방해 에너지로 인해 실험은 실패하고, 섬은 70°C의 이상 고온 현상에 휩싸인다. 이로 인해 섬에 서식하던 거대 사마귀들이 괴수 카마키라스로 변이하고, 이들은 섬에서 거대한 을 발견하고 부화시킨다. 알에서 깨어난 것은 고질라의 아들 미니라였고, 카마키라스들은 미니라를 공격한다. 이때 미니라의 텔레파시 신호를 감지한 고질라가 섬에 상륙하여 카마키라스들과 싸운다.

한편, 실험대는 동굴로 피난하고, 그곳에서 섬의 원주민 소녀 사에코를 만난다. 사에코는 섬의 비밀과 거대 거미 괴수 쿠몽가에 대해 경고한다. 과학자들이 실험을 재개하지만, 쿠몽가가 깨어나 동굴을 공격한다. 미니라가 나타나 쿠몽가와 싸우지만 역부족이고, 고질라가 나타나 미니라를 돕는다. 고질라와 미니라는 협력하여 쿠몽가를 물리치고, 과학자들은 기상 조절 장치를 다시 작동시켜 섬을 얼린다. 고질라와 미니라는 눈 속에서 서로 껴안고 동면에 들어간다.

3. 등장인물

wikitext

배역배우
고질라나카지마 하루오, 세키타 히로시, 오나카 세이지[10][11]
미니라꼬마 마-찬[10][11]


3. 1. 인간

배역배우
쿠스미 박사다카시마 타다오
마츠미야 사에코마에다 비바리
마키 고로구보 아키라
후지사키히라타 아키히코
모리오사하라 켄지
후루카와츠치야 요시오
오자와마루야마 켄이치로
타시로구노 세이시로
스즈키사이조 야스히코
기상 관측기 기장구로베 스스무
기상 관측기 조종사스즈키 가즈오
기상 관측기 무선원토우긴 쵸타로
기상 관측기 계측원오마에 와타루


  • 졸겔 섬 기상 컨트롤 실험대의 대장인 기상학자 쿠스미 박사[1]는 다카시마 타다오가 연기했다.
  • 졸겔 섬을 조사하던 고고학자 마츠미야 박사의 딸인 마츠미야 사에코[2]는 마에다 비바리가 연기했다.
  • 프리 기자(파파라치) 마키 고로[3]는 구보 아키라가 연기했다. 그는 기상 컨트롤 실험을 취재하기 위해 단신으로 낙하산으로 졸겔 섬에 강하했다.[4]
  • 기상 컨트롤 실험대의 부대장 후지사키[5]는 히라타 아키히코가 연기했다.
  • 기상 컨트롤 실험대 대원 모리오[6]사하라 켄지가 연기했다.
  • 기상 컨트롤 실험대 대원 후루카와[7]는 츠치야 요시오가 연기했다.
  • 기상 컨트롤 실험대 대원 오자와[8]는 마루야마 켄이치로가 연기했다.
  • 기상 컨트롤 실험대 대원 타시로[9]는 구노 세이시로가 연기했다.

3. 2. 괴수


  • 고질라
  • 미니라
  • 카마키라스
  • 쿠몽가

4. 제작진

직책이름
제작다나카 도모유키
각본세키자와 신이치, 시바 카즈에
음악사토 마사루
촬영야마다 카즈오
미술키타 타케오
녹음와타라이 신, 반 토시야
조명야마구치 에이지, 코지마 쇼시치
편집후지이 료헤이
치프 조감독나가노 타쿠
제작 담당자사카모토 야스아키
스틸야마자키 준
정음시모나가 히사시
음향 효과카나야마 미노루
현상도쿄 현상소
감독후쿠다 준
특수기술 감수츠부라야 에이지
특수기술 감독아리카와 사다마사
특수 촬영토미오카 모토타카, 마노다 요이치
특수 미술이노우에 야스유키
특수 조명하라 분료
화약야마모토 큐조
조형 치프토시미츠 테이지
조작나카다이 후미오
치프 조감독나카노 아키요시
조형 조수야스마루 노부유키
특수 편집이시이 키요코
특수 스틸타나카 카즈키요
합성무카이야마 히로시
광학 촬영도쿠마사 요시유키, 가와키타 고이치
광학 작화이이즈카 사다오


5. 제작 배경

도호는 "데이트족"(당시 젊은 커플들에게 매우 인기 있는 영화 장르)의 관심을 끌기 위해 아기 고질라를 만들고 싶어했으며, 소녀들이 "귀여운" 아기 괴물을 좋아할 것이라는 아이디어를 가졌다.[5] 미니라의 아이디어에 대해 후쿠다 준 감독은 "우리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취하고 싶었고, 그래서 고질라에게 아들을 주었다. 딸을 주는 것은 조금 이상할 것 같아서 아들을 주었다"고 말했다. 후쿠다는 또한 괴물을 고질라 2세와 미니라의 부자 관계와 관련하여 거의 사람처럼 묘사하고 싶어했으며, "우리는 ''고질라 2세''의 전체 과정에서 고질라와 그의 아들 사이의 관계에 집중했다"고 밝혔다.

당시 세키자와 신이치는 이미 시리즈 각본을 쓰는 것에 지쳐 있었고, 괴수 영화에 대한 아이디어가 고갈되었다고 불평했을 가능성이 높았으며, 후쿠다 준 감독도 이에 전적으로 동의했다. 다나카 도모유키 프로듀서는 고질라에게 아들을 소개하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영화 제작비는 2.6억이었다. 고질라 2세가 1967년 12월 16일 일본에서 개봉했을 때 248만 장의 티켓이 팔렸고, 1973년 8월 1일에 재개봉되었을 때 61만 명의 관람객을 기록하여 총 관람객 수는 대략 309만 명이었다.

전작 고질라・에비라・모스라 남해의 대결투에 이어 남해의 섬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본편 촬영은 에서 진행되어 화제가 되었다. 개봉 당시에는 제1차 괴수 붐이 일어나고 있었기 때문에, 어린 관객층을 의식하여 고질라의 아이 미니라를 등장시켰다. 이를 받아들여 "고질라는 수컷인가 암컷인가"가 화제가 되었고, 당시의 선전 자료에서는 "파파 고질라"로 표기되었다. 또한, 후쿠다는 "부자의 정을 그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고질라 부자의 정이 특촬 파트에서 그려지고 있는 것이 본 작품의 특징이지만, 토호 프로듀서 다나카 도모유키는 고질라의 의인화로 인해 으스스함이 사라졌다고 말했다.

스토리 면에서는, 미니라의 코믹컬한 묘사나 고질라와의 부자간의 교류 등 따뜻한 요소도 보이지만, 본질은 과학자들에 의한 하드한 내용이 되고 있다. 히로인 사에코와 미니라의 교류 등, 스토리 면에서도 영상 면에서도 본편과 특촬의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바야리스와 팬아메리칸 항공과의 제휴가 이루어졌다.

괴수 붐을 의식하여 제작된 작품이었지만, 관객 동원은 전작을 크게 밑돌아, 토호는 차기작 괴수 총진격을 끝으로 시리즈를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서적 『고질라 데이즈』에서는, 시리어스한 본편과 코미디 터치의 특촬이 부조화였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후 유럽에서는 극장 개봉되었지만, 미국에서는 텔레비전 방영과 비디오 발매만 있었다.

본편 감독은 후쿠다 준, 특수 촬영은 정식으로 특기 감독으로 승격한 아리카와 사다마사가 맡아 전작에 이어 젊은 인재가 기용되었다. 통상적으로는 감독이 결정된 후 내용을 검토하지만, 본 작품에서는 아리카와가 취임하기 전에 '고질라의 아들'이라는 제목이 결정되었다. 미니라의 등장에 대해, 프로듀서 다나카 도모유키는 "고심 끝에 생각해냈다"고 말했지만, 아리카와는 "나중에 들은 이야기"라며 "제가 두 번째 특기 감독으로 결정되어, 그래서 고질라에게도 아들을, 이라는 아이디어가 나왔다"고 말했다. 아리카와는 크랭크업 후에 미니라 역을 맡은 난쟁이 머천에게 기념으로 전기 면도기를 선물받아 "지금도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할 때마다 좋은 시절이 생각납니다"라고 말했다.

각본은 세키자와 신이치와 그의 제자인 시바 가즈에의 연명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 대본은 세키자와에 의한 것으로, 시바가 집필한 '두 마리의 고질라 일본 SOS!!'가 원형이 되었다. '두 마리의 고질라'는 후년에 발견되어, 서적 '고질라 토호 특촬 미발표 자료 아카이브'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음악 또한 전작에 이어 사토 마사루가 담당했다. 본 작품에서는 여러 개의 퍼커션을 사용한 다채로운 심포닉 팝 스타일이다. 또한, 괴수마다 모티프를 바꾸어 특징을 부여했지만, 후년의 인터뷰에서 사토는 의인화해서 지나쳤다고 회고했다.

후지사키 역으로, 제1작 '고질라' 등에 출연했던 히라타 아키히코는, 본 작품에 대해 서비스로 어린이용을 만드는 것도 가끔은 좋지만, 고질라의 본질은 악의 화신이라고 말했다.

본 작품에서는 범아메리카 항공과의 제휴를 통해 고질라 영화 최초의 해외 로케가 진행되어 주요 출연진이 괌 섬으로 건너갔다. 다만, 쿠스미 박사 역의 타카시마 타다오는 로케에 참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신 현지에서 고용한 타카시마와 비슷한 대역으로 촬영되었다. 후년, 타카시마는 비행기를 싫어했기 때문에 해외 로케를 거절했다고 밝히며, 아내(스미 하나요)의 몫까지 티켓을 준비하겠다는 다나카의 설득에 "안사람이 타든 말든 저는 비행기를 타지 않겠다"라고 완강히 거절한 결과, 그와 출연자들에게서 비판을 받았다.

정글에서 로케를 진행했을 때, 츠치야 요시오는 현지인으로부터 일본군의 생존자가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농담 삼아 "전쟁은 끝났다"라고 말을 걸었는데, 수년 후에 요코이 쇼이치가 실제로 그 부근에 잠복해 있었음이 밝혀졌다.

본 작품의 적 괴수는 모두 착탈식 의상이 아닌 조작 연출로 표현되었다. 특수 촬영 감독 아리카와 사다마사는 카메라맨 시절에는 조작 연출 스태프에게 동정적인 입장이었지만, 본 작품에서는 감독으로서 무리한 요구를 할 수밖에 없었고, 나카지마 하루오가 중재했다고 한다.

졸겔 섬에 내리는 눈에는 스티로폼이 사용되었지만, 아리카와는 "체표에서 녹아가는" 표현에 집착하여 일부에 파라핀(납)을 사용했다. 이것을 분무기로 뿌리고, 조명으로 빛을 비춰 녹는 것처럼 보이게 했다. 재료비가 비싸 업(up) 장면에서만 사용되었지만, 이 파라핀으로 고질라 부자의 얼굴 위에서 천천히 녹는 눈의 장면을 촬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촬영 종료 후에는 슈트와 기재의 관리가 힘들었다고 한다.

본 작품의 고질라를 연기하는 것은, 전작까지 연기해 온 나카지마가 아닌 배우 오나카 세이지이다. 이는 본 작품의 고질라 슈트가 미니라와의 대비를 위해 크게 제작되었기 때문이며, 나카지마보다 키가 큰 오나카가 슈트 액터로 선택되었다. 나카지마는 풀 촬영에서만 고질라를 연기했지만, 오나카가 야구 경기 중 손가락을 부상당하면서 도중 하차했고, 그 후 촬영에서는 세키타 유타카가 고질라를 연기했다.

클라이맥스의 눈에 파묻히는 고질라와 미니라의 연출은 높게 평가받고 있다. 아리카와는, 각본에 부족함을 느껴 마지막 장면을 길게 촬영하여, 인간적인 낭만적인 면을 표현하고 싶었다고 말하고 있다. 아리카와는, 이 장면에서 봉제 인형 표현의 한계에 도전했다고 말했다. 본 작품에서 조명 기사로 승격한 하라 분료도, 마지막 장면의 조명은 잘 되었다고 말하며, 본 작품을 인상적인 작품으로 꼽고 있다.

고질라가 카마키라스를 업어치기하는 장면에서는, 호리존트 상부의 스튜디오 천장이 비치고 있다.

아리카와 사다마사가 난쟁이 마치안(미니라)에게 지시를 내리고 있다. "난쟁이 마치안"은 두꺼운 고무 의상 안에서 롤과 플립을 수행하는 능력 때문에 부분적으로 배역되었다.

6. 평가

현대 평론에서 ''월간 영화 게시판''은 이 영화를 "토호 영화사의 괴수 영화 중 최고이며, 특수 효과 부서가 괴수 이동에서 최고의 결과를 얻었다"고 평가했다. 또한 "대부분의 전작들보다 더 탄탄하게 구성된 이야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 장르를 부드럽게 패러디하는 유쾌한 유머 감각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11]

폴란드 작가 알렉산드라 지올코프스카-보엠에 따르면, 이 영화는 폴란드 언론인 멜키오르 완코비치에게 어필했다. "8월 9일 토무시의 생일에 우리 모두는 ''고질라 2세''를 보러 갔다. 나는 [멜키오르]가 이 영화의 유형에 짜증을 낼까 봐 두려웠다. 나는 다시 놀랐다. 그가 얼마나 흥미롭게 이 영화를 보는지 지켜봤다. 나중에 그는 이 장르를 한 번도 본 적이 없지만, 실현 기술에 매우 만족했다고 말했다."

제1차 괴수 붐이 일어나고 있었기 때문에, 어린 관객층을 의식하여 고질라의 아이 미니라를 등장시켰다. 이를 두고 "고질라는 수컷인가 암컷인가"가 화제가 되었고, 당시 선전 자료에서는 "파파 고질라"로 표기되었다. 고질라 부자의 정이 특촬 파트에서 그려지고 있는 것이 본 작품의 특징이지만, 토호 프로듀서 다나카 도모유키는 고질라의 의인화로 인해 으스스함이 사라졌다고 말했다.

스토리 면에서는 미니라의 코믹컬한 묘사와 고질라와의 부자간의 교류 등 따뜻한 요소도 보이지만, 본질은 과학자들에 의한 하드한 내용이다. 히로인 사에코와 미니라의 교류 등, 스토리 면에서도 영상 면에서도 본편과 특촬의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괴수 붐을 의식하여 제작된 작품이었지만, 관객 동원은 전작을 크게 밑돌아, 토호는 차기작 『괴수 총진격』을 끝으로 시리즈를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서적 『고질라 데이즈』에서는 시리어스한 본편과 코미디 터치의 특촬이 부조화였다고 평가하고 있다.

제1작 '고질라' 등에 출연했던 히라타 아키히코는, 본 작품에 대해 서비스로 어린이용을 만드는 것도 가끔은 좋지만, 고질라의 본질은 악의 화신이라고 말했다.

7. 기타


  • 1973년 여름, 도호 챔피언 축제에서 재상영되었다. 당시 상영 규정에 따라 단축 재편집되었으며, 상영 시간은 66분, 관객 동원 수는 61만 명이었다. 라이몬 켄보의 이미지송 「괴수의 크리스마스」도 발매되었다. 동시 상영작은 『사랑의 전사 레인보우맨』, 『울트라맨 타로』, 『과학닌자대 갓차맨』, 『장난감 가게 켄 짱』, 『산 쥐 로키 척』이다.
  • 1979년 여름, 니치게키 등 전국 5개 도호 직영관의 특집 기획 「고질라 영화 대전집」에서 8월 7일에 재상영되었다.
  • 모험왕 (1968년 1월호, 작화: 이노우에 사토시), 소년 (1968년 1월호 별책 부록, 작화: 나카자와 케이지), 영화 텔레비전 매거진 (1973년 8월호, 작화: 마키무라 마사시)에 만화판이 게재되었다. 소년에 연재된 만화는 1993년 『고질라 VS 메카고질라 결전사』(타케쇼보)에 수록되었다.
  • 오사와 상회에서 1972년경 본 작품과 『남해의 대결투』, 『올 괴수 총진격』을 재편집한 8mm 필름, 소노 시트, 그림책 세트 『괴수 No.1 고질라』를 발매했다.
  • VHS, 베타맥스 비디오는 1980년대 초 좌우 트리밍 사이즈로 발매, 이후 시네마스코프 사이즈로 재발매되었다. (품번 TG4013, TG4294)
  • 레이저 디스크 (품번 TLL2077, TLL2234)는 1989년 11월 21일에 재발매되었고, 1992년 8월 1일 발매된 LD-BOX '고질라 격투 외전'에 토호 챔피언 축제판이 수록되었다.
  • DVD는 2003년 7월 25일 쥬얼 케이스판 (오디오 코멘터리: 아리카와 사다마사, 특전: 8mm 3종 세트 '괴수 No.1 고질라'), 2005년 4월 22일 'GODZILLA FINAL BOX', 2008년 2월 22일 토르 케이스판 '고질라 DVD 컬렉션 II' (단품 동시 발매), 2014년 5월 14일 '고질라 60주년 기념판' (기간 한정 염가판), 2016년 6월 15일 토호 DVD 명작 셀렉션판이 발매되었다.
  • 블루레이 디스크는 2014년 7월 16일에 발매되었다.
  • 소노시트 『괴수섬의 결전 고지라의 아들』은 1967년 12월 15일 아사히 소노라마에서 발매되었다. (각색: 츠지 마사키)
  • 일본 제일의 사나이 중의 사나이 (1967년 공개): 극중 우에키 히토시가 찻집에서 노래하는 장면에 배경 영상으로 본 작품의 고질라가 등장한다.
  • 짜린코 치에 (영화): 극중 주인공 치에가 영화관에서 본작을 감상하는 장면에서 본 작품의 영상이 사용된다.
  • 20세기 소년: 극중 켄지와 키리코가 보러 간 영화로 등장하며, 2009년 공개된 『20세기 소년 제2장: 마지막 희망』에서 본 작품의 영상이 사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怪獣岛の戦ゴジラの息子 http://g-kingdom.la.[...]
[2] 웹사이트 歴代ゴジラ映画作品一覧 https://nendai-ryuuk[...]
[3] 웹사이트 » Filmmaking https://www.guampedi[...] 2009-09-29
[4] 웹사이트 Son of Godzilla https://www.tohoking[...] TohoKingdom.com 2020-10-22
[5] 간행물 The Complete Godzilla Chronology 1954-2004 Movieland Classics LLC. 2014
[6] 간행물 Twenty-five Years with Godzilla O'Quinn Studios Inc 1979
[7] 서적 Haruo Nakajima Monster Photo Book Yuizumi Publishing 2014
[8] 서적 Godzilla 1954-1999 Super Complete Works Shogakukan 2000-01-01
[9] 웹사이트 Monsters From An Unknown Culture: Godzilla (and friends) in Britain 1957-1980 by Sim Branaghan - Part 2 http://www.smguarien[...] 2021-07-30
[10] 웹사이트 Criterion reveals the collection's 1000th disc: the ultimate Godzilla set https://www.polygon.[...] 2019-07-25
[11] 간행물 Godzilla No Musuko (Son of Godzilla) British Film Institute 196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