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창 오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창 오씨는 고려 정종 때 한림태학사를 지낸 오학린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오학린은 최충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았으며, 고창을 식읍으로 하사받아 고창을 관향으로 삼았다. 고려 시대에 오세공, 오세문, 오세재 등이 학문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조선 시대에는 오운, 오여상, 오화영, 오하근 등이 역사에 기여했다. 고창 오씨는 경상북도 고령군, 영풍군, 월성군, 충청북도 옥천군, 황해도 벽성군, 연백군, 평산군 등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으며, 2000년 인구조사에서 16,716명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창 오씨 - 오세재
    오세재는 조선 시대 문인이자 일제강점기 시인으로, 관직 생활과 김억의 지도를 통한 시 창작 활동, 카프 참여를 통해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 의식을 담은 시를 발표했으며, 이규보와 교류하기도 했다.
고창 오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고창군
시조오학린(吳學麟)
한자 표기
한글 표기고창 오씨
한자 표기高敞 吳氏
시조 (한자)吳學麟

2. 역사

고창 오씨는 시조 http://people.aks.ac.kr/front/dirSer/ppl/pplView.aks?pplId=PPL_5COb_A1009_1_0018400&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 오학린이 고려 정종 때 한림태학사를 지내고 고창을 식읍으로 하사받으면서 시작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오운, 의병장 오여상, 근세에는 오화영, 오하근 등이 역사에 업적을 남겼다.[6]

2. 1. 시조 및 고려 시대

시조 '''http://people.aks.ac.kr/front/dirSer/ppl/pplView.aks?pplId=PPL_5COb_A1009_1_0018400&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 오학린'''(吳學麟)은 고려 제10대 왕 정종 때 한림태학사를 지냈다. 그는 문헌공(文憲公) 최충의 구재(九齋)에서 배워 학문이 깊었으며 고창을 식읍으로 하사받아 고창을 관향으로 삼게 되었다. 오질(吳質)도 한림학사를 지냈다. 오학린의 증손자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8489 오인정[6]이며, 고손자(5세)로는 http://people.aks.ac.kr/front/dirSer/ppl/pplView.aks?pplId=PPL_5ETC_A9999_1_0018379&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 오세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8351 오세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8353 오세재가 있는데, 이들은 고려 명종 때의 학자로 모두 학문이 뛰어나 이름이 높았다고 한다.

2. 2. 조선 시대

고려 정종 때 한림태학사를 지낸 시조 오학린(吳學麟)은 최충의 구재(九齋)에서 배워 학문이 깊었으며 고창을 식읍으로 하사받아 고창을 관향으로 삼게 되었다. 오질(吳質)도 한림학사를 지냈다. 증손자는 오인정[6]이며, 고손자(5세)로는 오세공, 오세문, 오세재가 있는데 고려 명종 때의 학자로 모두 학문이 뛰어나 이름이 높았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오운, 의병장 오여상, 근세에는 오화영, 오하근 등이 역사에 업적을 남겼다.

2. 3. 근현대

조선시대에는 오운, 의병장 오여상, 근세에는 오화영, 오하근 등이 역사에 업적을 남겼다.[6]

3. 항렬표

고창 오씨는 항렬표를 사용한다.[3]

○세손2829303132333435
항렬자형(炯), 훤(煊), 병(炳)곤(坤), 배(培), 준(埈)현(鉉), 종(鍾), 기(錡)호(浩), 한(漢), 수(洙)환(桓), 병(柄), 주(柱)엽(燁), 혁(爀), 현(炫)규(圭), 효(孝), 근(謹)옥(鈺), 구(鉤), 정(鋌)


3. 1. 항렬자

세손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
항렬자[3]형(炯), 훤(煊), 병(炳)곤(坤), 배(培), 준(埈)현(鉉), 종(鍾), 기(錡)호(浩), 한(漢), 수(洙)환(桓), 병(柄), 주(柱)엽(燁), 혁(爀), 현(炫)규(圭), 효(孝), 근(謹)옥(鈺), 구(鉤), 정(鋌)


4. 집성촌

5. 인구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5,285가구, 16,716명으로 조사되었다.[1]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고창오씨 高敞吳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4
[3] 웹사이트 오씨(吳氏) 본관(本貫) 고창(高敞)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4] 서적 오씨대종사 考 1984
[5] 서적 오씨대동종보 제9호 2020
[6] 웹인용 고려시대 금석문·문자자료 > 오인정묘지명 http://db.histo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