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정초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곡정초과는 벼목에 속하는 과로, 곡정초아과와 파이팔란투스아과로 분류된다. 현재 11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7속은 중남미 고유종이다. 곡정초아과와 파이팔란투스아과 모두 11속으로 분류되며, 일부 속은 다른 속으로 포함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곡정초과 - 곡정초속
곡정초속은 '양털'과 '줄기'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며 습지나 논에서 자생하는 여러해살이 또는 한해살이 초본 식물이고 한국에서도 여러 종이 발견되지만 멸종 위기에 놓인 종도 있으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한다. - 1820년 기재된 식물 - 종려과
종려과는 단일 줄기에 손바닥 모양 또는 깃털 모양의 잎이 나선형으로 배열된 열대 및 아열대 식물로, 건축 자재, 식용, 관상용 등으로 이용되며 야자목을 구성한다. - 1820년 기재된 식물 - 고추나무과
고추나무과는 고추나무속, 달림플레아속, 투르피니아속 등을 포함하며 고추나무, 미역줄나무, 누리장나무 등이 속하는 식물 분류군으로, 과거에는 후에르테아속과 타피스키아속도 속했으나 현재는 타피스키아과로 분류된다. - 식물의 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식물의 과 - 나한송과
나한송과는 19개 속으로 분류되며, 잎 모양이 다양하고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고 목재나 정원수로 이용되기도 한다.
곡정초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Eriocaulaceae Martinov (1820) |
과 | 호시쿠사과 |
속 | 본문 참조 |
학명 (라틴어) | Eriocaulaceae |
명명자 | Martinov (1820) |
2. 하위 분류
곡정초과는 크게 다음 두 아과로 나뉜다.
- 곡정초아과 (''Eriocauloideae'')
- 파이팔란투스아과 (''Paepalanthoideae'')
2. 1. 곡정초아과 (Eriocauloideae)
곡정초아과에는 현재 11개 속이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중 7개 속은 중남미 고유종이다.속명 | 비고 |
---|---|
Actinocephalus | 파에팔란투스속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
Blastocaulon | 파에팔란투스속에 포함된다. |
Eriocaulon (호시쿠사속) | 대표종: 호시쿠사, 타카노호시쿠사 |
Lachnocaulon | 파에팔란투스속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
Leiothrix | |
Mesanthemum | |
Paepalanthus (옥토네호시쿠사속) | 대표종: 옥토네호시쿠사 |
Philodice | 싱고난투스속에 포함된다. |
Rondonanthus | |
Syngonanthus (싱고난투스속) | 대표종: 카피두라도 |
Tonina (토니나속) | 파에팔란투스속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
Comanthera | 대표종: 하나호시쿠사 |
2. 2. 파이팔란투스아과 (Paepalanthoideae)
파이팔란투스아과(Paepalanthoideae Ruhland)는 현재 11속으로 분류되며, 이 중 7속은 중남미 고유종이다.속명 | 대표종 / 분류 정보 |
---|---|
Actinocephalus | 파에팔란투스속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
Blastocaulon | 파에팔란투스속에 포함된다. |
Eriocaulon (호시쿠사속) | 호시쿠사, 타카노호시쿠사 |
Lachnocaulon | 파에팔란투스속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
Leiothrix | |
Mesanthemum | |
Paepalanthus (옥토네호시쿠사속) | 옥토네호시쿠사 |
Philodice | 싱고난투스속에 포함된다. |
Rondonanthus | |
Syngonanthus (싱고난투스속) | 카피두라도 |
Tonina (토니나속) | 파에팔란투스속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
Comanthera | 하나호시쿠사 |
다음은 벼목의 계통 분류이다.[9][10] 벼목은 크게 두 개의 주요 분기군으로 나뉜다. 하나는 '파인애플군'이고, 다른 하나는 나머지 과들을 포함하는 분기군이다.
3. 계통 분류
이 분류에 따르면, 곡정초과는 크시리스과와 가장 가까운 관계이며, 이 둘이 속한 크시리스군은 벼군 및 레스티오군과 유연관계가 깊다.
참조
[1]
웹사이트
From: Curtis’s botanical magazine; or flower garden displayed. London, 1832, volume 59 (plate 3126).
https://web.archive.[...]
2014-08-12
[2]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https://wayback.arch[...]
2013-06-26
[3]
논문
The number of known plants species in the world and its annual increase
http://biotaxa.org/P[...]
Magnolia Press
[4]
서적
日本の野生植物 I
平凡社
[5]
논문
Phylogenetics of Paepalanthus (Eriocaulaceae), a diverse Neotropical monocot lineage
[6]
논문
Blastocaulon (Eriocaulaceae), a synonym of Paepalanthus: morphological and molecular evidence
[7]
논문
The synonymization of Philodice with Syngonanthus (Eriocaulaceae)
[8]
문서
Tekhno-Botanicheskīĭ Slovar': na latinskom i rossīĭskom iazykakh
Sanktpeterburgie
[9]
저널
A revised evolutionary history of Poales: origins and diversification
[10]
저널
Phylogeny of the restiid clade (Poales) and implications for the classification of Anarthriaceae, Centrolepidaceae and Australian Restionace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