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동경비구역 유엔사경비대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동경비구역 유엔사경비대대는 1952년 5월 5일, 한국 전쟁 정전 협정 체결을 앞두고 유엔사령부의 경비 및 군수 지원을 위해 창설되었다. 이후 공동경비구역 내 유엔사령부 구역 경비, 침입자 방어, 대성동 마을 경비 및 민사 관리, 군사협정위원회 본부 지역 통제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1953년 정전 협정 서명 당시 조선인민군 경비대대와 교전이 있었으며, 1954년 전쟁포로 교환 작전에서 공로를 인정받았다. 1967년과 1968년 조선인민군의 공격, 1976년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 1984년 소련 여행 안내원의 망명 시도 중 발생한 교전 등 여러 사건을 겪었다. 1991년 10월 22일에는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의 대대 - 한국 근무단
    한국 근무단은 한국 전쟁 당시 미8군의 물자 부족 해결을 위해 창설된 '민간인 수송단'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KSC 대대라는 명칭으로 미군의 병참 및 한미 연합 훈련을 지원하며 한미 동맹 강화에 기여하는 미국 육군 예하의 지원 부대이다.
  • 6.25 전쟁의 유엔군 - 유엔군사령부
    유엔군사령부는 6.25 전쟁 참전 자유 진영 국가 군대 통솔을 위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로 창설된 다국적 군사 기구로, 현재 한반도 안보 유지, 정전 협정 관리, 관련 외교적 노력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대한민국 외 17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 6.25 전쟁의 유엔군 - 6.25 전쟁 유엔군 파병 국가
    6.25 전쟁 유엔군 파병 국가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대한민국을 지원하기 위해 군대 또는 의료 지원단을 파견한 국가들을 의미하며, 미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프랑스 등 16개국이 전투 병력을, 룩셈부르크, 에티오피아, 콜롬비아 등 여러 국가가 의료 지원 등을 제공했다.
  • 대한민국 육군의 대대 - 대한민국 아이티 재건지원단
    대한민국 아이티 재건지원단은 2010년 아이티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해 파견되어 도로 및 교량 복구, 학교 및 병원 건설, 의료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2012년 철수한 대한민국 군 부대이다.
  • 대한민국 육군의 대대 - 제102보충대대
    제102보충대대는 한국 전쟁 중 창설되어 입영 장정 관리 및 호송을 담당했으며, 춘천시로 이전 후 해체될 때까지 많은 입영 장병들이 거쳐 갔고, 해체 이후 부지에는 주차장과 반려동물 놀이터가 조성되었다.
공동경비구역 유엔사경비대대
개요
공동경비구역 부대 휘장
공동경비구역 부대 휘장
이름공동경비구역 유엔사경비대대
원어 이름United Nations Command Security Battalion - Joint Security Area (UNCSB-JSA)
활동 기간1952년 5월 5일 ~ 현재
국가유엔, 대한민국, 미국
소속미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
병과보병
역할공동경비구역 경비
규모대대
명령 체계유엔사령부
본부캠프 보니파스
표어In Front of Them All
하늘색
참전한국 전쟁
지휘관
지휘관 명칭대대장
지휘관2 명칭부대대장
지휘관3 명칭주임원사 (USA)
지휘관4 명칭주임원사 (ROKA)
마크
유엔사령부 로고
유엔사령부 로고

2. 역사

판문점 회담실 안에 있는 JSA 경비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헌병


한국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전선의 변화 없이 양측의 피로도가 높아지자, 정전 협정이 제의되었다. 이에 1952년 5월 5일 유엔사령부의 경비 및 군수 지원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공동경비구역 경비부대가 창설되었다.

이후 부대는 여러 사건, 사고를 겪으며 임무와 역할이 변화, 강화되었다. 1954년 전쟁포로 교환 작전인 빅 스위치 작전에서의 공로로 공로부대표창을 받았고, 1991년에는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

2. 1. 창설 및 초기 활동

한국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전선의 변화 없이 양측의 피로도가 높아지자, 정전 협정이 제의되었다. 이에 1952년 5월 5일 유엔사령부의 경비 및 군수 지원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공동경비구역 경비부대가 창설되었다.

1953년 정전 협정 조인식 경비 도중 JSA 경비대대와 조선인민군 경비대대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여 9명이 사망했다.

1954년 7월 20일, 전쟁포로 교환 작전인 리틀 스위치, 빅 스위치 작전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공로부대표창을 수상하였다.

1954년 이후에는 임무가 개정되어 공동경비구역 내 유엔사령부 구역 경비, 비무장지대 내 대성동 마을 경비 및 민사 관리, 군사정전위원회 본부 지역 통제 등의 임무가 추가되었다.[1]

2. 2. 주요 사건


  • 1967년 8월 29일, 조선인민군 부대가 캠프 키티호크 안의 JSA 기지를 공격하여 JSA 대원 2명이 죽고 24명이 다쳤다.[2]
  • 1968년 4월 14일, 조선인민군 소속 군인들이 캠프 키티호크에서 공동경비구역으로 가던 보급차량을 급습하여 4명이 죽고 2명이 다쳤다.
  • 1976년 8월 18일,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으로 경비중대장 아서 조지 보니파스 대위와 소대장 마크 배럿 중위가 사망했다.[3]
  • 1984년 11월 23일, 소련 여행안내원 바실리 마투조크가 군사분계선을 넘어 망명을 시도했고, 조선인민군 경비대대 30명이 그를 뒤쫓아 가면서 JSA 경비대대와 약 30분간 교전이 벌어졌다.[4] 이 교전으로 카투사 장명기 상병이 전사하고 두 명이 다쳤으며, 조선인민군 경비대대는 3명이 죽고 5명이 다쳤다. 마투조크는 망명에 성공했다.[6]

2. 3.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1991년 10월 22일,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2] 이는 공동경비구역 경비부대의 한반도 안보 기여를 인정받은 결과이다.

3. 주요 작전

Operation Breeches Buoy영어 - 1968년 12월

Operation Runway영어 - 1970년 2월

참조

[1] 웹인용 "[공동경비구역 JSA] 한 울타리 두 체제… '침묵의 땅'" https://weekly.hanko[...] 2023-07-08
[2] 웹인용 "[정전협정 67주년] 우리가 잘 몰랐던 JSA 비하인드 8가지" https://m.post.naver[...] 2023-07-08
[3] 웹인용 판문점도끼만행사건(板門店도끼蠻行事件) https://encykorea.ak[...] 2023-07-08
[4] 웹인용 판문점을 관광하다 남측으로 넘어온 마투조크의와 미군 https://archives.kde[...] 2023-07-08
[5] 웹인용 "[JSA경비대대 최우수 리더 경연대회] 사격은 기본…협동심에 판단력·책임감까지" https://kookbang.dem[...] 2023-07-08
[6] 웹인용 ‘27일 판문점 회담’, 43년 전 판문점엔 총격전이… https://www.joongang[...] 2023-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