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경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식 경기구는 축구, 야구, 농구, 배구 등 다양한 스포츠 경기에서 사용되는 공인된 공을 의미한다. 축구의 경우, FIFA 월드컵에서 1930년에는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 공을 번갈아 사용했으며, 1970년부터는 아디다스가 공인구를 제작하여 기술 혁신을 이끌었다. K리그는 아디다스, 나이키 등 다양한 브랜드의 공인구를 사용해왔으며, 리그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공식 경기구 |
---|
2. 축구
2. 1. FIFA 월드컵
193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는 공인구가 없어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가 서로 자국 공을 사용하겠다고 주장하여, 전반전에는 아르헨티나의 공(Tiento)을, 후반전에는 우루과이의 공(T-model)을 사용했다. 1970년 FIFA 월드컵부터 아디다스가 FIFA 월드컵 공인구를 제작하고 있으며, 텔스타를 시작으로 기술 혁신과 디자인 변화를 통해 축구공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2002년 FIFA 월드컵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 개최하였으며, 피버노바가 공인구로 사용되었다.
연도 | 개최국 | 사진 | 공식 경기구 | 제작사 |
---|---|---|---|---|
1930년 | ![]() ![]() | Tiento: 전반 T-model: 후반 | ||
1934년 | ![]() | Federale 102 | ||
1938년 | ![]() | Allen | ||
1950년 | ![]() | Duplo T | ||
1954년 | ![]() | Swiss World Champion | ||
1958년 | ![]() | Top Star | ||
1962년 | ![]() | Crack Top Star XD | ||
1966년 | ![]() | 챌린지 4-스타 | 슬래진저 | |
1970년 | ![]() | 텔스타 (Telstar) | 아디다스 | |
1974년 | 텔스타 두라스트 (Telstar Durlast) | |||
1978년 | ![]() | 탱고 (Tango) | ||
1982년 | ![]() | 탱고 에스파냐 (Tango España) | ||
1986년 | ![]() | 아즈테카 (Azteca) | ||
1990년 | ![]() | 에트루스코 유니코 (Etrusco Unico) | ||
1994년 | ![]() | 퀘스트라 (Questra) | ||
1998년 | ![]() | 트리콜로 (Tricolore) | ||
2002년 | / | ![]() | 피버노바 (Fevernova) | |
2006년 | ![]() | 팀가이스트 (Teamgeist) | ||
팀가이스트 베를린 (Teamgeist Berlin) (결승전) | ||||
2010년 | ![]() | 자블라니 (Jabulani) | ||
![]() | 조블라니 (Jo'bulani) (결승전) | |||
2014년 | ![]() | 브라주카 (Brazuca) | ||
![]() | 브라주카 파이널 리우 (Brazuca Final Rio) (결승전) | |||
2018년 | ![]() | 텔스타 18 (Telstar 18) (조별리그) | ||
![]() | 텔스타 메치타 (Telstar Mechta) (녹아웃 토너먼트) | |||
2022년 | ![]() | 알릴라(Al Rihla) |
2. 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의 공인구에 대한 정보는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공식 경기구에서 확인할 수 있다.2. 3. AFC 아시안컵
AFC 아시안컵에서 사용된 공인구에 대한 정보는 AFC 아시안컵 공식 경기구에서 확인할 수 있다.2. 4. 올림픽 축구
올림픽 축구에서 사용되는 공인구에 대한 정보는 올림픽 공식 경기구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2. 5. K리그
K리그의 공인구는 리그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왔다. 1983년 수퍼리그가 출범할 당시 아디다스가 제작한 탱고가 첫 공인구로 사용되었다. 이후 아디다스는 1998년 프랑스 월드컵 공인구인 트리콜로를 K리그에 공급했으며, 2002년 한일 월드컵 공인구인 피버노바도 K리그에서 사용되었다.2007년부터 2011년까지는 나이키가 K리그 공인구를 제작했다. 2007년에는 에어로 II, 2008년과 2009년에는 옴니, 2010년에는 T90 어센트, 2011년에는 T90 세이티로가 K리그 공인구로 사용되었다.
2012년부터 아디다스가 다시 K리그 공인구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 공인구인 더 알버트를 기반으로 한 탱고 12가 K리그 공인구로 선정되었고, 2013년에는 컨페더레이션스컵 공인구 카푸사의 디자인을 K리그에 맞게 변경한 카푸사가 사용되었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 공인구 브라주카 역시 K리그 공인구로 사용되었다.
2016년에는 아디다스가 유로 2016 공인구인 보주를 K리그에 공급했고, 2017년에는 컨페더레이션스컵 공인구 크라사바의 디자인을 변경한 크라사바가 K리그 공인구로 사용되었다.
2018년에는 러시아 월드컵 공인구 텔스타 18의 디자인을 K리그에 맞게 변경한 텔스타 18이 K리그 공인구로 사용되었다. 2019년에는 여자 월드컵 공인구 코넥스트19의 디자인을 변경한 코넥스트19가 K리그 공인구로 사용되었다.
2020년과 2021년 K리그 공인구는 텔스타 18을 기반으로 디자인되었다. 2022년에는 카타르 월드컵 공인구 알 리흘라가 K리그 공인구로 사용되었다. 2023년에는 여자 월드컵 공인구 OCEAUNZ가 K리그 공인구로 선정되었다.
2024년 K리그 공인구는 유로 2024 공인구 푸스발리베이다.
K리그 공인구는 한국 축구의 발전과 기술 혁신을 상징한다.
3. 야구
4. 농구
5. 배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