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취 (사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취는 전한 고제를 섬긴 인물로, 해하 전투에서 공을 세워 열후에 봉해졌다. 고제 원년에 탕에서 집순으로 시작하여 좌사마로 한나라에 들어갔으며, 해하 전투에서 한신과 함께 항우를 공격하여 승리하는 데 기여했다. 고제 6년에 요 땅을 받아 열후가 되었으며, 문제 8년에 사망했다. 《공자가어》에서는 공자의 후손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위서 논란과 사마천, 반고의 기록 부재로 인해 이 설은 의혹을 받고 있다.

2. 생애

고제 원년(기원전 206년), 탕에서 집순(執盾)으로서 처음 고제를 섬겼고, 좌사마로서 한나라에 들어갔다.[1] 해하 전투에서는 좌군을 맡아 전군을 맡은 한신이 항우와 싸워 불리해 물러나자 우군을 맡은 진하와 함께 항우를 쳤다.[1] 초군이 불리해지자 한신이 되돌아와 싸워 초군은 대패했다.[1] 이 공적으로 고제 6년(기원전 201년)에 요(蓼) 땅을 받아 열후가 되었다.[1] 문제 8년(기원전 172년)에 죽어 아들 공장이 뒤를 이었다.[1]

2. 1. 초기 활동

고제 원년(기원전 206년), 탕에서 집순(執盾)으로서 처음 고제를 섬겼고, 좌사마로서 한나라에 들어갔다.[1] 해하 전투에서는 좌군을 맡아 전군을 맡은 한신이 항우와 싸워 불리해 물러나자 우군을 맡은 진하와 함께 항우를 쳤다.[1] 초군이 불리해지자 한신이 되돌아와 싸워 초군은 대패했다.[1] 이 공적으로 고제 6년(기원전 201년)에 요(蓼) 땅을 받아 열후가 되었다.[1] 문제 8년(기원전 172년)에 죽어 아들 공장이 뒤를 이었다.[1]

2. 2. 해하 전투

고제 원년(기원전 206년), 탕에서 집순(執盾)으로서 처음 고제를 섬겼고, 좌사마로서 한나라에 들어갔다.[1] 해하 전투에서는 좌군을 맡아 전군을 맡은 한신이 항우와 싸워 불리해 물러나자 우군을 맡은 진하와 함께 항우를 쳤다.[1] 초군이 불리해지자 한신이 되돌아와 싸워 초군은 대패했다.[1] 이 공적으로 고제 6년(기원전 201년)에 요(蓼) 땅을 받아 열후가 되었다.[1] 문제 8년(기원전 172년)에 죽어 아들 공장이 뒤를 이었다.[1]

2. 3. 열후 책봉

고제 원년(기원전 206년), 탕에서 집순(執盾)으로서 처음 고제를 섬겼고, 좌사마로서 한나라에 들어갔다.[1] 해하 전투에서는 좌군을 맡아 전군을 맡은 한신항우와 싸워 불리해 물러나자 우군을 맡은 진하와 함께 항우를 쳤다.[1] 초군이 불리해지자 한신이 되돌아와 싸워 초군은 대패했다.[1] 이 공적으로 고제 6년(기원전 201년)에 요(蓼) 땅을 받아 열후가 되었다.[1] 문제 8년(기원전 172년)에 죽어 아들 공장이 뒤를 이었다.[1]

2. 4. 사망

문제 8년(기원전 172년)에 사망하였고,[1] 아들 공장이 뒤를 이었다.

3. 공자의 후손?

공자가어·후서》에서는 공안국의 계보를 설명하는데, 여기에서는 공취가 공자의 10세손 공부(孔祔)의 아들로 자는 자산(子産)이며, 53세에 죽었다고 한다. 행적은 한서와 사기의 기록과 일치한다.[2][3] 공자가어는 위서이고, 공자를 존숭한 사마천과 반고 둘 다 공취의 혈통을 공자와 연결하는 기록을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이 계보도 의혹이 있다.[2][3]

3. 1. 《공자가어》의 기록

공자가어·후서》에서는 공안국의 계보를 설명하는데, 공취는 공자의 10세손 공부(孔祔)의 아들이며, 자는 자산(子産)이고, 53세에 죽었다고 한다.[2][3] 행적은 한서와 사기의 기록과 일치한다.[2][3] 공자가어는 위서이고, 공자를 존숭한 사마천과 반고 둘 다 공취의 혈통을 공자와 연결하는 기록을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이 계보도 의혹이 있다.[2][3]

3. 2. 학계의 비판적 시각

공자가어·후서》에서는 공안국의 계보를 설명하는데, 여기에서는 공취가 공자의 10세손 공부(孔祔)의 아들로 자는 자산(子産)이며, 53세에 죽었다고 한다. 행적은 한서와 사기의 기록과 일치한다.[2] 그러나 공자가어는 위서(僞書)이고, 공자를 존숭한 사마천반고 둘 다 공취의 혈통을 공자와 연결하는 기록을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이 계보도 의혹이 있다.[2][3] 특히 보수 진영 일각에서 공자의 권위를 빌려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려는 시도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참조

[1] 문서 현 중화인민공화국의 [[신양시]] [[구스현]] 북. 한서 지리지에서는 [[육안국]]의 속현으로 나오는데 육안(왕)국은 요(후)국이 폐지된 후에 설치됐다. 육안국이 [[구강군]]에서 분할되었다는 설에 따르면 공취가 봉해질 당시 [[회남 (전한)|회남나라]] 내사지(구 구강군)에서 떼어 봉한 것이다.
[2] 웹인용 论王注《孔子家语》两篇“后序”是魏晋时人伪撰 http://xbgjxt.swu.ed[...] 2019-05-09
[3] 웹인용 《孔子家語·後序》所載孔子後裔事蹟新證 https://www.sohu.com[...] 2019-05-09
[4] 문서 《사기》에서는 21위, 《한서》에서는 22위라 한다.
[5] 문서 상제를 피휘해 융려라고도 한다.
[6] 문서 《사기》에는 순위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
[7] 문서 《사기》에서는 '양하제애후'에 이름은 기록이 없고, 《한서》에서는 '양하제후 기석'으로 기록되어 있다.
[8] 문서 《사기》에서는 봉읍을 마(磨)라 했으나, 《사기색은》에서는 이를 오류라고 했다.
[9] 문서 《사기》에서는 116위, 《한서》에서는 126위라고 한다. 《사기》를 따를 경우, 척새와 순위가 중복된다.
[10] 문서 원래는 항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