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화 (주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화는 주나라 시대에 주 여왕이 폭정으로 인해 쫓겨난 후, 왕이 부재한 기간을 일컫는 용어이다. 사마천의 《사기》에서는 주공과 소공이 공동으로 정무를 맡아 공화라고 칭했다고 기록했으나, 《죽서기년》과 청화간의 기록에 따르면 공백 화가 섭정했으며, '간왕'으로 불렸다. 공화 원년(기원전 841년)은 중국 역사에서 연대기 구성의 중요한 기준점으로, 이전 시대에 대한 자료의 신뢰성 부족으로 인해 사마천이 연대기를 구성할 수 있었던 시점이다. 서양의 공화국 개념을 받아들이면서 '공화'라는 단어가 사용되었지만, 주나라 시대의 공화는 현대적 의미의 공화주의와는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위시대 - 대공위 시대
    대공위 시대는 1250년 프리드리히 2세 사망 후 신성 로마 제국에서 황제 자리를 놓고 혼란이 지속되다가 1273년 루돌프 1세가 로마 왕으로 옹립되면서 종식되었고, 황제의 권위 약화와 지방 분권화를 초래했다.
  • 공위시대 - 동란 시대
    동란 시대는 1598년부터 1613년까지 류리크 왕조 단절, 가짜 드미트리들의 등장,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스웨덴의 개입 등으로 러시아가 극심한 혼란을 겪었으나, 쿠즈마 미닌과 드미트리 포자르스키의 활약으로 로마노프 왕조가 시작된 시기이다.
  • 공화제 - 일당제
    일당제는 하나의 정당만이 합법적이거나 권력을 독점하는 정치 체제로, 헌법이나 법률로 규정되기도 하지만 야당 탄압 등으로 구분이 모호해지기도 하며, 정책 결정에 있어 반대 의견 부재로 잘못된 정책이 시행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 공화제 - 가나상가
    가나상가는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로 부족을 의미하며 고대 인도의 부족 공화정을 지칭하는 용어로, 라자와 의회, 총회를 통해 국정을 운영했고 불교 교단의 조직에도 영향을 미쳤다.
  • 주나라 - 오왕
    오왕은 주나라 시대 오나라 군주에서 유래하여 춘추시대 오나라 군주, 한나라 초기 제후왕, 삼국시대 오나라 손권, 당나라 왕족, 오대십국시대 남오 지배자, 명나라 초 주원장 등이 사용하거나 책봉받은 칭호이다.
  • 주나라 - 종횡가
    종횡가는 전국 시대에 외교와 정치 전략을 통해 국가 간의 관계를 조율하고 권력을 쟁취하려 한 사상가 집단이다.
공화 (주나라)
기본 정보
이름공화
로마자 표기Gònghé
지속 기간기원전 841년 ~ 기원전 828년
이전여왕 이
이후선왕 (주)
상세 정보
정치 체제섭정
원인여왕 이의 폭정으로 인한 반란
결과선왕 (주)의 즉위
위치주 (나라)

2. 역사적 배경

주 여왕은 부패하고 타락한 군주였다. 려왕은 자신의 쾌락과 사치를 위해 세금을 인상했고, 이는 백성들에게 고통을 안겨주었다. 그는 백성들이 공동의 숲과 호수에서 이익을 얻는 것을 금지했으며, 그에게 반대하는 자는 누구든지 사형에 처할 수 있는 새로운 법을 제정했다고 전해진다.[1] 려왕의 폭정은 곧 주나라 전역의 많은 농민과 병사들을 반란으로 이끌었다. 려왕은 린펀 근처의 지(紀)로 유배되었고(기원전 842년), 그의 아들은 신하 중 한 명에게 맡겨져 숨겨졌다.[1]

사기 주본기에 따르면, 주의 여왕이 국인의 폭동으로 인해 도망하게 되어 왕이 부재했을 때, 주공, 소의 목공 두 사람이 정무를 집행하여 "공화"라고 칭했다고 한다.[5] 또한 죽서기년에 따르면, 여왕의 망명 후에 共伯和|공백화중국어가 정무를 집행했다고도 한다.[6] 공백화는 공국을 봉지로 하여 백의 작위를 가진 화(和)라는 이름의 인물로,[7] 위의 무공이라고 보는 설도 있다.[8]

3. '공화'의 의미와 해석

사기》와 《죽서기년》 등 사료에 따라 '공화'에 대한 해석이 다르다. 사마천은 '공화'를 '공동의 조화'로 해석하여 주공과 소 목공의 공동 통치를 의미한다고 보았으나,[3] 《죽서기년》에서는 공백 화라는 인물이 다스렸다고 기록되어 있다.[4]

이 시기에는 왕이 없이 제후들의 합의로 국정이 운영되었기 때문에, 근대 일본에서는 이를 유럽의 'res publica'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하기도 했다. 이후 '공화'라는 단어는 의미가 확장되어 세습 권력자가 없는 정체를 가리키는 공화제라는 말로 널리 쓰이게 되었다.

3. 1. 사마천의 '사기'

사마천의 《사기》 〈주본기〉에 따르면, 주 여왕이 국인의 폭동으로 도망쳐 왕이 부재했을 때, 주공과 소의 목공 두 사람이 정무를 맡아 "공화"라고 칭했다고 한다.[5] 그는 공화 정권 기간 동안 주나라는 두 공작, 周定公|주정공중국어과 召穆公|소목공중국어이 공동으로 통치했으며, 이로 인해 사실상 공동 섭정으로 변모했다고 기록했다.[3]

3. 2. '죽서기년'과 청화간

죽서기년》에서는 주공 · 소공이 아닌 공(共)나라 백작 화(和), 즉 공백 화(共伯和)라는 인물이 나라를 다스렸고 그 지위를 '''간왕'''(干王)이라고 칭했다고 하였다.[4] 이러한 해석은 《청화간》(繫年)이라고 알려진 독립적인 고고학적 발굴 텍스트에 의해 완전히 뒷받침되었다.[4]

금문에는 "백화(龢=和)부" "사화부"라는 호칭으로 공백 화(共伯和)의 존재가 보이는 것이 있어[9], 주공·소공의 공화보다 공백 화(共伯和)의 공화가 실태에 가깝다고 여겨지고 있다.

4. 역사적 의의

기원전 841년은 사마천의 《사기》에 연표가 기록된 최초의 해로, 고대 중국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해이다. 사마천은 기원전 841년 이전의 사건에 대해서는 정확한 연대를 측정할 수 없었고, 관련 자료들이 신뢰할 수 없고 모순된다고 판단하여 자신의 저작에서 채택하지 않았다. 중국 정부는 기원전 841년 이전의 연대에 대한 더 나은 추정치를 제시하기 위해 하상주 단대공정을 후원했지만, 2000년에 발표된 이 프로젝트의 초안 보고서는 여러 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2]

이 시기에는 왕이 없고 제후들의 합의로 국정이 운영되었기 때문에, 근세 일본인들은 '공화'라는 말을 왕이 없고 귀족·의원 등의 유력자들의 합의로 국정을 운영하는 유럽의 'res publica'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했다.[5] 이 단어는 한자 문화권 전체에 퍼져 일반화되었고, 현재는 의미가 더 확장되어 지역이나 시대를 불문하고 세습 권력자가 없는 정체를 가리켜 공화정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주나라 시대의 공화 정치는 공화주의적 함의를 부여하지 않으며, 당시 사람들은 군주제 자체에 반대하지 않고 특정 왕에 대해서만 반대했을 뿐이다.

5. '공화' 용어의 현대적 사용

근세에 들어 일본인은 '공화'라는 말을 왕이 없고 귀족·의원 등 유력자들의 합의로 국정을 운영하는 유럽의 "res publica"를 가리키는 말로도 사용했다. 이렇게 의미가 확장된 '공화'라는 단어는 한자 문화권 전체로 퍼져 일반화되었고, 현재는 더욱 의미가 확장·보편화되어 지역이나 시대를 불문하고 세습 국가 원수가 없는 정체를 가리켜 '''공화정'''이라고 부른다.

참조

[1] 서적 Sources of Western Zhou History: Inscribed Bronze Vessels
[2]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3]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4] 간행물 Where is King Ping? The History and Historiography of the Zhou Dynasty's Eastward Relocation https://www.jstor.or[...] Academica Sinica 2022-06-15
[5] 서적 史記周本紀
[6] 서적 史記
[7] 서적 史記
[8] 서적 史記
[9] 문서 「元年師兌簋」「三年師兌簋」な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