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도장공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도장공주는 전한 문제와 효문황후의 장녀로, 경제의 누이이자 무제의 이모이다. 관도 땅에 봉해져 관도공주로 불렸으며, 진오와 결혼한 후에는 당읍대장공주로 불렸다. 경제에게 여자를 소개해 총애를 받게 했고, 딸 진아교를 무제와 결혼시키려 했으나 실패했다. 진아교가 폐위된 후에는 구슬 장수의 아들 동언을 총애했으며, 동언과 함께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한의 공주 - 평양공주
평양공주는 전한 시대 양신장공주로, 평양의후 조수와 혼인 후 평양공주로 불렸으며, 위청과 위자부의 후원자로서 이들의 성공에 기여했고 정치적 감각과 인물 식별 능력이 뛰어났다는 평가를 받지만, 사치와 가문 인사 등용에 치중했다는 비판도 있다. - 전한의 공주 - 노원공주
노원공주는 전한 고제의 딸이자 혜제의 누이로, 흉노와의 정략결혼을 피해 조왕 장오에게 시집갔으며, 유방 사후 여태후의 권력 강화를 위한 혼인 정책의 중심에 있다가 제나라 왕태후가 된 후 안릉에 묻혔고 드라마 미인심계 등을 통해 재조명되었다. - 전한의 종실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전한의 종실 - 전한 무제
전한의 제7대 황제인 전한 무제는 54년간 재위하며 유교 기반 중앙집권 강화, 흉노 정벌을 통한 영토 확장, 소금과 철의 전매제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여 전한의 최전성기를 이끌었으나, 과도한 군사 지출, 사치스러운 생활, 무고의 난 등 부정적인 면모도 보였다. - 전한 사람 - 전한 무제
전한의 제7대 황제인 전한 무제는 54년간 재위하며 유교 기반 중앙집권 강화, 흉노 정벌을 통한 영토 확장, 소금과 철의 전매제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여 전한의 최전성기를 이끌었으나, 과도한 군사 지출, 사치스러운 생활, 무고의 난 등 부정적인 면모도 보였다. - 전한 사람 - 구독
구기(緱起)는 전한 시대에 기후(騎虎)에 봉해지고 태상(太常)을 역임한 인물로, 기원전 32년 사망 후 그의 아들 구숭(求崇)이 기후 자리를 계승했다.
관도장공주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유표 |
관계 | 문제 황녀 |
칭호 | 관도대장공주 |
전체 이름 | 유표 |
신분 | 공주 → 장공주 → 대장공주 |
매장지 | 패릉 |
배우자 1 | 진오 |
자녀 | 진수 진교 진황후 |
아버지 | 문제 |
어머니 | 두황후 |
2. 생애
문제와 효문황후 사이의 첫 자녀로, 황제로 즉위하기 전에 문제는 대나라 왕, 효문황후는 첩이었고 문제에겐 유표 전에 왕왕후와의 사이에서 여러 자녀가 있었으나 왕왕후와 그의 자녀들은 모두 일찍 죽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문제의 자식 중 나이가 가장 많았다. 아버지는 기원전 180년에 한나라의 황제가 됐고, 문제 원년(기원전 179년) 정월 동생 경제를 태자로 세웠으며, 3월에는 어머니가 황후가 되었다. 자신도 장공주(황제의 장녀에게 주는 작호)가 됐다.[1][2] 관도 땅에 봉해졌기 때문에 관도공주, 관도장공주라고 불린다. 전한의 개국공신 당읍안후 진영의 손자 당읍이후 진오를 남편으로 맞이했고,[3] 이때부터 남편의 봉호를 따서 '''당읍대장공주'''(堂邑大長公主)라고 불렸다.[4]
동생 경제에게 많은 여자를 소개해 사랑을 받게 했기 때문에, 경제의 장자로서 태자가 된 유영을 낳은 율희와는 사이가 나빴다. 유영에게 자신의 딸 진아교를 시집보내려 했으나 거절당했다. 그러자 경제의 다른 첩 왕지에게 왕지의 아들 무제를 진아교의 배필로 삼아 달라고 부탁해 허락을 받았고, 왕지와 협력해 율희의 단점을 경제에게 늘어놓는 한편 왕지는 전객을 시켜 율희를 태자의 어머니로서 황후로 세우게 했다. 경제는 노해 전객을 주살하고 유영을 태자에서 폐해 임강왕으로 내쫓고 무제를 태자로 삼으니, 진아교는 태자비가 됐다.[5]
진아교가 아들이 없었는데, 건원 2년(기원전 137년) 무제가 누나 평양공주의 가수 위자부와 성교해 임신시키자, 질투심에 위자부의 동복 동생으로 궁에서 일하는 위청을 잡아 가두고 죽이려 했다. 그러나 위청의 친구 기랑 공손오가 위청을 구해줬다.[4] 결국 진아교는 원광 5년(기원전 130년) 무고를 저질렀다는 이유로 폐위되었고, 위자부가 아들 여태자 유거를 낳아[4] 황후가 되기 2년 전이었다.[7] 평양공주에게 자신이 무제를 황제로 만들어 줬거늘 자기 딸을 내쫓은 것을 불평했으나, 평양공주는 아들이 없으니 어쩔 수 없는 노릇이라고 답했다.[6]
진오와 사별한 후, 자신의 집에 드나든 구슬장수의 아들 동언을 총애하여 제 자식처럼 키우다가 10여 년 후 죽었다.[7][8] 몰년은 정확히 알 수 없는데, 두 아들 진계수·진교가 복상 중 죄를 저질러 원정 원년(기원전 116년)에[9][10] 죽은 점에서 미루어 보아,[7] 이 무렵에 죽었을 것이다.
2. 1. 초기 생애
문제와 효문황후의 첫 자녀로 태어났다.[1][2] 아버지가 황제로 즉위하기 전, 대나라 왕이었던 문제와 그의 첩이었던 효문황후 사이에서 태어났다. 문제에게는 다른 자녀들이 있었으나 모두 일찍 사망하여, 실질적으로 유표가 장녀 역할을 했다. 기원전 180년, 아버지가 한나라의 황제가 되면서 관도공주에 봉해졌다.[1][2] 관도 땅에 봉해졌기 때문에 관도공주, 관도장공주라고 불린다. 전한의 개국공신 당읍안후 진영의 손자 당읍이후 진오와 혼인하여,[3] 남편의 봉호를 따라 '''당읍대장공주'''(堂邑大長公主)라고 불렸다.[4]2. 2. 황실 내 정치적 영향력 행사
동생 경제에게 많은 여자를 소개해 총애를 받게 했기 때문에, 경제의 장자로서 태자가 된 유영을 낳은 율희와는 사이가 나빴다.[5] 유영에게 자신의 딸 진아교를 시집보내려 했으나 거절당했다.[5] 그러자 경제의 다른 첩 왕지에게 왕지의 아들 무제를 진아교의 배필로 삼아 달라고 부탁해 허락을 받았고, 왕지와 협력해 율희의 단점을 경제에게 늘어놓는 한편 왕지는 전객을 시켜 율희를 태자의 어머니로서 황후로 세우게 했다.[5] 경제는 노해 전객을 주살하고 유영을 태자에서 폐해 임강왕으로 내쫓고 무제를 태자로 삼으니, 진아교는 태자비가 됐다.[5]2. 3. 진아교 폐위와 위자부 등장
관도장공주 진아교는 아들이 없었다. 무제가 누나 평양공주의 가수 위자부와 성교해 임신시키자, 질투심에 위자부의 동복 동생으로 궁에서 일하는 위청을 잡아 가두고 죽이려 했다.[4] 그러나 위청의 친구 기랑 공손오가 위청을 구출했다.[4] 결국 진아교는 원광 5년(기원전 130년) 무고를 저질렀다는 이유로 폐위되었고, 위자부가 아들 여태자 유거를 낳아[4] 황후가 되기 2년 전이었다.[7] 평양공주에게 자신이 무제를 황제로 만들어 줬거늘 자기 딸을 내쫓은 것을 불평했으나, 평양공주는 아들이 없으니 어쩔 수 없는 노릇이라고 답했다.[6]2. 4. 동언과의 관계와 말년
관도장공주는 아버지 문제가 기원전 180년에 한나라 황제로 즉위한 후, 기원전 179년에 장공주가 되었고 관도 땅에 봉해져 관도공주, 관도장공주로 불렸다.[1][2] 전한의 개국공신 진영의 손자인 진오와 결혼하여 당읍대장공주라고도 불렸다.[3][4]진오와 사별한 후, 관도장공주는 자신의 집에 드나들던 구슬 장수의 아들 동언을 총애하여 10여 년간 아들처럼 키웠다.[7][8] 동언은 13세에 관도장공주의 눈에 띄어 귀족으로서의 교육을 받고 성장했다. 18세에 성인이 된 후에는 관도장공주와 깊은 관계를 맺었고,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받았다.[4] 그러나 동언은 관도장공주와의 관계가 드러날 것을 걱정하여 불안해했고, 친구 원숙의 계략으로 관도장공주가 장문원을 무제에게 바치면서 궁에 출입하게 되었다.[4]
동언은 30세에 사망했고,[7] 관도장공주는 남편 진오가 아닌 동언과 합장되기를 유언하여 동언과 함께 파릉에 묻혔다.[4] 관도장공주의 몰년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두 아들 진계수와 진교가 원정 원년(기원전 116년)에 복상 중 죄를 지어 죽은 것으로 보아[9][10] 그 무렵으로 추정된다.[7] 관도장공주와 동언의 관계는 당시 사회 통념을 깨는 파격적인 행보였으며, 신분과 나이를 초월한 사랑으로 해석될 수 있다.
3. 가계
아버지는 전한 문제이고, 어머니는 효문황후 두씨이다. 남편은 당읍후 진오이며, 장남은 당읍후 진계수, 차남은 융려후 진교이다. 장녀는 진아교로 무제의 황후였으나 폐출되었다.
4. 평가
4. 1. 긍정적 평가
4. 2. 부정적 평가
5. 기타
5. 1. 대중문화 속 유표
참조
[1]
서적
사기 (역사서)
[2]
서적
사기
[3]
서적
한무고사
[4]
서적
사기
[5]
서적
사기
[6]
서적
사기
[7]
서적
한서
[8]
서적
한서
[9]
서적
사기
[10]
서적
한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