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도 거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도 거리는 천문학에서 천체의 광도와 플럭스를 이용하여 정의되는 거리의 개념이다. 광도 거리는 낮은 적색 편이에서는 물리적인 거리에 일치하지만, 높은 적색 편이에서는 우주 팽창으로 인해 물리적인 거리와 차이를 보인다. 광도 거리는 적색 편이와의 관계를 통해 우주의 팽창 법칙과 우주론적 매개변수를 연구하는 데 활용되며, 허블 도표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측천문학 - 천정
    천정은 관측자의 머리 바로 위 천구상의 점으로, 천정각 측정의 기준 방향으로 사용되며, 태양의 위치, 기블라 관측, 천정 망원경, 천체항해, 그리고 지심 천정과 측지 천정의 구분에 활용된다.
  • 관측천문학 - 달의 위상
    달의 위상은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과의 상대적 위치 변화에 따라 삭, 상현달, 망, 하현달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약 29.5일의 주기로 변화하고 달력, 전통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물리량 - 전위
    전위는 전기장 내 단위 전하의 위치 에너지로, 정전기학에서는 기준점에 따라 정의되며 전위차만이 의미를 갖고, 전기장의 음의 기울기로 표현되고, 전기 공학에서는 회로 해석에 활용된다.
  • 물리량 - 전기장
    전기장은 공간의 각 지점에서 단위 전하가 받는 힘으로 정의되는 벡터장으로, 전하 또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며, 전기력선으로 표현되고 맥스웰 방정식으로 기술되는 전자기장의 한 요소이다.
광도 거리
광도 거리
개요
분야천문학
측정 단위길이
기호DL
관련 항목적색 편이
거리 지수
고유 거리
각지름 거리
설명
정의천체의 광도와 관측된 플루엔스의 관계를 이용하여 정의되는 거리 척도이다.
L천체의 광도
F관측된 플루엔스
특징먼 거리에 있는 천체의 거리를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
천체의 적색 편이와 관련이 있다.
우주의 팽창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활용초신성의 거리 측정
퀘이사의 거리 측정
우주론적 매개변수 결정

2. 정의

어떤 천체의 광도L, 플럭스(휘도)를 \ell라고 할 때, 다음 관계식에 의해 정의되는 거리의 차원을 가진 양 d_L을 그 천체의 광도 거리라고 한다.[1][2]

:\ell = \frac{ L }{ 4 \pi d_L^2 }

천체의 절대 등급을 M, 겉보기 등급을 m이라고 할 때, 그 천체의 광도 거리 d_L (파섹을 단위로 한다)는 다음 관계식에 의해 정의된다.[1]

: M = m - 5 (\log_{10}{d_L} - 1)\!\,

근방(낮은 적색 편이)의 우주에서는 광도 거리가 그 천체까지의 물리적인 거리에 일치하지만, 원방(높은 적색 편이)에서는 빅뱅 우주 팽창 때문에 광도 거리는 물리적인 거리(공동 거리)와 일치하지 않게 된다.[1]

3. 적색편이와의 관계

천체의 광도 거리 ${\displaystyle d_{L}}$와 공변 거리 ${\displaystyle x}$는 ${\displaystyle d_{L}=(1+z)S_{k}(x)}$라는 관계를 가진다. 여기서 ${\displaystyle S_{K}}$는 우주의 곡률 ${\displaystyle K}$에 따라 정해지는 함수이다. 공변 거리 ${\displaystyle x}$는 적색 편이 ${\displaystyle z}$와 허블 매개변수 ${\displaystyle H(z)}$를 사용하여 ${\displaystyle x=\int _{0}^{z}{\frac {c\,dz'}{H(z')}}}$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해 광도 거리 ${\displaystyle d_{L}}$을 적색 편이 ${\displaystyle z}$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함수를 그래프로 그린 것을 허블 도표라고 한다. 이 함수 관계 ${\displaystyle d_{L}(z)}$는 허블 매개변수 ${\displaystyle H(z)}$를 통해 우주의 팽창 법칙에 따라 달라지며, 우주론적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1]

프레임

3. 1. 우주의 곡률에 따른 함수 S_K(x)

천체의 광도 거리 d_L와 공변 거리 x는 다음과 같은 관계에 있다.

:d_L = ( 1 + z ) S_k ( x )[1]

여기서 S_K는 우주의 곡률 K에 따라 정해지는 함수이다.

:S_K ( x ) = \begin{cases} \sinh \left( \sqrt{ - K } x \right) / \sqrt{ - K } & (K < 0)\\ x & (K = 0) \\ \sin \left( \sqrt{ K } x \right) / \sqrt{ K } & (K>0)\end{cases}[2]

공변 거리 x는 적색 편이 z와 허블 매개변수 H ( z )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x = \int_0^z \frac{ c \, dz' }{ H ( z' ) }

이 식을 통해 천체의 광도 거리 d_L을 적색 편이 z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함수를 그래프로 그린 것을 허블 도표라고 한다.[1] 이 함수 관계 d_L ( z )는 허블 매개변수 H ( z )를 통해 우주의 팽창 법칙에 따라 달라지며, 이를 통해 우주론적 매개변수에 대한 제약을 얻을 수 있다.[1]

3. 2. 공변 거리와 적색편이

천체의 광도 거리 ${\displaystyle d_{L}}$와 공변 거리 ${\displaystyle x}$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 ${\displaystyle d_{L}=(1+z)S_{k}(x)}$

여기서 ${\displaystyle S_{K}}$는 우주의 곡률 ${\displaystyle K}$에 따라 정해지는 함수이다.

: ${\displaystyle S_{K}(x)={\begin{cases}\sinh \left({\sqrt {-K}}x\right)/{\sqrt {-K}}&(K<0)\\x&(K=0)\\\sin \left({\sqrt {K}}x\right)/{\sqrt {K}}&(K>0)\end{cases}}}$

공변 거리 ${\displaystyle x}$는 적색 편이 ${\displaystyle z}$와 허블 매개변수 ${\displaystyle H(z)}$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displaystyle x=\int _{0}^{z}{\frac {c\,dz'}{H(z')}}}$

이 식을 통해 천체의 광도 거리 ${\displaystyle d_{L}}$을 적색 편이 ${\displaystyle z}$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함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허블 도표이다. 이 함수 관계 ${\displaystyle d_{L}(z)}$는 허블 매개변수 ${\displaystyle H(z)}$를 통해 우주의 팽창 법칙에 따라 달라지며, 이를 통해 우주론적 매개변수에 대한 제약을 얻을 수 있다.

4. 우주론적 응용

천체의 광도 거리 d_L와 공변 거리 x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d_L = ( 1 + z ) S_k ( x )

여기서 S_K는 우주의 곡률 K에 따라 결정되는 함수이다.[1]

:S_K ( x ) = \begin{cases} \sinh \left( \sqrt{ - K } x \right) / \sqrt{ - K } & (K < 0)\\ x & (K = 0) \\ \sin \left( \sqrt{ K } x \right) / \sqrt{ K } & (K>0)\end{cases}

공변 거리 x는 적색 편이 z와 허블 매개변수 H ( z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2]

:x = \int_0^z \frac{ c \, dz' }{ H ( z' ) }

이를 통해 천체의 광도 거리 d_L을 적색 편이 z의 함수로 생각할 수 있으며, 이 함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허블 도표라고 한다. 이 함수 관계 d_L ( z )는 허블 매개변수 H ( z )를 통해 우주의 팽창 법칙에 영향을 받으며, 여기서 우주론적 매개변수의 제한값을 얻을 수 있다.

참조

[1] 서적 Statistical Physics for Cosmic Structur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4-12-22
[2] 서적 Statistical Physics for Cosmic Structur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4-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