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도곡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도 곡선은 천체의 밝기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로, 천문학에서 다양한 천체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변광성의 밝기 변화, 식쌍성의 상호 가림 현상, 초신성의 폭발 과정, 소행성 및 위성의 자전 주기, 외계 행성의 통과 현상, 중력 렌즈 현상 등을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광도 곡선을 통해 천체의 표면 밝기 분포, 질량, 크기, 궤도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외계 행성 탐색, 소행성 연구, 그리고 중력 렌즈 현상 연구에 중요한 도구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성천문학 - 항성풍
- 항성천문학 - 원시별
원시별은 별의 진화 초기 단계로, 분자 구름의 중력 붕괴로 형성되어 수소 핵융합을 시작하기 전 주변 가스와 먼지를 흡수하며 성장하고, 강착 원반과 쌍극류를 형성하며, 적외선 및 밀리미터 영역에서 관측되며, 중심부의 중수소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고 주변 물질이 소실된 후 T 타우리형 별 또는 허빅 Ae/Be형 별로 관측되는 천체이다. - 행성과학 - 태양계
태양계는 태양을 중심으로 행성, 위성, 왜행성, 소행성, 혜성 등 다양한 천체들이 중력으로 묶여 있는 항성계로, 약 46억 년 전 분자운의 붕괴로 형성되었으며 지구형 행성, 목성형 행성, 카이퍼 대, 오르트 구름 등을 포함하고 탐사를 통해 구성과 역사가 밝혀지고 있다. - 행성과학 - 지구과학
지구과학은 지구의 구조, 물질, 과정 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지질학, 지구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판구조론, 기후 변화, 지진 및 화산 활동 등 지구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 - 식물학 - 균근
균근은 식물 뿌리와 균류 사이의 공생체로, 식물에게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식물은 광합성 산물을 제공하며, 농업, 산림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식물학 - 목재
목재는 수목의 목질부로, 오래전부터 연료, 건축 자재, 도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되고 수종에 따라 물성이 다르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와 기술 개발이 중요시되는 재료이다.
광도곡선 | |
---|---|
광도 곡선 정보 | |
정의 | 천체의 밝기 변화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 |
대상 | 항성 변광성 초신성 소행성 혜성 인공위성 기타 천체 |
측정 방법 | 광전 측광 전하 결합 소자(CCD) 측광 |
활용 분야 | 변광성 분류 식변광성 분석 소행성 자전 주기 측정 초신성 유형 식별 기타 천체 물리 연구 |
특징 | |
표현 방식 | 가로축: 시간 (일, 년 등) 세로축: 밝기 (등급 또는 광도) |
주기성 | 주기적인 밝기 변화를 보이는 천체의 경우, 광도 곡선에서 주기성을 파악 가능 |
불규칙성 | 불규칙적인 밝기 변화를 보이는 천체의 경우, 광도 곡선에서 특이한 현상 관찰 가능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측광학 변광성 천문학 천체 물리 |
2. 광도 측정
변광성의 겉보기 등급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인 광도 곡선은 변광성의 행동을 시각화하고 분석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변광성의 유형 분류는 점차 분광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밝기 변화의 진폭, 주기, 규칙성 역시 여전히 중요한 분류 요소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세페이드와 같은 일부 변광성은 매 주기마다 정확히 동일한 주기, 진폭, 모양을 가진 매우 규칙적인 광도 곡선을 보여준다. 반면, 미라 변광성은 수 등급에 달하는 큰 진폭 변화를 보이지만 규칙성은 다소 떨어지며, 반규칙 변광성은 훨씬 불규칙하고 진폭도 작다.
광도 곡선의 형태는 밝기 변화를 일으키는 근본적인 물리적 과정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식변광성의 경우, 광도 곡선의 모양을 통해 식(eclipse)이 얼마나 완전히 일어나는지(전체성의 정도), 두 별의 상대적인 크기와 표면 밝기 등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궤도의 이심률이나 중력 상호작용으로 인해 별의 모양이 찌그러지는 타원체 효과 등도 파악할 수 있다. 펄스 변광성의 경우에는 펄스의 진폭이나 주기가 별의 실제 밝기(광도)와 관련될 수 있으며, 광도 곡선의 모양은 펄스 모드를 파악하는 단서가 되기도 한다.
2. 1. 측광 시스템
천체의 밝기 변화는 관측하는 파장(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는 천체의 물리적 과정이 파장별로 다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도곡선을 만들 때는 특정 파장 범위(파장대 또는 밴드)에서 밝기를 측정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표면 온도가 다른 두 별이 서로를 가리는 식쌍성의 경우, 어떤 별이 가려지느냐에 따라 광도곡선의 최저점 깊이가 관측하는 색(파장)마다 달라진다. 또한, 맥동 변광성은 밝기가 가장 밝아지는 시점이 색(파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한편, 특정 파장 범위를 정하지 않고 가시광선 영역에서 눈으로 직접 관측하는 안시 관측 역시 변광성 연구 분야에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안시 관측은 간단한 장비만으로 시작할 수 있고 데이터 처리 과정이 복잡하지 않아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다. CCD 카메라가 널리 사용된 이후에도, 천문학자나 대규모 전천 관측 프로젝트가 다루기 어려운 수많은 변광성의 광도곡선을 얻거나, 기계 관측이 어려운 밝은 변광성, 또는 언제 밝기가 변할지 모르는 천체를 감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변광성
변광성의 겉보기 등급 변화를 시간에 따라 그린 그래프, 즉 광도 곡선은 변광성의 행동을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는 데 널리 쓰인다. 변광성을 관측할 때 광도 곡선을 작성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방법이다.
변광성의 종류를 나누는 데에는 스펙트럼의 특징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지만, 광도 곡선에서 나타나는 밝기 변화의 진폭, 주기, 규칙성 등은 여전히 중요한 분류 기준이다. 예를 들어, 세페이드는 매우 규칙적인 광도 곡선을 보여주며, 매 주기마다 거의 동일한 주기, 진폭, 모양을 반복한다. 반면 미라 변광성은 주기가 덜 규칙적이고 밝기 변화의 폭(진폭)이 몇 등급에 이를 정도로 크다. 반규칙 변광성은 이들보다 훨씬 불규칙하며 진폭도 작다.
광도 곡선의 모양은 변광 현상을 일으키는 근본적인 물리적 과정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알려주기도 한다. 식변광성(식쌍성)의 경우, 광도 곡선의 모양을 분석하면 별들이 서로를 얼마나 가리는지(전체성의 정도), 두 별의 상대적인 크기와 표면 밝기(온도) 비율, 공전 궤도의 기울기, 쌍성을 이루는 두 별의 질량비 등을 알 수 있다. 때로는 궤도의 이심률이나 별의 모양이 완전한 구에서 얼마나 찌그러져 있는지(타원체 변광성)도 파악할 수 있다. 맥동 변광성의 경우에는 맥동의 진폭이나 주기가 별의 실제 밝기(광도)와 관련될 수 있으며(주기-광도 관계), 광도 곡선의 모양은 별이 어떤 방식으로 맥동하는지(펄스 모드 또는 진동 모드)를 보여주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3. 1. 초신성

초신성의 광도 곡선은 폭발 후 급격히 밝아져 최대 광도에 도달한 뒤, 수십 일에 걸쳐 빠르게 어두워지고 이후 100일 이상 서서히 어두워지는 일반적인 형태를 보인다. 하지만 광도 곡선의 구체적인 모습은 초신성의 유형에 따라 다르며, 이는 초신성의 유형을 분류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초신성 유형은 기본적으로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정의되지만, 각 유형은 특징적인 광도 곡선 형태를 가지고 있다.
제1형 초신성은 일반적으로 날카로운 최대값을 보인 후 점진적으로 밝기가 감소하는 광도 곡선을 가진다. 반면, 제2형 초신성은 최대 밝기 부분이 덜 뾰족한 경향이 있다.
특히 Ia형 초신성은 최대 밝기일 때의 절대 등급이 거의 일정하고 다른 유형의 초신성보다 밝은 편이며, 개별 초신성 간 광도 곡선 형태의 차이도 작다. Ib형 및 Ic형 초신성과 II형 초신성은 대부분 Ia형보다 최대 광도에서의 절대 등급이 어둡고, 나중 단계에서 밝기가 감소하는 속도는 Ia형보다 느린 편이다. 또한, 이들 유형은 광도 곡선의 형태와 밝기 모두 개별 초신성 간의 차이가 크다.
II형 초신성은 광도 곡선의 형태에 따라 다시 세분화된다. 최대 밝기 이후 약 100일 동안 밝기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평탄한 구간(플래토)이 나타나는 경우 II-P형(Plateau|플래토eng) 초신성이라 부른다. 반면, 이러한 플래토 구간 없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밝기가 선형적으로 꾸준히 감소하는 경우 II-L형(Linear|리니어eng) 초신성으로 분류한다. II-P형과 II-L형은 스펙트럼 상으로는 유사하지만, 이처럼 광도 곡선에서 나타나는 뚜렷한 차이로 구별된다. 광도 곡선은 이처럼 희미한 초신성을 분류하거나 하위 유형을 결정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4. 행성 천문학
행성 과학 분야에서는 광도곡선을 이용하여 소행성, 자연 위성, 혜성의 핵과 같은 태양계 소천체의 자전 주기를 알아낼 수 있다. 지구에서 관측할 때, 이들 천체는 매우 멀리 있어 아무리 성능 좋은 망원경을 사용해도 점으로만 보이는 경우가 많다. 즉, 천체의 실제 모습을 직접 관측하여 자전 주기를 알아내기 어렵다. 따라서 천문학자들은 시간에 따른 천체의 밝기 변화를 측정하여 광도곡선을 그린다.
태양계 소천체는 대부분 완전한 구형이 아니기 때문에, 자전하면서 태양 빛을 받는 면적이 달라져 겉보기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한다. 광도곡선에서 밝기가 가장 밝은 지점(극대점) 사이의 시간 간격을 측정하면 천체의 자전 주기를 추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천체가 한 바퀴 자전하는 동안 두 번의 밝기 극대점이 나타난다.
광도곡선의 밝기 변화 폭(진폭)은 천체의 모양이나 표면의 밝고 어두운 영역(알베도) 분포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울퉁불퉁하거나 길쭉한 모양의 소행성은 밝기 변화 폭이 크게 나타나는 반면, 구형에 가까운 천체는 밝기 변화가 거의 없어 평탄한 광도곡선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를 통해 천체의 크기를 직접 알 수는 없지만, 대략적인 모양과 자전 특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만약 천체가 위성을 가지고 있다면, 위성이 천체 앞을 지나가면서 천체의 빛 일부를 가리는 식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도곡선 상에서 추가적인 밝기 감소가 관측되는데, 이를 분석하면 천체의 크기, 위성의 공전 주기, 나아가 천체의 질량이나 밀도까지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4. 1. 소행성 광도 곡선 데이터베이스
협력 소행성 광도 곡선 연결(Collaborative Asteroid Lightcurve Link|콜래버러티브 애스터로이드 라이트커브 링크eng, CALL)의 ''소행성 광도 곡선 데이터베이스''(Asteroid Lightcurve Database|애스터로이드 라이트커브 데이터베이스eng, LCDB)는 소행성 광도곡선 분석 결과로 얻어진 주기 해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숫자 코드인 품질 코드(''U'')를 사용한다. 이 코드는 실제 관측 데이터 자체의 품질보다는 분석된 주기 결과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데 중점을 둔다.품질 코드 ''U''는 0(부정확)부터 3(정확)까지의 숫자로 표현되며, 각 숫자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코드 | 의미 |
---|---|
U = 0 | 결과가 나중에 부정확한 것으로 판명됨 |
U = 1 | 일부 광도곡선 조각만을 기반으로 한 결과로, 완전히 틀렸을 가능성이 있음 |
U = 2 | 전체 위상각 범위를 다루지 못한 관측 결과를 기반으로 함. 주기가 실제와 30% 정도 차이가 나거나 모호할 수 있음 |
U = 3 | 주어진 정밀도 내에서 신뢰할 수 있는 결과. 모호함 없음 |
U = n.a. | 사용할 수 없음. 불완전하거나 결정적이지 않은 결과 |
또한, 품질 코드 숫자 뒤에 덧붙는 더하기 기호(+)나 빼기 기호(−)는 해당 숫자 등급 내에서 상대적으로 결과의 신뢰도가 조금 더 높거나 낮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2+'는 '2'보다는 신뢰도가 높지만 '3'에는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의미한다.
4. 2. 엄폐 광도 곡선

소행성 엄폐 광도 곡선은 종종 이진법으로 특징지어지는데, 별에서 나오는 빛이 즉시 종료되고, 지속 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며, 즉시 복원된다. 지속 시간은 엄폐 천체를 가로지르는 현의 길이에 해당한다.
전이가 즉시 일어나지 않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엄폐 천체나 엄폐된 천체가 이중일 경우, 예를 들어 이중성 또는 쌍소행성, 계단형 광도 곡선이 관측된다.
- 엄폐된 천체가 클 경우, 예를 들어 안타레스와 같은 별, 전이가 점진적으로 일어난다.
- 엄폐 천체가 대기를 가지고 있을 경우, 예를 들어 타이탄
관측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장비를 사용하여 기록하며, 소멸과 재현 시간은 GPS 보정 비디오 시간 삽입기(VTI)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엄폐 광도 곡선은 VizieR 서비스에 보관된다.
5. 외계 행성 탐색
별의 광도 곡선 그래프에서 나타나는 주기적인 밝기 하강은 외계 행성이 자신이 공전하는 별 앞을 지나가기 때문일 수 있다. 외계 행성이 별 앞을 통과할 때, 별에서 나오는 빛의 일부를 가리게 되어 일시적으로 별의 밝기가 어두워지는 현상이 관측된다. 이러한 밝기 감소는 행성이 별 주위를 주기적으로 공전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별의 밝기 변화를 이용하여 외계 행성을 찾는 방법을 천문학적 통과 방법이라고 하며, 이 방법을 통해 수많은 외계 행성이 발견되었다.
6. 광도 곡선 역 추정
광도 곡선 역 추정은 회전하는 물체의 밝기 변화를 관측하여 그 표면의 모습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되는 수학적 기법이다. 이는 별점이나 소행성 표면의 알베도 분포를 효과적으로 이미지화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천체가 자전하면서 밝기가 변하는 경우, 관측된 광도 곡선으로부터 천체 표면의 밝기 분포를 거꾸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특히 빠르게 자전하는 별의 흑점 분포나 태양계 소천체 표면의 알베도 분포 등을 이론적으로 예측하는 데 유용하다.
태양계 소천체의 경우, 태양에 비치는 면이 달라지도록 여러 다른 시점에서 관측한 데이터를 얻고, 평균적인 알베도 등 광학적 성질을 가정한 후 역 문제를 풀어서 자전축 기울기나 소행성의 전체적인 형태를 추정할 수도 있다.
7. 중력 마이크로렌즈
중력 마이크로렌즈는 비교적 작고 질량이 적은 천문학적 물체가 더 멀리 있는 배경 천체의 빛을 일시적으로 증폭시키는 현상이다. 이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예측하는 중력 렌즈 효과 중 하나로, 중력에 의해 빛의 경로가 휘어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다만, 마이크로렌즈 현상에서는 빛의 경로가 휘어지는 각도가 매우 작아 중력 렌즈로 인한 상의 왜곡을 직접 관측하기는 어렵다. 대신, 빛이 모이면서 배경 천체가 일시적으로 더 밝아 보이는 증광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
배경 천체(광원), 렌즈 역할을 하는 천체(중력원), 그리고 관측자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함에 따라 증광되는 정도가 시간에 따라 변하게 되는데, 이러한 밝기 변화를 기록한 것이 광도 곡선이다. 이 광도 곡선의 특징적인 모양을 분석하면, 직접 관측하기 어려운 렌즈 천체의 질량이나 존재 여부 등을 간접적으로 알아낼 수 있다. 이를 통해 평소에는 보이지 않는 항성이나 외계 행성 등을 발견하고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예를 들어, 안드로메다 은하 방향에서 관측된 마이크로렌즈 현상인 PA-99-N2는 안드로메다 은하 내의 별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현상의 광도 곡선 분석 결과, 렌즈 역할을 한 천체가 중력적으로 묶인 두 개의 천체로 이루어져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그중 질량이 작은 천체는 외계 행성일 수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光度曲線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8-03-17
[2]
서적
宇宙・天文大辞典
丸善
1987-01-31
[3]
웹사이트
About Light Curves
https://www.aavso.or[...]
AAVSO
2018-03-18
[4]
간행물
Variable Star Astronomy
https://www.aavso.or[...]
AAVSO
2018-03-18
[5]
웹사이트
GCVS Variability Types and Distribution Statistics of Designated Variable Stars According to their Types of Variability
http://www.sai.msu.s[...]
シュテルンベルク天文研究所
2018-03-23
[6]
웹사이트
光度曲線(変光星の)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8-03-17
[7]
웹사이트
光度曲線(超新星の)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8-03-17
[8]
웹사이트
光度曲線(小惑星の)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8-03-17
[9]
논문
Matrix formalism for inferring planetary surface albedo distributions from light-curve measurements
1989-09
[10]
논문
Imaging Stellar Surfaces via Matrix Light-Curve Inversion
2000-12
[11]
웹사이트
重力マイクロレンズ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8-03-24
[12]
논문
The Anomaly in the Candidate Microlensing Event PA-99-N2
2004-02
[13]
간행물
Asymptotic Giant Branch Stars
1999
[14]
논문
Optimization Analyses of the Light Curves of Eccentric Eclipsing Binary Systems
1974-02
[15]
논문
A Photometric Study of the Eclipsing Binary Star System RU Ursae Minoris
1971-06
[16]
논문
The dependence of asteroid lightcurves on the orientation parameters and the shapes of asteroids
1982-08
[17]
논문
The Future of Visual Observations in Variable Star Research
20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