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은 일자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괜찮은 일자리는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노동 조건으로, 노동 시간, 임금, 휴가, 노동 내용 등이 인간의 존엄성을 해치지 않고, 결사의 자유, 단체 교섭권, 실업 보험, 충분한 고용, 고용 차별 폐지 및 최저 임금 보장을 포함한다. 국제 노동 기구는 이러한 조건을 조약이나 권고로 정하고 감시하며, 일자리 창출, 노동 권리 보장, 사회적 보호, 사회적 대화를 주요 요소로 둔다.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와 연계되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지만, 비공식 고용 문제, 세계화의 영향, 국가 및 국제 기구의 역할 등 이행에 어려움이 있다. 국제 노동 기구(ILO), 유럽 연합(EU) 등 관련 국제기구 및 괜찮은 일자리, 괜찮은 삶 캠페인, 여성을 위한 괜찮은 일자리, 괜찮은 삶 캠페인 등이 진행되며, 10월 7일은 세계 괜찮은 일자리를 위한 날이다.
괜찮은 일자리는 인간다운 생활을 지속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인간다운 노동 조건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노동 시간, 임금, 휴가 일수, 노동 내용 등 직접적인 노동 조건이 인간의 존엄과 건강을 해치지 않아야 한다는 것과, 결사의 자유, 단체 교섭권, 실업 보험, 고용 차별 폐지, 최저 임금 보장 등을 통해 인간다운 생활을 지속적으로 영위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는 것이 포함된다.[8]
국제 노동 기구는 노동 조건들을 구체적으로 조약이나 권고로 결정하고 감시 기관을 통해 감시하여 모든 사람들이 괜찮은 일자리를 실현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괜찮은 일자리 의제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실제로 괜찮은 일자리를 달성하는 것은 여러 도전 과제와 논란을 야기한다. 2006년 국제 노동 기구(ILO)는 "실업과 불완전 고용, 열악하고 비생산적인 일자리, 안전하지 않은 노동과 불안정한 소득, 권리 침해 및 성 불평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괜찮은 일자리 부족"을 강조하고,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ECOSOC) 회의에 참석한 국가에 알렸다.[15]
2. 정의 및 요소
국제 노동 기구는 이러한 노동 조건들을 조약이나 권고로 구체화하고 감시 기관을 통해 감시하며, 모든 사람들이 괜찮은 일자리를 실현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8]
괜찮은 일자리는 노동자의 공정하고 유리한 조건, 휴일, 8시간 근무, 비차별, 노동자와 그 가족을 위한 생활 임금 등의 권리를 포함한다.[8]
2. 1. 일자리 창출
고용 기회 부족으로 인해 그 누구도 원하는 일자리에서 배제되어서는 안 된다.[8]
2. 2. 노동권 보장
괜찮은 일자리는 인간다운 생활을 지속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인간다운 노동 조건 중 하나이다. 직접적인 노동 조건은 노동 시간, 임금, 휴가 일수, 노동의 내용 등이 인간의 존엄과 건강을 해치지 않는 것이며, 인간다운 생활을 지속적으로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요구한다. 또한 이러한 것들을 보장하는 노동 조건으로 결사의 자유와 단체 교섭권, 실업 보험과 충분한 고용, 고용 차별의 폐지 및 최저 임금 보장을 요구한다. 이러한 여러 노동 조건이 확보되었을 때 괜찮은 일자리가 실현되었다고 하는 것이다.[8]
국제 노동 기구는 이런 노동 조건들을 구체적으로 조약이나 권고로 결정하고 감시기관을 통해 감시하여 모든 사람들이 괜찮은 일자리를 실현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8]
괜찮은 일자리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8]2. 3. 사회적 보호
모든 노동자는 안전한 근무 조건, 적절한 자유 시간 및 휴식을 가져야 하며, 의료, 연금, 출산 휴가 등과 같은 혜택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8]
2. 4. 사회적 대화
국제 노동 기구는 노동 조건들을 구체적으로 조약이나 권고로 결정하고 감시기관을 통해 감시하여 모든 사람들이 괜찮은 일자리를 실현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8] 괜찮은 일자리의 요소 중 하나인 사회적 대화는 노동자가 노조를 통해 직장 민주주의를 행사하고, 직장 조건뿐만 아니라 국가 및 국제 노동, 개발 정책에 대해 협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8]
3.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SDGs)와 괜찮은 일자리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는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를 선언하고 있다.[9] 이 목표는 노동 생산성 향상, 실업률 감소, 금융 서비스 및 혜택 접근성 개선을 목표로 한다. 기업가 정신과 일자리 창출을 장려하는 것은 강제 노동, 노예 제도 및 인신매매를 근절하기 위한 효과적인 조치와 마찬가지로 이 목표의 핵심이다. 이러한 목표를 염두에 두고, 2030년까지 모든 여성과 남성을 위한 완전하고 생산적인 고용과 양질의 일자리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0] 국제노동기구(ILO) 양질의 일자리 의제의 관심 분야는 빈곤 감소 및 교육 접근성 증가와 같은 다른 개발 목표에서도 언급되었다.[11] 유엔은 ILO 양질의 일자리 의제가 지속 가능한 개발을 달성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고 믿고 있다.[11]
4. 이행의 어려움
국가 및 국제 기구는 괜찮은 일자리 의제 달성을 위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목표에 헌신하고 그 도전에 대처해야 한다.[16] 그러나 개발을 지원하고 해외에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국내에도 이익이 된다는 것을 해당 국가의 시민들에게 설득하는 것은 어렵다.[16] 세계 경제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정부는 시장을 폐쇄하고 노동 기준을 낮추려는 유혹을 받는데, 이는 임금과 근로 조건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16]
다양한 행위자가 괜찮은 일자리 제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기존 조건과 인센티브가 항상 괜찮은 일자리 의제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국가 정부는 경제 및 산업 정책을 통해 괜찮은 일자리를 창출하지만, 임금 하락 압력과 거시 경제 정책 유연성 감소와 같은 세계화의 힘은 국가 정부가 자체적으로 이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을 감소시킨다. 유럽 연합은 2006년 ''커뮤니케이션'', ''모두를 위한 괜찮은 일자리 증진: 세계의 괜찮은 일자리 의제 이행에 대한 EU의 기여''에서 괜찮은 일자리 의제에 기여하기로 약속했다.[17]
4. 1. 세계화의 영향
원칙적으로 괜찮은 일자리 의제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실제로 괜찮은 일자리를 달성하는 것은 도전 과 논란을 야기한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에서는 비공식 고용이 일반적이지만, 사회적 보호 혜택을 제공하는 고임금 일자리는 예외적이다.[12] 이는 세계화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공식 부문 일자리를 얻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12] 그러나 사회 복지를 가져올 수 있는 문제에 대해, 비공식 경제의 규모를 줄일 것인가,[13] 아니면 그 구성원을 노동 조합으로 조직할 것인가를 두고 논쟁이 존재한다.[14]
2006년 국제 노동 기구(ILO)는 "실업과 불완전 고용, 열악하고 비생산적인 일자리, 안전하지 않은 노동과 불안정한 소득, 권리 침해 및 성 불평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괜찮은 일자리 부족"을 강조하고, 이러한 부족을 UN의 경제 사회 이사회(ECOSOC) 회의에 참석한 국가에 알렸다.[15]
괜찮은 일자리 의제를 달성하기 위해 국가 및 국제 기구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목표에 헌신하고 그 도전에 대처해야 한다.[16] 그러나 개발을 지원하고 해외에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국내에도 이익이 된다는 것을 해당 국가의 시민들에게 설득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 장애물로 작용한다.[16] 세계 경제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정부는 시장을 폐쇄하고 노동 기준을 낮추려는 유혹을 받는데, 이는 임금과 근로 조건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16]
다양한 행위자가 괜찮은 일자리 제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기존 조건과 인센티브가 항상 괜찮은 일자리 의제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4. 2. 비공식 고용 문제
세계화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공식 부문 일자리를 얻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아프리카에서는 비공식 고용이 일반적이지만, 사회적 보호 혜택을 제공하는 고임금 일자리는 예외적이다.[12] 그러나 사회 복지를 가져올 수 있는 문제에 대해, 비공식 경제의 규모를 줄일 것인가,[13] 아니면 그 구성원을 노동 조합으로 조직할 것인가를 두고 논쟁이 존재한다.[14]
4. 3. 국가 및 국제기구의 역할
국제 노동 기구는 노동 조건들을 구체적으로 조약이나 권고로 결정하고 감시기관을 통해 감시하여 모든 사람들이 괜찮은 일자리를 실현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는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를 선언하고 있다.[9] 이 목표는 노동 생산성 향상, 실업률 감소, 금융 서비스 및 혜택 접근성 개선을 목표로 한다. 기업가 정신과 일자리 창출을 장려하는 것은 강제 노동, 노예 제도 및 인신매매를 근절하기 위한 효과적인 조치와 마찬가지로 이 목표의 핵심이다. 이러한 목표를 염두에 두고, 2030년까지 모든 여성과 남성을 위한 완전하고 생산적인 고용과 양질의 일자리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0] 국제노동기구(ILO) 양질의 일자리 의제의 관심 분야는 빈곤 감소 및 교육 접근성 증가와 같은 다른 개발 목표에서도 언급되었다.[11] 유엔은 ILO 양질의 일자리 의제가 지속 가능한 개발을 달성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고 믿고 있다.[11]
2006년 국제 노동 기구(ILO)는 "실업과 불완전 고용, 열악하고 비생산적인 일자리, 안전하지 않은 노동과 불안정한 소득, 권리 침해 및 성 불평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괜찮은 일자리 부족"을 강조하고, 이러한 부족을 UN의 경제 사회 이사회(ECOSOC) 회의에 참석한 국가에 알렸다.[15]
괜찮은 일자리 의제를 달성하기 위해 국가 및 국제 기구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목표에 헌신하고 그 도전에 대처해야 한다.[16] 그러나 개발을 지원하고 해외에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국내에도 이익이 된다는 것을 해당 국가의 시민들에게 설득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 장애물로 작용한다.[16] 세계 경제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정부는 시장을 폐쇄하고 노동 기준을 낮추려는 유혹을 받는데, 이는 임금과 근로 조건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16]
다양한 행위자가 괜찮은 일자리 제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기존 조건과 인센티브가 항상 괜찮은 일자리 의제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5. 관련 국제기구 및 캠페인
ILO는 괜찮은 일자리를 위한 노동 조건들을 구체적으로 조약이나 권고로 결정하고 감시기관을 통해 감시하여 모든 사람들이 괜찮은 일자리를 실현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EU은 2006년 '모두를 위한 괜찮은 일자리 증진'이라는 커뮤니케이션에서 괜찮은 일자리 의제에 기여하기로 약속했다.[17]
Solidar, ITUC, ETUC, Social Alert International, 글로벌 진보 포럼 등 5개 단체는 2007년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세계 사회 포럼에서 '괜찮은 일자리, 괜찮은 삶' 캠페인을 시작했다.[19] 이 캠페인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젊은이, 노동조합 활동가, NGO 및 정책 결정자를 대상으로 하며,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빈곤, 민주주의, 사회 통합에서 벗어나는 유일한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괜찮은 일자리를 증진하는 데 중점을 둔다.
ITUC과 글로벌 노조 연맹(GUF)은 2008년 국제 여성의 날에 '여성을 위한 괜찮은 일자리, 괜찮은 삶'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 캠페인은 여성의 괜찮은 일자리와 노동 정책 및 협약에서의 성 평등을 옹호하고, 노조 구조, 정책 및 활동에서 성 평등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5. 1. 국제노동기구(ILO)
국제 노동 기구는 괜찮은 일자리를 위한 노동 조건들을 구체적으로 조약이나 권고로 결정하고 감시기관을 통해 감시하여 모든 사람들이 괜찮은 일자리를 실현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는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를 선언하고 있다.[9] 이 목표는 노동 생산성 향상, 실업률 감소, 금융 서비스 및 혜택 접근성 개선을 목표로 한다. 기업가 정신과 일자리 창출을 장려하는 것은 강제 노동, 노예 제도 및 인신매매를 근절하기 위한 효과적인 조치와 마찬가지로 이 목표의 핵심이다. 이러한 목표를 염두에 두고, 2030년까지 모든 여성과 남성을 위한 완전하고 생산적인 고용과 양질의 일자리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0] 국제 노동 기구(ILO) 양질의 일자리 의제의 관심 분야는 빈곤 감소 및 교육 접근성 증가와 같은 다른 개발 목표에서도 언급되었다.[11] 유엔은 ILO 양질의 일자리 의제가 지속 가능한 개발을 달성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고 믿고 있다.[11]
5. 2. 유럽연합(EU)
유럽 연합은 2006년 ''모두를 위한 괜찮은 일자리 증진: 세계의 괜찮은 일자리 의제 이행에 대한 EU의 기여''라는 커뮤니케이션에서 괜찮은 일자리 의제에 "기여"하기로 약속했다.[17]5. 3. 괜찮은 일자리, 괜찮은 삶 캠페인 (Decent Work, Decent Life Campaign)
Solidar, ITUC, ETUC, Social Alert International, 글로벌 진보 포럼 등 5개 단체는 2007년 1월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세계 사회 포럼에서 괜찮은 일자리, 괜찮은 삶 캠페인을 시작했으며, 그 이후 빈곤 해결책으로서 괜찮은 삶을 위한 괜찮은 일자리를 증진하기 위해 연대하여 활동해왔다.[19] 이 캠페인을 진행하자는 아이디어는 2005년 포르투 알레그리에서 열린 세계 사회 포럼에서 구상되었다. 이 캠페인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젊은이, 노동조합 활동가, NGO 및 정책 결정자를 대상으로 한다.캠페인의 목표는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빈곤, 민주주의 및 사회 통합에서 벗어나는 유일한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서 괜찮은 일자리를 증진하는 데 중점을 둔다.
2007년 11월, 유럽 정부 및 기관의 의사 결정자들은 괜찮은 일자리 의제 인정을 더하여 괜찮은 일자리, 괜찮은 삶 캠페인에 대한 행동 촉구를 서명했다.[19] EU와 국제 시민 사회에서도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20]
캠페인의 행동 촉구는 괜찮은 일자리, 노동자의 권리, 사회적 보호, 공정 무역, 국제 금융 기구, 개발 원조 및 이주 등 7가지 문제에 중점을 둔다.
5. 4. 여성을 위한 괜찮은 일자리, 괜찮은 삶 캠페인 (Decent Work, Decent Life for Women Campaign)
국제노총(ITUC)과 글로벌 노조 연맹(GUF)이 2008년 국제 여성의 날(3월 8일)에 시작한 2년간의 캠페인으로, 여성의 괜찮은 일자리와 노동 정책 및 협약에서의 성 평등을 옹호하고, 노조 구조, 정책 및 활동에서 성 평등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1] 두 번째 목표는 노조 여성 조합원 수와 선출직 여성의 수를 늘리는 것이다.이 캠페인은 여성들이 매일 직면하는 성별 임금 격차,[21] 출산 보호 부족, 여성의 높은 실업률과 같은 정책 및 관행에서의 다양한 형태의 차별 때문에 필요하다.[22] 성차별 때문에 여성은 종종 더 적은 임금을 받고, 남성 동료에 비해 경력 발전의 기회를 얻지 못한다.[23] 아시아에서는 여성들이 주로 가사 노동에 종사하는데, 이는 가장 저임금, 저평가, 비조직적인 부문 중 하나이다.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여성의 2006년부터 2011년까지의 임금 증가율은 0.9%였다.
현재 56개국 81개의 국가 센터가 이 캠페인에 다양한 행사로 참여하고 있다.
6. 한국의 현실과 과제
일본의 '괜찮은 일자리'와는 거리가 먼 노동 현실은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일본에서는 근로기준법 제36조(36협정)에 따라 노동 시간 상한이 사실상 정해져 있지 않고, 최저 임금이 다른 선진국보다 적으며, 유급 휴가 미취득, 불안정하고 차별적인 파견 노동 형태가 존재한다. 이러한 일본의 사례를 통해 한국의 노동 환경을 성찰하고, 개선 과제를 도출해야 한다.
6. 1. 현황
일본에서는 근로기준법 제36조에 규정된 바와 같이 (36협정), 사실상 노동 시간의 상한이 정해져 있지 않다. 최저 임금 또한 다른 선진국보다 적다. 유급 휴가 미취득도 많다. 파견 노동 등에서 볼 수 있듯이, 불안정하고 차별적인 노동 형태도 존재한다.6. 2. 과제
일본에서는 근로기준법 제36조에 규정된 바와 같이 (36협정), 사실상 노동 시간의 상한이 정해져 있지 않다. 최저 임금 또한 다른 선진국보다 적다. 또한 유급 휴가 미취득도 많다. 파견 노동 등에서 볼 수 있듯이, 불안정하고 차별적인 노동 형태도 존재한다.7. 세계 괜찮은 일자리를 위한 날 (World Day for Decent Work)
10월 7일은 괜찮은 일자리를 위한 세계의 날(World Day for Decent Work, WDDW)이다.[18] 이 날, 노동조합, 노조 연맹 및 기타 근로자 단체들은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아이디어를 홍보하기 위해 활동을 펼친다. 활동은 거리 시위에서 음악 행사, 또는 여러 국가에서 개최되는 회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참조
[1]
웹사이트
General Comment 18, 2006 United Nations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 THE RIGHT TO WORK, General comment No. 18, Adopted on 24 November 2005, Article 6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http://www.unhchr.ch[...]
Unhchr.ch
2015-09-27
[2]
웹사이트
Decent work
https://www.ilo.org/[...]
2020-03-10
[3]
웹사이트
Working out of Poverty
http://www.ilo.org/g[...]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4]
웹사이트
http://www.ilo.org/g[...]
2007-12-15
[5]
웹사이트
http://www.ilo.org/g[...]
2007-12-30
[6]
웹사이트
http://www.ilo.org/g[...]
2007-12-30
[7]
웹사이트
http://www.ilo.org/g[...]
2007-12-09
[8]
웹사이트
Campaign for Decent Work and Living Wage
https://apwld.org/de[...]
2015-04-16
[9]
문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Goal 8
[10]
웹사이트
Goal 8: Decent work and economic growth
http://www.ph.undp.o[...]
2019-01-27
[11]
뉴스
Challenges of implementation of Decent Work in the post-2015 Agenda in Europe and its responsibility in the world
http://www.ilo.org/g[...]
2015-03-17
[12]
뉴스
Why the western model doesn't work
https://www.dandc.eu[...]
2017-09-27
[13]
웹사이트
India's Informal Sector: The Vilified-glorified 'other' Side Of The Formal
http://www.forbesind[...]
2020-03-10
[14]
간행물
Trade Union Transformation and Informal Sector Organising in Uganda: The Prospects and Challenges for Promoting Labour-led Development
https://mulpress.mcm[...]
2021
[15]
웹사이트
Tackling the "decent work deficit"
https://www.ilo.org/[...]
ILO
2006-07-06
[16]
뉴스
Decent jobs for youths
https://thefinancial[...]
2020-03-10
[17]
간행물
Communication from the Commission to the Council, the European Parliament, the European Economic and Social Committee and the Committee of the Regions - Promoting decent work for all - The EU contribu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decent work agenda in the world
https://eur-lex.euro[...]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2006-05-24
[18]
웹사이트
World Day for Decent Work: Wage Justice
https://www.ituc-csi[...]
International Trade Union Confederation
2022-09-07
[19]
웹사이트
http://www.actu.asn.[...]
2008-07-18
[20]
문서
Report on the EU contribution to the promotion of decent work in the world
SEC
2008
[21]
웹사이트
http://www.wageindic[...]
2008-07-03
[22]
웹사이트
ITUC Report
http://www.ituc-csi.[...]
Ituc-csi.org
2008-02
[23]
웹사이트
With science 'held back by a gender gap', Guterres calls for more empowerment for women and girls
https://news.un.org/[...]
2020-02-10
[24]
문서
Economic and Social Council, General Comment 18, 2006
http://www.unhchr.ch[...]
[25]
문서
持続可能な開発目標、目標8
[26]
웹인용
THE RIGHT TO WORK - General comment No. 18
https://undocs.org/E[...]
유엔 경제사회위원회
2006-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