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비오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비오 1세는 2세기 중엽에 교황으로 재위한 인물이다. 이탈리아 아퀼레이아 출신으로, 《교황 연대표》에 따르면 루피누스의 아들이다. 그는 예수 부활 대축일을 일요일에만 지내도록 지시했으며, 산타 푸덴치아나 성당 건립을 지시했다. 비오 1세는 발렌티누스, 케르돈, 마르키온 등 영지주의 이단자들을 파문했다. 순교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며, 가톨릭교회는 그의 축일을 7월 11일로 기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5년 사망 - 폴리카르포스
사도 요한의 제자로 2세기 기독교의 중요한 인물인 폴리카르포스는 스미르나의 주교로서 사도시대와 후대를 연결하고, 《빌립보인들에게 보낸 폴리카르포스의 서신》을 통해 초기 기독교 신앙을 전파했으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박해 시기에 순교했다. - 로마 제국의 노예 - 디오클레티아누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3세기 위기 이후 로마 제국을 안정시키기 위해 군사, 행정, 경제 개혁을 단행하고 사두정치 체제를 도입하는 등 중앙집권화를 추진했으나, 최고가격령 실패와 기독교 박해라는 어두운 면도 남겼으며, 그의 통치는 로마 제국의 전환점이자 후대 제국에 영향을 미쳤다. - 로마 제국의 노예 - 에픽테토스
에픽테토스는 프리기아 출신의 스토아 철학자로, 노예 생활을 겪었으나 철학을 공부하여 자유민이 되었고, 로마에서 철학을 가르치다 추방 후 니코폴리스에 학교를 세워 자기 인식, 선택, 구분을 강조하는 윤리학을 중심으로 철학을 펼치며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 2세기 기독교 순교자 - 폴리카르포스
사도 요한의 제자로 2세기 기독교의 중요한 인물인 폴리카르포스는 스미르나의 주교로서 사도시대와 후대를 연결하고, 《빌립보인들에게 보낸 폴리카르포스의 서신》을 통해 초기 기독교 신앙을 전파했으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박해 시기에 순교했다. - 2세기 기독교 순교자 - 유스티노 순교자
유스티노 순교자는 2세기 기독교 변증가이자 철학자로, 기독교로 개종 후 로마에서 기독교를 변증하며, 저작 활동과 견유철학자와의 논쟁을 통해 기독교 신앙을 옹호하고 후대 기독교 사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여러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교황 비오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비오 |
직함 | 로마 주교 |
교회 | 초기 기독교 |
임기 시작 | 기원후 140년경 |
임기 종료 | 기원후 154년경 |
선임자 | 히지노 |
후임자 | 아니체토 |
출생일 | 1세기 후반경 |
출생지 | 로마 제국 아퀼레이아 |
사망일 | 기원후 154년경 |
사망지 | 로마, 로마 제국 |
축일 | 7월 11일 |
기타 정보 | |
이름 | 비오 |
2. 생애 초기
비오 1세는 1세기 말엽 이탈리아 북부 아퀼레이아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졌다.[14] 《교황 연대표》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는 ‘루피누스(Rufinus)’이며, 역시 아퀼레이아 출신이라고 한다.[15]
비오 1세는 2세기 중엽 안토니누스 피우스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치세 동안 교회를 이끌었다고 전해진다.[18] 그는 예수 부활 대축일은 오직 주일(일요일)에만 거행되어야 한다는 지시를 내렸다고 전해지나, 이 기록의 출처인 《교황 연대표》는 6세기 초가 되어서야 비로소 편찬되었기에 역사적 신빙성은 불확실하다.[19] 비오 1세는 또한 산타 푸덴치아나 성당을 건립할 것을 지시하였는데, 이 성당은 오늘날 로마에서 가장 오래된 성당 가운데 하나이다.
2세기 문헌인 《무라토리의 카논》[16]과 《리베리오 교황표》[17]에 따르면, 비오 1세는 신약성서 위경인 《헤르마스의 목자》의 저자 헤르마스와 형제였다고 한다. 헤르마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자신이 과거 노예 신분이었다고 고백하였다. 이를 근거로 헤르마스와 비오 1세는 본래 노예였다가 해방되어 자유민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헤르마스가 노예였다는 진술은 그가 낮은 계급의 평민 가문에 속했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8]
3. 교황
비오 1세는 재위기간 내내 성 유스티노가 기독교 교리를 가르치는 한편, 발렌티누스와 케르돈, 마르키온 등의 영지주의 이단자들이 활동하여 힘겨운 시기를 보냈다. 비오 1세는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발렌티누스, 케르돈, 마르키온 등을 단죄하며 그들을 파문하였다.[20]
3. 1. 순교 여부
비오 1세가 로마에서 순교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는데, 이는 성무일도의 초기 판본에 그가 순교했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69년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인 달력이 개정될 때 조사한 결과, 비오 1세가 순교했다는 명확한 증거가 없어 순교자라는 칭호는 제거되었다.[21] 《로마 순교록》도 마찬가지로 비오 1세를 순교자로 기록하고 있지 않다.[22]
4. 축일
비오 1세의 축일은 7월 11일이다. 트리덴틴 전례력에서는 등급이 "단순 기념일"로 지정되어 순교자의 축일로 기념되었다. 1955년 교황 비오 12세의 일반 로마 전례력과 1960년 일반 로마 전례력에서는 축일의 등급이 기념일로 격하되었다.
참조
[1]
간행물
Pope St. Pius I
[2]
서적
Annuario Pontificio per L'anno 2012.
2012
[3]
서적
Lives of the Saints, For Every Day of the Year
Catholic Book Publishing
1955
[4]
서적
Lives of the Popes: Antiquity, Volume 1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8
[5]
문서
Ed. Duchesne, I, 132.
[6]
서적
Analecta, Volume1
J. C. B. Mohr
1910
[7]
문서
Ed. Duchesne, "Liber Pontificalis, I, 5."
[8]
서적
New Catholic Encyclopedia, Volume 11
New York : McGraw-Hill
1967
[9]
서적
Dictionnaire historique de la papauté
Fayard
1994
[10]
웹사이트
The Martyrdom of Justin
https://www.newadven[...]
[11]
서적
Dictionary of Saints
Image/Doubleday
2005
[12]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13]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Typis Vaticanis
2004
[14]
문서
"Lives of the Saints, For Every Day of the Year," edited by Rev. Hugo Hoever, S.O.Cist.,Ph.D., New York: Catholic Book Publishing Co., 1955, p. 263
[15]
문서
Ed. Duchesne, I, 132.
[16]
문서
Ed. Preuschen, "Analecta, 1," Tubingen, 1910.
[17]
문서
Ed. Duchesne, "Liber Pontificalis, I, 5."
[18]
문서
"Lives of the Saints, For Every Day of the Year," 263쪽
[19]
문서
"Dictionnaire historique de la papauté", Philippe Levillain, Fayard 1994, p. 1042–1043"
[20]
문서
"Dictionary of Saints" (First Image Books Edition, April 2005 {{ISBN|0-385-51520-0}}), 505쪽.
[21]
문서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129쪽.
[22]
문서
"Martyrolog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1 {{ISBN|88-209-72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