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소테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소테르는 2세기 로마 가톨릭교회의 수장이다. 몬타누스주의 논쟁에 관여하고 자선 활동을 펼쳤으며, 4월 22일에 축일을 기념한다. 로마 순교록에는 그의 자선 행적이 기록되어 있으나, 순교자로 명시되지는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4년 사망 - 유박 (임성왕)
    유박은 영제의 아들로 후한 시대에 임성왕에 봉해졌으며, 시묘살이로 효성을 인정받고 백제에서 임성왕으로 책봉되어 외교 및 국방에 기여했으나 후사 없이 사망하여 봉국이 폐지되었다.
  • 라티나도 출신 - 안드레아 카르네발레
    이탈리아의 은퇴한 축구 선수 안드레아 카르네발레는 공격수로 SSC 나폴리에서 마라도나, 조르다노와 함께 '마지카' 트리오를 이루며 팀의 전성기를 이끌었고, 세리에 A 2회, 코파 이탈리아 1회, UEFA컵 1회 우승과 1990년 FIFA 월드컵 3위를 기록했다.
  • 라티나도 출신 - 갈바
    서비우스 술피키우스 갈바는 로마 명문 귀족 가문 출신으로 법무관, 집정관 등 고위직을 역임하고 이베리아 반도 총독으로 복귀 후 네로 황제에 대한 반란으로 황제가 되었으나, 재정 정책 실패와 측근 비리, 군단 반란으로 7개월 만에 암살당하며 '네 황제의 해'의 시작을 알린 로마 황제이다.
  • 2세기 대주교 - 교황 식스토 1세
    성 베드로의 후계자인 여섯 번째 교황 식스토 1세는 약 10년간 재임하며 가톨릭 전례와 행정 전통 확립에 기여했으며, 그의 유해는 바티칸 언덕 성 베드로 무덤 근처에 안장되었다고 전해진다.
  • 2세기 대주교 - 교황 비오 1세
    교황 비오 1세는 2세기 중엽에 재임한 제10대 교황으로, 부활절 날짜 문제와 영지주의 이단자들의 활동에 대처했으며, 축일은 7월 11일이다.
교황 소테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교황 소테르의 현대 흉상, 폰디 출신, 시대착오적인 교황관 착용
교황 소테르의 현대 흉상, 폰디 출신, 시대착오적인 교황관 착용
직함로마 주교
교회초대 교회
재임 시작기원후 167년경
재임 종료174년
선임자아니체토
후임자엘레우테리오
탄생지로마 제국 캄파니아 주 폰디
사망지로마, 로마 제국
축일4월 22일
이름
그리스어Σωτήρ (소테르)
라틴어Soterius (소테리우스)
기타 정보
재임 기간167년 - 174년

2. 생애와 업적

성 소테르의 축일은 성 가이우스와 마찬가지로 4월 22일이다.[5] 로마 순교록에 소테르 교황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5] 초기 교황들이 모두 순교했다고 추정되기도 하지만, 소테르는 순교자로 기록되지 않았다.[5] 1969년 로마 일반 달력 개정판에서는 "성 소테르와 성 가이우스를 순교자 반열에 포함시킬 근거는 없다"고 밝히고 있다.[6]

2. 1. 자선 활동

로마 순교록은 소테르에 대해 "로마에서 교황 성 소테르가 있었는데, 코린토의 디오니시오는 그가 자기에게 온 가난한 망명 기독교인과 광산으로 유배된 자들에게 보여준 뛰어난 자선에 대해 칭찬했다"라고 언급하고 있다.[5]

2. 2. 몬타누스주의 논쟁

몬타누스주의 운동은 소아시아에서 시작되어 2세기 후반 엘레우테루스 재위 기간 동안 로마와 로 전파되었다. 이 운동의 성격은 처음에는 이단으로 규정될 정도로 당시 정통 신앙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177년 리옹에서 격렬한 박해가 있었을 때, 지역의 참회자들은 새로운 운동에 관해 아시아와 프리지아 공동체뿐만 아니라 교황 엘레우테루스에게도 편지를 썼다.[7] 그들의 편지를 교황에게 전달한 사람은 곧 리옹 주교가 된 사제 이레네우스였다. 유세비우스가 언급한 이 편지의 내용을 보면, 리옹의 기독교인들은 몬타누스주의 운동에 반대했지만, 인내를 옹호하고 교회의 단결을 유지할 것을 간청했다.

로마 교회가 몬타누스주의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취한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테르툴리아누스는 로마 주교가 몬타누스주의자들에게 몇 통의 타협적인 편지를 보냈지만, 프락세아스의 불평에 따라 "예언자들과 그들의 교회에 대한, 그리고 주교의 전임자들의 결정에 대한 주장을 통해" 교황이 이 편지를 철회하도록 강요했다고 기록한다.[8] 『예정론자 이단』(한때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작으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미상의 저자의 작품으로 간주됨)은 "거룩한 소테르, 도시의 교황은 그들에 대항하여 책을 썼고, 에페소스의 아폴로니우스도 그렇게 했다. 이들에 대항하여 카르타고의 사제 테르툴리아누스는 '모든 면에서 훌륭하게, 먼저, 비교할 수 없이 썼으며, 오직 이 점에서 몬타누스를 옹호한 것만 비난받을 만하다'"라고 기술한다.[9] 로마에서는 영지주의와 마르키온주의가 계속해서 가톨릭 교회에 대항하여 설교했다.

3. 신학적 유산

소테르 교황의 신학적 입장은 몬타누스주의 논쟁을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난다. 테르툴리아누스는 로마 주교가 몬타누스주의자들에게 몇 통의 타협적인 편지를 보냈지만, 프락세아스의 불평에 따라 교황이 이 편지를 철회하도록 강요했다고 기록한다.[8] 『예정론자 이단』에서는 "거룩한 소테르, 도시의 교황은 그들에 대항하여 책을 썼고, 에페소스의 아폴로니우스도 그렇게 했다"라고 기술한다.[9] 이를 통해 소테르 교황은 정통 신앙을 수호하고 교회의 일치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4. 로마 순교록

로마 순교록에는 소테르 교황이 성인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성 가이우스와 마찬가지로 축일은 4월 22일이다.[5] 로마 순교록은 소테르 교황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로마에서 교황 성 소테르가 있었는데, 코린토의 디오니시오는 그가 자기에게 온 가난한 망명 기독교인과 광산으로 유배된 자들에게 보여준 뛰어난 자선에 대해 칭찬했다."[5]

초기 교황들이 모두 순교했다고 종종 추정되지만, 로마 순교록은 소테르 교황에게 순교자 칭호를 부여하지 않는다.[5] 1969년 로마 일반 달력 개정판 해설에서는 "성 소테르와 성 가이우스를 순교자 반열에 포함시킬 근거는 없다."라고 밝히고 있다.[6]

참조

[1] 서적 Caius and Soter, Saints and Popes Robert Appleton Company 1908
[2] 서적 Annuario Pontificio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2
[3] 웹사이트 Biography: Pope Soter http://atheism.about[...] 2010-02-07
[4] 웹사이트 Pope Saint Soter http://saints.sqpn.c[...]
[5]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1
[6] 서적 Calendarium Romanum Editrice Vaticana 1969
[7] 논문 Historia Ecclesiastica Penguin 1965
[8] 웹사이트 Adversus Praxeam http://www.tertullia[...]
[9] 웹사이트 Praedestinatorum Haeresis http://www.tertullia[...]
[10] 웹인용 Biography: Pope Soter http://atheism.about[...] 2013-04-07
[11] 웹사이트 Pope Saint Soter http://saints.sqpn.c[...]
[12]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1
[13] 서적 Calendarium Romanum Editrice Vaticana 196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