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콘스탄티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콘스탄티노는 708년 3월에 선출된 비잔틴 교황 시대의 그리스 출신 교황이다. 그는 동로마 제국 유스티니아누스 2세와 교회 회의를 재개하고, 황제의 콘스탄티노폴리스 방문 요청에 응하여 트룰로 교회법 문제를 논의했다. 유스티니아누스 2세가 암살된 후 단의설을 지지하라는 필리피코스의 요구를 거부하며 대립했고, 715년 4월 9일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15년 사망 - 알 왈리드 1세
    알 왈리드 1세는 705년부터 715년까지 우마이야 왕조의 칼리프로 재위하며 영토 확장과 건축 사업을 통해 이슬람 문화를 발전시키고 사회 복지에도 힘썼으며, 우마이야 왕조의 번영을 이끌었다고 평가받는다.
  • 715년 사망 - 다고베르투스 3세
    다고베르투스 3세는 힐데베르트 3세의 뒤를 이어 프랑크 왕국의 왕이 되었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궁재 피핀 2세에게 있었으며, 그의 아들 테우데리히 4세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 시리아 출신 교황 - 베드로
    베드로는 예수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으로, 예수로부터 "케파스"라는 이름을 받았으며, 어부 출신으로 예수의 부름을 받아 제자가 되어 사역과 초기 기독교 공동체 형성에 기여했고, 수난 과정에서 예수를 부인한 후 회개하였으며, 오순절 설교와 이방인 전도를 통해 기독교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시리아 출신 교황 - 교황 그레고리오 3세
    교황 그레고리오 3세는 731년부터 741년까지 재임한 90대 교황으로, 동로마 제국의 성상 파괴 운동에 맞서고 랑고바르드족의 침입에 대응하며 교황권을 수호하고 프랑크 왕국과의 관계를 통해 랑고바르드족의 위협에 대처하는 한편 교회 내부 문제 해결과 북유럽 및 잉글랜드 교회 지원에도 힘썼다.
교황 콘스탄티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칭 접두사교황
이름콘스탄티누스
직함로마 주교
교회가톨릭 교회
임기 시작708년 3월 25일
임기 종료715년 4월 9일
선임자시신니오
후임자그레고리오 2세
출생일664년
출생지티레, 준드알우르둔, 빌라드알샴, 우마이야 칼리파국
사망일715년 4월 9일
사망지로마

2. 생애 초기

콘스탄티노는 시리아 태생으로, 그리스어에 능통하였다.[17] 동방 교회의 전례와 풍습 등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었으며, 8세기 초 동로마 궁정에서 전형적인 동방식 교육을 철저히 받았던 것으로 전해진다.[17] 대립교황 콘스탄티노를 제외하면, 콘스탄티노는 황제의 "전형적인" 동방식 이름을 가진 유일한 교황이었다.[8]

교황으로 선출되기 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두 번 방문하였다.[17] 680년~681년에 소집된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 교황 사절로 참석하였고,[17] 682년에는 교황 레오 2세가 콘스탄티누스 4세 황제에게 보낸 서신을 전달하였다.[17] 이때 유스티니아누스 2세 황자를 만나기도 하였다.[17]

우마이야 왕조 시대(현재의 레바논) 티레에서 태어났으며,[2] 708년 2월 4일 전임 교황 시시니우스가 급사하여 3월 25일에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교황 취임 전에는 부부제를 맡고 있었다.

3. 교황 선출

교황 시신니오가 20일간의 짧은 재위 끝에 선종하자, 708년 3월에 콘스탄티노가 후임 교황으로 선출되었다.[18] 이는 시신니오가 선종한 지 2개월이 지난 후였다.[18]

콘스탄티노는 동로마 제국의 통치하에 있던 비잔틴 교황 시대의 많은 그리스 출신 교황 중 한 명이었다. 당시 교황은 교황으로 서임되기 위해 황제의 승인이 필요했다. 콘스탄티노 선출 당시 교황직의 가장 중요한 문제는 서방 교회가 쿠이니섹스 공의회의 트룰란 법령을 거부한 것이었다.[6] 교황 요한 7세는 이 법령을 승인하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아무런 수정 없이" 돌려보냈다.[6] 요한 7세의 전임자인 교황 세르지오 1세는 그 공의회에 서명하기보다는 차라리 죽음을 택하겠다고 선언했다.[6]

콘스탄티노는 시리아 출신으로, 교황 취임 전에는 부부제를 맡고 있었다.

4. 교황의 콘스탄티노폴리스 방문

710년 유스티니아노스 2세 황제는 콘스탄티노 교황에게 회담을 요청하였다.[20] 황제는 트룰로 공의회 교령을 로마가 수용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21] 콘스탄티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방문을 피하기 위해 일부러 날짜를 연기하거나 다른 이유를 들어 거부하지 않고 황제의 요청을 그대로 수용하였다. 콘스탄티노가 길을 나서기에 앞서, 황제는 자신을 타도하고 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관계를 증진시키려고 했던 라벤나의 펠릭스 대주교를 체포해 장님으로 만들어 버렸다.[17] 콘스탄티노가 황제를 만나려고 한 주요 동기는 트룰로 교령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것도 있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동기는 바로 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균열을 막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17]

콘스탄티노는 710년 10월 5일에 출발하였다.[17]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있는 동안 콘스탄티노는 교황 비질리오교황 마르티노 1세, 교황 아가토 등 전임 교황들이 머물렀던 플라키디아 궁전에 머물렀다.[22] 콘스탄티노를 수행한 이들 가운데 이름이 확인된 인원은 13명(주교 2명, 사제 3명, 교황 비서와 로마 교구 직원 등)인데, 이들 가운데 11명은 동방 출신이었다.[23] 특히 콘스탄티노를 최측근에서 보좌한 부제 가운데 한 명은 훗날 교황 그레고리오 2세가 되는 인물이었다. 나머지 한 사람은 서방 출신의 차부제 율리아노였다.[23] 이를 볼 때, 콘스탄티노는 자신과 같이 동방 출신이거나 동방에 대해 비교적 우호적인 인물을 대동한 것으로 추정된다.[17]

콘스탄티노 교황은 금박을 입힌 안장과 재갈, 굴레 등을 착용한 말을 타고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들어갔는데, 이는 오직 그리스도와 관련된 축일 때에 황제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었다.[17] 유스티니아노스 2세 황제의 아들이자 공동 황제 티베리우스 그리고 총대주교 키로스, 원로원 의원들, 고위층 귀족들 및 성직자들 그리고 다른 많은 사람이 성문 앞까지 나와 황제와 같은 예로 교황을 환영하며 맞이하였다.[24] 당시 니케아에 머물러 있던 황제는 교황에게 니코메디아에서 만나자고 요청하였다.[24]교황 연대표》에 의하면, 당시 황제는 교황을 만났을 때 그 앞에 엎드려 예를 표했다고 서술하고 있다. 교황 역시 적절한 방식으로 황제에게 예의를 갖추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4] 주일 미사에서 황제는 교황으로부터 직접 성체를 받아 모셨으며, 로마 교황좌의 여러 가지 특권에 대하여 애매한 대답으로 확인해 주었다.[24]

트룰로 교회법과 관련된 협상은 훗날 교황 그레고리오 2세가 되는 인물인 그레고리오에 의해 주재되었다. 양측 사이에 이루어진 밀담은 기록되지 않았지만, 트룰로 교회법을 수용할지에 대한 여부는 외교적으로 회피하는 선에서 절충하였다. 교황과 황제 사이에 맺어진 협정(‘니코메디아 협정’이라고 불림)은 어떤 교리적 논쟁을 해결하기 보다는 서방과 동방의 정치적 통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24] 한편 콘스탄티노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직접 갔다는 사실을 볼 때, 당시에는 아직 동로마 황제의 서한이 로마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24] 콘스탄티노는 711년 10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떠났다.

5. 황제와의 논쟁

콘스탄티노는 필리피코스 바르다니스 황제의 얼굴이 새겨진 금화 사용을 거부했다.


유스티니아노스 2세가 암살된 후, 필리피코스 바르다니스가 동로마 제국의 황제가 되었다. 필리피코스는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단죄받은 단의설을 추종했다. 712년, 콘스탄티노는 단의설에 대한 단죄를 철회하라는 필리피코스의 요구를 거부했다. 그는 필리피코스의 얼굴이 새겨진 초상화나 동전을 받는 것을 거부했으며, 미사 중에 황제를 위해 기도하는 것 또한 중지하였다.[19]

필리피코스는 713년 6월에 황제 자리에서 쫓겨났고, 아나스타시오스 2세가 그 뒤를 이었다. 아나스타시오스 2세는 이탈리아 반도에서 자신을 대리하는 라벤나 총독을 통해 자신이 정통 기독교 신앙을 믿는다는 사실을 콘스탄티노에게 전했다.[6]

6. 사망

콘스탄티노는 715년 4월 9일 로마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뒤를 이어 교황 그레고리오 2세가 즉위했다.[14]

참조

[1] CathEncy Pope Constantine
[2] 웹사이트 The five Syrian popes https://aleteia.org/[...] Aleteia.org 2021-09-18
[3] Harvnb
[4] Harvnb
[5] 서적 Papal Genealogy: 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McFarland
[6] Harvnb
[7] Harvnb
[8] Harvnb
[9] Harvnb
[10] Harvnb
[11] Harvnb
[12] 간행물 Papal Pilgrimage Is Viewed as a Major Step Toward Reunion https://www.nytimes.[...] 1967-07-26
[13] 웹사이트 Pope holds Mass at ancient Christian site in Turkey https://www.usatoday[...] 2006-11-29
[14] 웹사이트 Constantine/Pope https://www.britanni[...] 2016-07-29
[15] 인용 Papal Pilgrimage Is Viewed as a Major Step Toward Reunion http://select.nytime[...] 1967-07-26
[16] 인용 Pope holds Mass at ancient Christian site in Turkey http://www.usatoday.[...] USA today 2006-11-29
[17] Harvnb
[18] Harvnb
[19] Harvnb
[20] Harvnb
[21] Harvnb
[22] Harvnb
[23] Harvnb
[24] Harvn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