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로다 나오야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로다 나오야스는 에도 시대 후기의 무사로, 구루리번의 8대 번주이다. 1819년 구로다 나오요시의 첩복 장남으로 태어나, 구로다 나오마사의 양자가 되었고, 1854년 나오마사의 사망으로 가독을 상속받았다. 막부 말기 혼란기에 에도 시내 치안 담당, 오사카성 야마자토마루 가반을 역임하며 해상 방어 강화에 힘썼다. 1866년 양자 구로다 나오요이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으며, 1876년 5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부모, 배우자, 자녀, 양자 등 가족 관계를 포함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루리번주 - 구로다 나오즈미
    구로다 나오즈미는 혼다 마사노리의 차남으로 태어나 구로다 나오쿠니의 양자가 되어 누마타 번주가 되었으며, 구루리 번으로 이봉된 후 종4위하로 승진했으나 주자반 직을 해임당하고 71세에 사망했다.
  • 구루리번주 - 쓰치야 다다나오
    쓰치야 다다나오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이 되어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섬겼으며, 가즈사 구루리 번의 번주가 되었고, 그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만나는 장면을 묘사했다는 설이 있는 '후지 삼보 세이켄지 그림 병풍'이 전해진다.
  • 후다이 구로다씨 - 누마타번
    누마타번은 에도 시대 고즈케국 누마타 지역에 존재했던 번으로, 사나다 씨, 혼다 씨, 구로다 씨를 거쳐 도키 씨가 다스렸으며 마지막 번주 도키 요리오키가 보신 전쟁에서 신정부군에 협력하여 폐번치현 이후 군마현에 편입되었다.
  • 후다이 구로다씨 - 소 다케유키
    소 다케유키는 일본에서 태어나 도쿄 제국대학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덕혜옹주와 결혼했으나 이혼 후 재혼하여 레이타쿠 대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윤리학 연구, 번역, 저술 활동을 하다가 1985년에 사망했다.
  • 1876년 사망 - 와일드 빌 히콕
    제임스 버틀러 "와일드 빌" 히콕은 미국 서부 개척 시대의 명사수 총잡이이자 법 집행관, 정찰병으로, 여러 총격전과 살인 사건으로 악명을 떨쳤으며, 포커 게임 중 살해당해 "죽은 자의 손"과 함께 서부의 상징적인 인물로 남았다.
  • 1876년 사망 - 해리엇 마티노
    해리엇 마티노는 19세기 영국의 저술가, 사회개혁가, 사회학자로, 경제학 이론 대중화, 실증철학 영어권 소개, 노예제 비판 등 사회 개혁에 기여했다.
구로다 나오야스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씨명구로다 씨
이름구로다 나오야스
원어 이름黒田直和
아명모리노죠(森之丞)
초명나오타다(直質)
개명나오야스(直和)
시대에도 시대 후기 ~ 메이지 시대
출생분세이 2년 음력 6월 21일(1819년 8월 11일)
사망메이지 9년(1876년) 1월 9일
묘소사이타마현 한노시의 노닌지
관위종5위하, 야마토노카미, 아와지노카미, 부젠노카미, 이즈미노카미, 이세노카미
가족 관계
아버지구로다 나오요시(黒田直侯)
양아버지구로다 나오치카(黒田直静)
형제나오카즈(直和), 도쿠나가 나오타카(徳永直挙)
배우자정실: 오타 스케모토(太田資始)의 딸
계실: 이타쿠라 가쓰아키라(板倉勝明)의 딸
자녀구로다 요리유키(黒田和志, 소 요시요리(宗義和)의 6남))의 정실
양자: 구로다 나오타카(黒田直養)
정치 경력
막부에도 막부
주군해당사항 없음
가즈사 구루리번주
재임 기간1854년 ~ 1866년

2. 생애

덴포 9년(1838년) 7월, 아버지의 양자로 제7대 번주가 된 구로다 나오즈미양자가 되었다. 고카 3년(1846년) 12월, 종5위하 야마토노카미에 서위, 임관되었고, 가에이 원년(1848년) 10월, 아와지노카미로 전임되었다. 가에이 7년(1854년) 나오즈미가 사망하면서 가독을 이었다. 같은 해 6월 27일, 부젠노카미로 전임되었고, 안세이 2년(1855년) 6월, 이름을 '''나오스'''(直質)에서 '''나오카즈'''로 개명했다. 안세이 5년(1858년) 6월, 이세노카미로 전임되었다.

막말 동란기인 분큐 3년(1863년)부터 에도 시내의 치안이 악화되자 단속역을 맡았고, 같은 해 4월에는 오사카성 야마자토마루 가반에 임명되었다. 그 밖에도 외국 선박에 대비해 해상 방어 강화에 힘썼다.

게이오 2년(1866년) 4월 2일, 병 때문에 가독을 양자인 나오나가(양부 나오즈미의 조카)에게 물려주고 은거하여 삭발하고 쇼카쿠라고 호했다. 메이지 9년(1876년) 1월 9일, 아사쿠사의 도리고에 별저에서 58세로 사망했다.

2. 1. 출생과 가독 상속

분세이 2년(1819년) 6월 21일, 에도에서 구루리번 제6대 번주 구로다 나오요시의 첩복 장남으로 태어났다.

덴포 9년(1838년) 7월, 아버지의 양자로 제7대 번주가 된 구로다 나오마사의 양자가 되었다. 고카 3년(1846년) 12월, 종5위하 야마토노카미에 서위·임관하였다. 가에이 원년(1848년) 10월, 아와지노카미로 전임되었다.

가에이 7년(1854년), 양부 나오마사가 사망하면서 가독을 상속받고 제8대 번주가 되었다. 같은 해 6월 27일, 부젠노카미로 전임되었다. 안세이 2년(1855년) 6월, 이름을 나오미쓰(直質)에서 나오카즈(直和)로 개명하였다. 안세이 5년(1858년) 6월, 이세노카미로 전임되었다.

2. 2. 막부 말기 활동

막말 동란기인 분큐 3년(1863년)부터 에도 시내의 치안이 악화되자 단속역을 맡았고, 같은 해 4월에는 오사카성 야마자토마루 가반(大坂城山里丸加番일본어)에 임명되었다. 그 밖에도 외국 선박에 대비해 해상 방어 강화에 힘썼다.

2. 3. 은거와 사망

게이오 2년(1866년) 4월 2일, 건강이 좋지 않아 가독을 양자인 나오나가(구로다 나오즈미의 조카)에게 물려주고 은거하였다. 은거 후에는 삭발하고 쇼카쿠(松閣)라는 호를 사용했다. 메이지 9년(1876년) 1월 9일, 아사쿠사의 도리고에 별저에서 5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가족 관계

둘째 딸 레이코(禮子일본어, 1863~1925)는 1877년에 구로다 나오요시의 가독을 이어 그의 사위로 무네요시와 6남 가즈시를 들여 구로다 가문을 계승하게 했다. 나오야스의 넷째 아들 소 다케유키조선 고종의 딸 덕혜옹주와 결혼했다.[1]

3. 1. 부모


  • 구로다 나오타카 (친부)
  • 구로다 나오시즈 (양부)

3. 2. 배우자


  • 정실: 오타 스케모리의 딸 오타 탄코
  • 계실: 이타쿠라 카츠아키의 딸 이타쿠라 라쿠코

3. 3. 자녀

차녀: 구로다 린코[1] - 구로다 나오야스의 양녀이자 자작 구로다 카즈시의 부인.

3. 4. 양자

구로다 나오코의 장남이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