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문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문소는 황지천이 조선 누층군 막골층의 암벽을 침식하여 형성된 지형으로, 동굴이 연결되어 생성되었다. 신생대 제4기 이후 감입 곡류 하천인 황지천이 막골층을 침식하면서 구문소가 생겼으며, 이와 동시에 서쪽의 사군드리 마을로 흐르던 하천은 단절되어 구하도로 남게 되었다. 구문소는 지질학적 특징과 함께 용의 전설 등 다양한 전설과 문화적 가치를 지니며 관광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습지 - 국립습지센터
    국립습지센터는 습지생태자원 관리, 습지보호지역 지원, 전국 내륙 습지 조사 등을 수행하며 습지 훼손 방지 및 복원, 교육, 홍보, 네트워크 구축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 대한민국의 습지 - 새만금 간척 사업
    새만금 간척 사업은 전라북도 일대에서 동북아 경제 중심지 개발을 목표로 1991년에 시작되어 세계 최장 방조제 완공 이후 농지 확보, 첨단 산업 등 복합적인 개발을 추진했으나, 환경 파괴 우려와 2023년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 파행으로 비판을 받았다.
  • 태백시의 문화유산 - 철암역
    철암역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영동선의 철도역으로, 쇠돌바위에서 유래된 역명을 가지며, 무궁화호, 누리로, 백두대간협곡열차, 동해산타열차 등이 정차하는 곳이다.
  • 태백시의 문화유산 - 검룡소
    검룡소는 강원도 태백시 금대봉 기슭에 위치한 한강의 발원지이며, 하루 2천 톤 이상의 지하수가 용출되고 9°C의 수온을 유지하며, 이무기 전설을 간직하고 2010년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 낙동강 - 낙동강물환경연구소
    낙동강물환경연구소는 낙동강 유역의 수질 환경 연구를 수행하는 국립환경과학원 소속 기관으로, 하천 및 호소의 수질오염 관련 조사 및 연구, 환경생태 홍보 및 교육, 물환경측정망 운영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 낙동강 - 낙동강유역환경청
    낙동강유역환경청은 1980년 부산환경측정관리사무소로 시작하여 부산, 울산, 경상남도를 관할하며 환경 보전, 수질 관리 등 다양한 환경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구문소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Taebaek Gumunso Jeongi Gosaengdae Jicheung mit Hasik Jihyeong
지정 번호417
지정일2000년 4월 28일
소재지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동점동 산10-1
구문소
구문소

2. 지질학적 특징

구문소 지역은 전기 고생대 조선 누층군오르도비스기에 형성된 막골층직운산층이 분포하는 곳이다. 이들 지층은 다양한 석회암과 돌로스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당시의 환경을 유추할 수 있는 여러 지질 구조 및 퇴적 구조가 잘 보존되어 있다.

2. 1. 막골층

구문소 계곡 지역은 전기 고생대 5억년 조선 누층군오르도비스기 분포지역으로서, 특히 막골층 분포지역이다. 막골층의 다양한 석회암과 돌로스톤 등에는 여러 가지 고환경을 유추하게 하는 지질구조와 퇴적구조가 잘 보존되어 있고, 유수에 의한 침식지형(자연 동굴, 사행천 등)이 주변 자연경관과 잘 어우러져 노출되어 있어서 "고환경 및 침식 지형"으로 천연기념물 제417호로 지정되어 있다.

2. 2. 직운산층

직운산층은 막골층과 함께 구문소 지역의 지질학적 특징을 이룬다. 조선 누층군오르도비스기에 해당하며, 막골층직운산층이 분포한다.

2. 3. 고환경 및 침식 지형

유수에 의한 침식으로 자연 동굴, 사행천 등의 지형이 형성되었다. 구문소 계곡 지역은 전기 고생대 5억년 조선 누층군오르도비스기 분포지역으로서, 특히 막골층직운산층의 분포지역이다. 막골층의 다양한 석회암과 돌로스톤 등에 여러 가지 고환경을 유추하게 하는 지질구조와 퇴적구조가 잘 보존되어 있고, 유수에 의한 침식지형(자연 동굴, 사행천 등)이 주변 자연경관과 잘 어우러져 노출되어 있다.

구문소는 강물이 산을 뚫고 지나가며 큰 돌문을 만들고 그 아래 깊은 물웅덩이가 생겼다는 뜻의 '구무소'를 한자로 적은 것으로 '구무'는 옛말로 구멍이나 굴을 뜻하고 '소'는 한자로 물웅덩이를 뜻한다. 강이 산을 뚫고 흐른다고 해서 '뚜루내'라고도 한다. 구문소는 황지천과 철암천이 만나는 곳이다. 황지천과 철암천의 두 물길이 원래 지하에 있던 동굴과 만나 점차 동굴을 넓혔고, 지상에도 동굴 모양의 지형을 만들었다. 구문소의 독특한 지형을 보면 5억 년 전 한반도 지형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 수 있다. 바다 환경에서 만들어진 석회암층에 나타난 다양한 퇴적 구조와 삼엽충 등 옛 생물의 화석이 잘 보존되어 있어 지질 과학 체험 현장으로서의 가치가 높다.

3. 구하도 지형

구문소 구하도 안내 표지판


감입 곡류 하천 황지천이 신생대 제4기 이후 조선 누층군 막골층 암벽 사면을 침식하면서 구문소가 생성되었다.

3. 1. 구하도 형성 과정

감입 곡류 하천 황지천은 신생대 제4기 이후 조선 누층군 막골층의 암벽 사면을 침식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마침내 동굴이 생성되고 바로 연결되어 구문소가 생겨난 것이다. 동시에 서쪽의 사군드리 마을로 흐르던 하천은 단절되어 더 이상 물이 흐르지 않는 구하도로 남게 되었다.

4. 전설 및 역사

구문소에는 백룡과 청룡이 낙동강 영역을 두고 다투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4. 1. 용의 전설

강원도 맑은 냇가인 황지천과 철암천 두 강가에 백룡과 청룡이 살면서 낙동강의 영역 싸움을 위해 다투었고 쉽게 승부가 나지 않았다. 황지천의 백룡이 꾀를 내어 두 강을 가로막는 이 산 석벽을 뚫어 기습을 하여 청룡을 이기고 하늘로 승천했다는 구멍이다.

The white dragon and the blue dragon were fighting for territory in the rivers of the two regions, and the white dragon devised a trick and made a sudden attack through the mountains.|백룡과 청룡이 두 지역의 강에서 영역 다툼을 벌였는데, 백룡이 꾀를 내어 산을 뚫어 기습했다.영어

4. 2. 오복동천자개문

1988년 석탄산업 합리화 조치 이전, 태백 지역은 탄광 산업으로 번영을 누렸다. 당시 사람들은 오복을 찾아 태백으로 몰려들었고, 검은 오복동 시대는 영원할 것 같았다. 그러나 1988년 12월 21일, 에너지 합리화 정책 시행으로 오복동 문은 닫혔고 잿빛만 남은 채 사라졌다. 하지만 태백을 방문하면 철암역, 황지, 상장동에서 그 추억이 부활한 것을 볼 수 있다. 사람들은 자시에 열리는 문, 오복동 입구에 이를 새겨두었다. "五福洞天子開門 오복동천자개문"은 1988년 김강자가 새긴 글귀이다.

오복동천자개문은 닫힌 오복동 시대를 기억하고, 현재는 관광지로 부활한 태백을 상징한다.

5. 문화 및 관광

구문소는 강물이 산을 뚫고 지나가며 큰 돌문을 만들고 그 아래 깊은 물웅덩이가 생겼다는 뜻의 '구무소'를 한자로 적은 것이다. '구무'는 옛말로 구멍이나 굴을 뜻하고 '소'는 한자로 물웅덩이를 뜻한다. 강이 산을 뚫고 흐른다고 해서 '뚜루내'라고도 한다. 구문소는 황지천과 철암천이 만나는 곳이다. 황지천과 철암천의 두 물길이 원래 지하에 있던 동굴과 만나 점차 동굴을 넓혔고, 지상에도 동굴 모양의 지형을 만들었다. 구문소의 독특한 지형을 보면 5억 년 전 한반도 지형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 수 있다. 바다 환경에서 만들어진 석회암층에 나타난 다양한 퇴적 구조와 삼엽충 등 옛 생물의 화석이 잘 보존되어 있어 지질 과학 체험 현장으로서의 가치가 높다.

구문소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 '''오복동천자개문(五福洞天子開門)''' - 1988 김강자 새김

: 일제강점기 태백시에 탄광 시대가 도래하여 석탄이 발견되고 무주공산 삼도공허지지였던 태백에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오복을 찾는 무리들이 마을을 만들었고 검은 오복동 시대는 영원무궁할 것 같았다. 1988년 12월 21일 그 오복동문이 닫혔다. 에너지 합리화 정책이 전격 시행되었고 잿빛만 남은 오복동은 사라졌다. 태백을 방문하면 철암역, 황지, 상장동에서 그 추억이 고스란히 부활한것을 볼수 있다. 사람들은 이곳 자시에 열리는 문 오복동 입구에 새겨두었다.

  • '''용의 전설(Legend of the Dragon)'''

: 강원도 맑은 냇가인 황지천과 철암천 두 강가에 백룡과 청룡이 살면서 낙동강의 영역 싸움을 위해 다투었고 쉽게 승부가 나지 않았다. 황지천의 백룡이 꾀를 내어 두 강을 가로막는 이산 석벽을 뚫어 기습을 하여 청룡을 이기고 하늘로 승천했다는 구멍이다.

The white dragon and the blue dragon were fighting for territory in the rivers of the two regions, and the white dragon devised a trick and made a sudden attack through the mountains.영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