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스타프 슈몰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스타프 슈몰러(Gustav von Schmoller, 1838-1917)는 독일의 경제학자이자 역사학자이며, 독일 역사학파 경제학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튀빙겐 대학교에서 경제학, 법학, 역사 등을 공부하고, 할레 대학교,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의 교수를 역임했다. 슈몰러는 경제 현상을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고전 경제학 및 오스트리아 학파의 공리-연역적 접근 방식에 반대했다. 그는 독일 사회정책학회를 창설하고, 사회 개혁 운동을 주도했으며, 경제학의 윤리적 측면과 사회 정의를 강조했다. 그러나 1900년 저서에서 인종 간의 계층적 질서를 주장하여 현대적 관점에서 비판을 받기도 했다.
구스타프 슈몰러는 하일브론에서 뷔르템베르크 공무원의 아들로 태어났다. 튀빙겐 대학교에서 경제학, 법학, 역사, 공공 행정을 융합한 Kameralwissenschaft|카메라학de을 공부했다(1857-1861). 1861년 뷔르템베르크 통계청에 임명되었다.[4]
2. 생애
1875년부터 1910년까지 슈몰러가 학문적 정책, 경제, 사회 및 재정 개혁, 그리고 경제학을 학문 분야로 만드는 데 미친 영향력[6]은 매우 크다. 그는 독일 해군력 증강과 독일 식민 제국 확장을 공개적으로 지지했다.
2. 1. 초기 생애
슈몰러는 1838년 뷔르템베르크 왕국의 하일브론에서 공무원의 아들로 태어났다.[4] 튀빙겐 대학교에서 경제학, 법학, 역사, 공공 행정을 융합한 '카메라학(Kameralwissenschaft)'을 공부했다. 1861년 뷔르템베르크 통계청에 임명되었다.[4]
2. 2. 학문적 경력
슈몰러는 할레 대학교 (1864–1872),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1872–1882),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1882–1913) 교수를 역임했다.[5] 1881년부터 『슈몰러 연보』(독일 제국의 법률, 행정 및 국민경제 연감)를 편집, 간행했다. 아돌프 바그너, 루요 브렌타노와 함께 독일 사회정책학회를 창설하고, 1890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회장을 맡았다. 1899년 이후, 프로이센 귀족원에서 베를린 대학교를 대표했다. 1907년 귀족 작위를 받았다.
3. 사상과 활동
슈몰러는 역사학파 경제학의 '젊은' 지도자로서, 경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귀납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경제 성과와 현상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비교를 통한 신중한 연구를 요구했다.[6]
카를 멩거의 1883년 저서 《사회과학 및 정치경제학 방법론 연구》에 대한 비판적인 서평을 통해 오스트리아 학파의 시대착오성을 지적했는데, 이 책은 역사학파의 방법을 공격했다. 이로 인해 ''방법론 논쟁(Methodenstreit)''이라고 알려진 논쟁이 벌어졌다.[6] 그는 경제 과정과 제도의 진화, 경제학의 문화적 특수성과 경제 교환을 형성하는 가치의 중요성에 대한 주장을 펼쳤다.
슈몰러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사회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경제 및 사회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무엇보다도 사회 개혁가였다.[8] 그는 강단 사회주의의 대표적인 논자로서,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회정책학회를 통해 사회 개혁 운동을 주도했다.
슈몰러는 심리학과 윤리학을 정치경제학의 핵심적인 측면으로 보았다.[7] 그는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에 비판적이었다.[7]
1980년대 이후 슈몰러의 연구는 재평가되었고, 이단 경제학, 개발 경제학, 행동 경제학, 진화 경제학, 신제도주의 경제학의 일부 분야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는 오랫동안 경제사의 하위 분야와 사회학 분야에 영향을 미쳐왔다.
슈몰러의 저서들은 대부분 경제사 및 정책과 관련 있으며, 다음을 포함한다.
1881년 이후, 슈몰러는 ''독일 제국의 법률, 행정 및 국민경제 연감''의 편집인이었다. 1878년부터 1903년까지 그는 《국가 및 사회 과학 연구》라는 제목의 일련의 단행본을 편집했다. 그는 또한 슈몰러와 지벨의 주도로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에서 수행한 광범위한 프로이센 역사 자료 모음인 ''Acta Borussica''의 편집자이자 주요 기고가였다.
슈몰러가 오늘날 널리 알려지지 않은 이유 중 하나는 그의 책과 논문 대부분이 번역되지 않았기 때문이다.[1]
3. 1. 역사학파 경제학
슈몰러는 역사학파 경제학의 '젊은' 지도자로서, 고전 경제학과 오스트리아 학파의 공리-연역적 접근 방식에 반대했다.[6] 경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귀납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경제 성과와 현상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비교를 통한 신중한 연구를 요구했다.[6]
카를 멩거의 1883년 저서 《사회과학 및 정치경제학 방법론 연구》에 대한 비판적인 서평을 통해 오스트리아 학파의 시대착오성을 지적했는데, 이 책은 역사학파의 방법을 공격했다. 이로 인해 ''방법론 논쟁(Methodenstreit)''이라고 알려진 논쟁이 벌어졌다.[6]
슈몰러는 경제 과정과 제도의 진화, 경제학의 문화적 특수성과 경제 교환을 형성하는 가치의 중요성에 대한 주장을 펼쳤는데, 이는 일부 고전 경제학 및 대부분의 신고전학파 경제학자와 뚜렷한 대조를 보였다. 그 결과 1930년대까지 그와 그의 학파는 경제학의 주류에서 벗어나 독일에서는 프라이부르크 학파의 후계자에 의해 대체되었다.
3. 2. 사회 개혁과 강단 사회주의
슈몰러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사회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경제 및 사회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무엇보다도 사회 개혁가였다.[8]
그는 강단 사회주의의 대표적인 논자로서,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회정책학회를 통해 사회 개혁 운동을 주도했으며, 그의 영향력은 유럽 전역, 미국의 진보주의 운동, 메이지 시대 일본의 사회 개혁가들에게까지 미쳤다.[8] 그의 제자 및 추종자로는 윌리엄 애슐리, W. E. B. 듀보이스, 리처드 T. 엘리 등이 있다.
3. 3. 윤리적 경제학과 정의
슈몰러는 심리학과 윤리학을 정치경제학의 핵심적인 측면으로 보았다.[7] 그는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에 비판적이었다.[7] 슈몰러는 경제학이 단순한 부의 축적을 넘어 사회 정의와 윤리적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막스 베버와의 가치 판단 논쟁을 통해 경제학의 가치 중립성 문제를 제기했다.
4. 영향력
구스타프 슈몰러는 오랫동안 경제사와 사회학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6] 1980년대 이후 그의 연구는 재평가되었고, 이단 경제학, 개발 경제학, 행동 경제학, 진화 경제학, 신제도주의 경제학의 일부 분야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4. 1. 현대 경제학
1980년대 이후 슈몰러의 연구는 재평가되었고, 이단 경제학, 개발 경제학, 행동 경제학, 진화 경제학, 신제도주의 경제학의 일부 분야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는 오랫동안 경제사와 사회학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6]5. 한계와 비판
구스타프 슈몰러는 《국민경제학 원리》의 "인종과 민족" 장에서 인종에 대한 차별적인 주장을 했다.[10][7] 사회정책협회는 에릭 그리머-솔렘의 의견을 바탕으로 슈몰러 메달 수여를 일시 중단하고 그의 저서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11][12][13]
5. 1. 인종주의적 관점
슈몰러는 1900년에 출간한 《국민경제학 원리》에서 "인종과 민족"이라는 장을 통해 인종 간의 계층적 질서를 경제의 기초로 제시했는데, 이는 현대적 관점에서 명백한 인종주의적 편견으로 비판받는다.[10][7] 이러한 이유로 사회정책협회는 2021년부터 2026년까지 슈몰러 메달 수여를 중단하고, 그의 저서 해당 부분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11][12]이 결정은 에릭 그리머-솔렘의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내려졌다.[13]
6. 주요 저서
- Der französiche Handelsvertrag und seine Gegner|프랑스 통상 조약과 그 반대자들de (1862)
- Zur Geschichte der deutschen Kleingewerbe im 19. Jahrhundert|19세기의 독일 소규모 사업 역사de (1870)
- Strassburg zur Zeit der Zunftkämpfe|길드 투쟁 시기의 스트라스부르de (1875)
- Zur Litteraturgeschichte der Staats- und Sozialwissenschaften|국가 및 사회 과학 문헌사de (1888)
- Umrisse und Untersuchungen zur Verfassungs-, Verwaltungs-, und Wirtschaftsgeschichte|헌법, 행정 및 경제사 개요 및 연구de (1898)
- Grundriss der allgemeinen Volkswirthschaftslehre|일반 국민경제학 개요de (1900–1904)[9]
- Ueber einige Grundfragen der Sozialpolitik|사회 정책에 관한 몇 가지 기본 문제에 대하여de (1904)
1881년 이후, 슈몰러는 ''독일 제국의 법률, 행정 및 국민경제 연감''의 편집인이었다. 1878년부터 1903년까지 그는 《국가 및 사회 과학 연구》라는 제목의 일련의 단행본을 편집했다. 그는 또한 슈몰러와 지벨의 주도로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에서 수행한 광범위한 프로이센 역사 자료 모음인 ''Acta Borussica''의 편집자이자 주요 기고가였다.
슈몰러가 오늘날 널리 알려지지 않은 이유 중 하나는 그의 책과 논문 대부분이 번역되지 않았기 때문이다.[1] 당시 영미 경제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독일어를 읽었는데, 이는 당시 지배적인 학문 언어였다. 독일어가 쇠퇴하면서 번역되지 않은 텍스트는 독일어 지식이 없는 독자에게는 접근할 수 없게 되었다. 두 가지 예외는 다음과 같다.
- ''상업 시스템과 그 역사적 중요성''(The Mercantile System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뉴욕: Macmillan, 2nd ed. 1910. 이 책은 슈몰러의 더 방대한 저서 《프리드리히 대왕의 경제 정책 연구》의 한 장으로, 1884년에 출판되었다. 이 장은 윌리엄 J. 애슐리에 의해 번역되었고 1897년에 위의 영어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https://books.google.com/books?id=autMAAAAIAAJ 온라인 에디션
- "정치 경제학에서의 정의의 개념." ''미국 정치사회과학 아카데미 연보''. 4 (1894): 697–737. https://www.jstor.org/stable/10.2307/1008698 JSTOR에서
그의 ''대작''은
- https://archive.org/details/grundrissderall00schmgoog ''일반 국민경제학 개요''[1], 라이프치히: Duncker & Humblot, 1900–1904.
슈몰러에 관한 일본어 번역 서적은 다음과 같다.
- 『법 및 국민경제의 근본 문제』, 토다 타케오 역, 유비카쿠, 1939년
- 『중상주의와 그 역사적 의의』, 마사키 카즈오 역, 미라이샤, 1971년
- 『독일 중세 도시의 성립과 길드 투쟁』, 세하라 요시오 역, 미라이샤, 1975년
- 『국민경제, 국민경제학 및 방법』, 타무라 신이치 역, 니혼케이자이 효론샤, 2002년 - ISBN 4818814350
참조
[1]
논문
Gustav Schmoller und die Volkswirtschaftslehre
[2]
서적
The Rise of Historical Economics and Social Reform in Germany, 1864-1894
Clarendon Press
2003
[3]
논문
Gustav Schmoller's Historico-Ethical Political Economy : ethics, politics and economics in the younger German Historical School, 1860-1917
2000
[4]
간행물
Schmoller, Gustav
[5]
문서
"Encyclopedia of Law and Society: American and Global Perspectives", 3rd ed., "Schmoller, Gustav von."
[6]
논문
Review
[7]
논문
Schmoller's Political Economy
https://www.journals[...]
1904
[8]
서적
The Rise of Historical Economics and Social Reform in Germany, 1864–1894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9]
논문
Grundriss der Allgemeinen Volkswirtschaftslehre . Von Gustav Schmoller
https://www.journals[...]
1902
[10]
문서
Deutsches Textarchiv – Schmoller, Gustav: Grundriß der Allgemeinen Volkswirtschaftslehre. Bd. 1. Leipzig, 1900.
https://www.digitale[...]
[11]
웹사이트
Gustav-Schmoller-Medaille
https://www.socialpo[...]
2021-06-21
[12]
뉴스
Gustav Schmoller und das R-Wort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2021-06-21
[13]
웹사이트
Cookie Consent {{!}} Verein für Socialpolitik e.V
https://www.socialpo[...]
2024-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