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부산과학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부산과학관은 부산시 과학관 유치 운동을 계기로 설립되어, 2013년 착공하여 2015년 6월에 준공되었다. 3개의 상설전시관, 어린이관 등을 갖춘 과학기술 체험관으로, 자동차, 조선, 에너지 등 동남권 주력 산업을 주제로 한다. 대한민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 출연하는 국립과학관법인으로 운영되며, 2019년 국제과학관학술회의에서 과학 커뮤니케이션상을 수상하는 등 교육 분야에서도 성과를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과학 박물관 - 국립과천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은 2008년 경기도 과천시에 개관한 미래지향적 디자인의 과학관으로, 기초과학, 자연사, 전통과학, 첨단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천문우주관과 야외 전시관을 포함하고 전국 과학관 네트워크 구축 사업을 수행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에 있다. - 대한민국의 과학 박물관 - 국립광주과학관
국립광주과학관은 과학관 설립 법률에 따라 2013년 개관하여 과학 전시 및 교육, 홍보를 담당하며 특정일에 휴관하는 과학관이다. - 부산광역시의 박물관 -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며,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오륜대 수도원 설립을 기념하여 1982년 개관, 한국 천주교회사 관련 유물 및 전시를 제공하고 2009년 박물관으로 정식 등록되었다. - 부산광역시의 박물관 - 부산근대역사관
부산근대역사관은 일제강점기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사용된 건물을 활용하여 2003년 7월 3일에 개관한 박물관이며, 부산의 근대 개항부터 일제강점기, 한미 관계 등과 관련된 전시를 제공하고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9호로 지정되어 있다. - 기장군의 건축물 - 해동용궁사
해동용궁사는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바닷가 사찰로, 사찰 측은 1376년 창건 및 임진왜란 소실 후 1930년대 재건, 1974년 개칭을 주장하나 지역 사회는 1970년대 신축 사찰 의혹을 제기하며, 2021년 화엄사의 말사로 등록되었다. - 기장군의 건축물 - 정관도서관
정관도서관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에 위치한 도서관으로, 열람실, 자료실, 멀티미디어실, 강의실, 어린이자료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강의실의 강좌 및 교육 프로그램은 지역 주민의 문화 생활 증진에 기여하고 정치인들의 소통 창구로 활용된다.
국립부산과학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국립부산과학관 |
유형 | 과학박물관 |
국가 | 대한민국 |
소재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산관광6로 59 |
개관일 | 2015년 12월 11일 |
운영자 |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관장 | 김영환 |
홈페이지 | 국립부산과학관 홈페이지 |
영어 | |
영어 이름 |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
2. 설립 배경 및 추진 과정
2006년 부산시민 114만 명의 과학관 유치 서명운동을 계기로 국립부산과학관 건립이 추진되었다.[2] 2010년 한국개발연구원의 타당성 조사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초기 계획이 수립되었으나,[3] 이후 계획이 일부 변경되어 미래창조과학부와 부산시청의 예산 투입으로 진행되었다. 2013년에 착공하여 2015년 6월 준공하였으며, 같은 해 12월 11일 정식 개관하였다.[4][2] 국립부산과학관은 대한민국 동남권의 주력 산업인 자동차, 조선, 에너지, 방사선 의학 등을 주요 주제로 하는 과학기술 체험관으로 조성되었다.[4]
2. 1. 부산시민 과학관 유치 운동 (2006)
국립부산과학관은 2006년 부산시민 114만 명이 참여한 과학관 유치 서명운동을 계기로 설립되었다.[2]2. 2. 한국개발연구원 타당성 조사 (2010)
한국개발연구원이 2010년 시행한 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과 정책 일관성 분야에서 매우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에 따라 2010년 계획에서는 공사비 총 1496억원 중 국비 1069억원이 투입되어, 지하 1층, 지상 7층 규모로 2013년 완공될 계획이었다.[3]2. 3. 계획 변경 및 착공 (2013)
2010년 한국개발연구원이 시행한 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과 정책 일관성 분야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에 따라 초기 계획에서는 총 공사비 1496억원 중 국비 1069억원을 투입하여, 지하 1층, 지상 7층 규모로 2013년 완공을 목표로 했다.[3]그러나 이후 계획이 축소 변경되어, 미래창조과학부와 부산시청이 국비 852억원, 지방비 365억원으로 총 1217억원을 투입하는 것으로 조정되었다. 변경된 계획에 따라 부지 115500m2에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2013년에 착공하였다.[4][2]
2. 4. 준공 및 개관 (2015)
미래창조과학부와 부산시청이 국비 8520억원, 지방비 3650억원으로 총 1.217조원을 투입하여 건립하였다. 2013년 착공하였으며, 부지 115500m2에 지상 3층, 지하 1층 규모의 건물로 2015년 6월 준공하였다.[4] 2015년 12월 1일 임시개관을 거쳐 같은 해 12월 11일 정식으로 개관하였다. 건물 내부에는 3개의 상설전시관과 어린이관, 천체투영관, 야외전시장이 갖춰져 있다.[4][2] 대한민국 동남권의 주력 산업인 자동차, 조선, 에너지, 방사선 의학 등을 주제로 하는 과학기술 체험관으로 조성되었다.[4]3. 운영 및 성과
국립부산과학관은 과학관육성법 개정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 출연하는 특별법인 형태로 운영되며, 시민들의 후원과 기부를 통해 운영되는 시민참여형 과학관이기도 하다.[5][6] 또한 개관 이후 과학 커뮤니케이션 및 교육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7][8]
3. 1. 운영 방식
2015년 2월 16일 대한민국 국회에서 과학관육성법 개정안이 통과됨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출연하는 특별법인인 '국립과학관법인'으로 운영된다. 또한 후원회 운영이나 기부금 모집을 할 수 있는 시민참여형 과학관으로 운영되고 있다.[5][6]3. 2. 주요 성과 및 수상 경력
국립부산과학관은 개관 이후 다양한 성과를 통해 과학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2019년 ASPAC 컨퍼런스에서 '과학 커뮤니케이션상'을 수상하였으며,[7] 부산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 3년 연속 ‘교육메세나탑’ 수상 및 대한민국 교육부 ‘교육 기부 우수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교육 분야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았다.[8]3. 2. 1. 2019 ASPAC 컨퍼런스 과학 커뮤니케이션상 수상
2019년 9월 5일 국립부산과학관은 UN의 지속가능 개발 목표(SDGs)에 부합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호주 퀸즐랜드 과학관에서 개최된 국제과학관학술회의(ASPAC) ‘2019 ASPAC 컨퍼런스’의 크리에이티브 어워즈에서 ‘애니멀피디아’ 프로젝트로 '과학 커뮤니케이션상'을 수상하였다.[7]3. 2. 2. 교육메세나탑 수상 및 교육기부 우수기관 선정
부산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 3년 연속으로 ‘교육메세나탑’을 수상하였고, 대한민국 교육부로부터 ‘2020 대한민국 교육 기부 우수기관’에 선정되기도 하였다.[8]참조
[1]
뉴스
국립부산과학관 11일 개관
https://news.naver.c[...]
뉴스1
[2]
뉴스
‘부울경 과학 꿈나무의 염원’ 부산국립과학관 개관
http://daily.hankook[...]
데일리한국
2015-11-25
[3]
뉴스
국립부산과학관 하반기 착공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10-06-30
[4]
뉴스
국립부산과학관 11일 개관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5-12-10
[5]
뉴스
국립부산과학관 관련법, 국회 본회의 통과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5-02-16
[6]
뉴스
국립부산과학관 오늘 개관
http://news.kbs.co.k[...]
KBS
2015-12-11
[7]
뉴스
국립부산과학관, ‘2019 ASPAC 크리에이티브 어워즈’ 국내 최초 수상
https://ilyo.co.kr/?[...]
일요신문
2019-09-08
[8]
뉴스
국립부산과학관 5돌…동남권 대표 과학문화전당으로 성장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20-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