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는 2024년 7월에 열린 국민의힘의 지도부 선출을 위한 행사이다. 당대표, 최고위원, 청년최고위원을 선출했으며, 일반 국민 여론조사 20%를 반영하고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결선투표를 실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당대표 선거에서는 한동훈 후보가, 최고위원에는 장동혁, 김재원, 인요한, 김민전 후보가, 청년최고위원에는 진종오 후보가 각각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4년 정치 - 조 바이든의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사퇴
    조 바이든의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사퇴는 건강 문제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토론 부진으로 인해 2024년 7월 21일 후보직을 철회한 사건으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을 후계자로 지지했다.
  • 2024년 정치 - 2024년 대한민국 비상계엄
    2024년 대한민국 비상계엄은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의 입법독재와 자유민주주의 체제 전복 기도를 주장하며 대한민국 전역에 비상계엄을 선포한 사건으로, 계엄군이 국회를 마비시키고 선관위를 장악했으나 국회의 해제 요구와 비판 여론에 윤 대통령이 계엄령을 해제하고 내란 혐의로 수사를 받게 되면서 헌정사에 오점을 남겼다.
  • 전당대회 -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는 당 내부 사항을 결정하고 지도부를 선출하는 중국공산당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서, 중앙위원회를 감독하며 중국 공산당 발전과 현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전당대회 - 더불어민주당 제5차 전당대회
    더불어민주당 제5차 전당대회는 대선 및 지방선거 참패 후 당 재건과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해 개최되어 이재명이 당 대표로 선출되었으며, 당내 통합과 혁신에 대한 기대와 계파 갈등 심화에 대한 우려를 동시에 낳았다.
  • 국민의힘 - 정진석 (정치인)
    정진석은 1960년 충청남도 공주 출생으로 한국일보 기자 출신이며, 16, 17, 18, 20, 21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이명박 정부에서 대통령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으며, 20대 국회에서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다.
  • 국민의힘 - 추경호
    추경호는 경상북도 달성군 출생으로 고려대학교와 미국 오리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행정고시 합격 후 경제 관료로 활동하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국무조정실장 등을 역임하고 제20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현재 국민의힘 원내대표이다.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 엠블럼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 엠블럼
선거 정보
선거 종류국민의힘 전당대회
선거일2024년 7월 23일
선거 방식대의원 현장투표 70% + 일반 당원 ARS 투표 30%
투표율미정
선거 결과
당대표미정
최고위원미정
청년최고위원미정
주요 인물
선거관리위원장장동혁
김재원
인요한
김민전
후보미정
장소
장소킨텍스(KINTEX,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2. 지도부 선출 방식

6월 13일, 비상대책위원회는 이전 전당대회 직전 폐지되었던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다시 부활시켜 지도부 선출에 20%를 반영하고, 당대표 선거에서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결선투표를 실시하기로 하는 당헌을 확정했다.[1]

2. 1. 선거 절차

서병수가 선거관리위원장을, 이헌승이 전당대회 의장을 맡았다. 7월 19일·20일에는 모바일 투표를, 7월 21일·22일에는 ARS 투표를 실시하였다. 제4차 전당대회 선거인단은 84만 1614명이었다.

구분투표자 수투표율
당대표 선거40만 8272명48.51%
최고위원 선거40만 3374명47.93%
청년최고위원 선거39만 8640명47.37%



6월 13일, 비상대책위원회는 이전 전당대회 직전 폐지되었던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다시 부활시켜 지도부 선출에 20%를 반영하고, 당대표 선거에서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결선투표를 실시하기로 하는 당헌을 확정했다.

선거인단 투표 결과(모바일 투표+ARS 투표)와 여론조사 결과를 합산하여 각각의 당선자가 결정되었다. 대회 현장에서는 청년최고위원, 최고위원, 당대표 순으로 결과를 발표하였다.

2. 2. 당헌 개정

6월 13일, 비상대책위원회는 당헌을 개정하여 다음과 같은 변경 사항을 확정했다.[1]

  • 이전 전당대회 직전 폐지된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다시 부활시켜 지도부 선출에 20%를 반영하였다.
  • 당대표 선거에서 과반득표자가 없을 경우 결선투표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3. 당대표 선출

한동훈 후보가 당대표로 선출되었다.[3]

당대표 선출 선거 개표 결과(1명 선출)[3]
순위이름책임당원 투표(80%)국민 여론조사(20%)총 득표비고
득표율득표율득표율
1한동훈255,93064,7772(환산)320,702당선
62.6963.4662.84
2원희룡82,44913,728(환산)96,177rowspan=2 |
20.1913.4518.85
3나경원55,99618,423(환산)74,419rowspan=2 |
13.7218.0514.58
4윤상현13,8975,154(환산)19,051rowspan=2 |
3.45.053.73


3. 1. 경선 과정

6월 25일,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나경원 전 원내대표, 윤상현 의원 등이 당대표 후보로 등록했다. 당대표 경선은 지지층 내에서 압도적인 지지율로 대세론을 형성한 한동훈 후보와 이를 견제하기 위해 친윤계의 지원을 받는 원희룡, 나경원 후보 등이 한 후보의 과반 득표를 저지하려 하는 구도로 진행되었다.

경선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논란이 있었다.

  • '읽씹' 논란: 총선 전 김건희 여사가 한동훈 당시 비상대책위원장에게 명품백 수수 사건과 관련해 5차례 문자로 사과 의사를 표시했으나, 한동훈 위원장이 이를 무시했다는 논란이다.
  • 나경원 후보 공소취소 청탁 의혹: 경선 막판에 나경원 후보가 원내대표 재임 당시 채이배 당시 바른미래당 의원을 감금하고(폭력행위처벌에 관한 특례법상 공동감금), 국회 각 회의장을 점거하여(폭력행위처벌에 관한 특례법상 공동퇴거불응) 정치개혁특위와 사법개혁특위를 방해한 사건(국회법위반(회의방해죄), 형법상 특수공무집행방해)으로 공소된 데 대해 이후 한동훈 법무부 장관에게 사적으로 공소취소를 청탁한 사실이 폭로되어 논란이 되었으나, 오히려 다음날 한동훈 후보가 사과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3]

3. 2. 선거 결과

한동훈 후보가 당대표에 선출되었다.[3]

당대표 선출 선거 개표 결과 (1명 선출)
순위이름책임당원 투표 (80%)국민 여론조사 (20%)총 득표비고
득표율득표율득표율
1한동훈255,93064,7772 (환산)320,702당선
62.6963.4662.84
2원희룡82,44913,728 (환산)96,177rowspan=2 |
20.1913.4518.85
3나경원55,99618,423 (환산)74,419rowspan=2 |
13.7218.0514.58
4윤상현13,8975,154 (환산)19,051rowspan=2 |
3.45.053.73
합계style="text-align: left;" |style="text-align: left;" |style="text-align: left;" |


4. 최고위원 선출

장동혁, 김재원, 인요한, 김민전 후보가 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국민의힘 당헌에 따라 4위인 박정훈 후보 대신, 여성인 김민전 후보(5위)가 최고위원에 선출되었다.[3] 최고위원 후보로는 장동혁, 김재원, 인요한, 김민전, 김형대, 박용찬, 박정훈, 이상규, 함운경이 있었다.

4. 1. 선거 결과

장동혁, 김재원, 인요한 후보가 1~3위로 최고위원에 선출되었다. 국민의힘 당헌에 따라 4위인 박정훈 후보 대신, 여성인 김민전 후보(5위)가 최고위원에 선출되었다.[3]

최고위원 선출 선거 개표 결과(4명 선출)
순위성명선거인단
득표 수
여론조사비고
득표율환산 득표 수
5김민전126,670표12.44%25,007표151,677표당선
2김재원157,127표15.34%30,837표187,964표당선
9김형대9,423표2.82%5,669표15,092표
6박용찬32,340표6.40%12,865표45,205표
4박정훈140,053표12.37%24,866표164,919표
7이상규22,663표4.46%8,966표31,629표
3인요한132,146표21.58%43,380표175,526표당선
1장동혁166,818표20.07%40,345표207,163표당선
8함운경16,847표4.54%9,126표25,973표


5. 청년최고위원 선출

만 45세 미만 대상의 청년최고위원 선거에서는 진종오 후보가 당선되었다.[3]

진종오 후보는 240,874표를 얻어 1위를 차지했으며, 김정식 후보(100,368표), 박상현 후보(85,963표), 김은희 후보(71,091표)가 그 뒤를 이었다.

5. 1. 선거 결과

진종오 후보가 청년최고위원에 당선되었다.[3]

청년최고위원 선출 선거 개표 결과(1명 선출)
rowspan="2" |성명선거인단
득표 수
(1)
여론조사
(1)+(2)
순위비고
여론조사
득표율
환산 득표 수
(2)
김은희51050표20.11%20041표71091표4
김정식85608표14.81%14760표100368표2
박상현57002표29.06%28961표85963표3
진종오204977표36.02%35897표240874표1당선


참조

[1] 뉴스 국민의힘 새 대표에 한동훈…"국민 눈높이에 더 반응하자"(종합) https://www.yna.co.k[...] 2024-07-24
[2] 뉴스 '어대한' 이변 없었다‥한동훈, 103일 만에 사령탑 복귀 https://imnews.imbc.[...] 2024-07-24
[3] 뉴스 국민의힘 새 당대표에 한동훈…총 득표율 62.84% https://www.newspim.[...] 2024-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