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부 성간 구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부 성간 구름(LIC)은 태양계가 위치한 국부 거품 내에 있는 수소 밀도가 높은 구름이다. 태양계는 약 1만 년 전에 LIC에 진입했으며, 태양은 1,900년 안에 LIC를 벗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LIC의 온도는 약 7000 K이며, 밀도는 0.3 원자/cm3으로 은하수 성간 매질 평균 밀도보다 낮지만, 국부 거품 내 가스보다는 높다. LIC는 전갈자리-켄타우루스자리 연관에서 기원했으며, 2019년에는 남극에서 LIC와 관련된 성간 철-60이 발견되었다. LIC의 자기 강도는 이전에 추정했던 것보다 강하며, 태양풍과 태양 자기장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킨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부 성간 구름 - 바너드별
    바너드별은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가 발견한 지구에서 비교적 가까운 적색 왜성이며, 가장 큰 고유 운동을 보이는 별 중 하나로, 외계 행성 바너드 별 b가 확인되었고 추가 행성 후보들이 거론되고 있다.
  • 국부 성간 구름 - 태양권
    태양권은 태양풍과 성간 물질의 상호 작용으로 형성되는 태양계 경계 영역이며, 파이오니어, 보이저 계획 등의 우주 탐사를 통해 연구되었고, 헬리오포즈를 지나 성간 공간으로 진입한 보이저 1호와 2호의 탐사 데이터가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 천체 - 변광성
    변광성은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별을 의미하며, 내재적 변광성과 외재적 변광성으로 분류되고, 광도곡선을 통해 분석하며, 우주 거리 측정에도 활용된다.
  • 천체 - 심원천체
    심원천체는 태양계와 개별 별을 제외한 성단, 성운, 은하 등 모든 천체를 포괄하는 용어로, 아마추어 천문학에서 널리 사용되며 관측 활동의 대상이 된다.
국부 성간 구름
개요
주변 별들과 국부 성간 구름의 예술적 표현을 나타낸 다이어그램
주변 별들과 국부 성간 구름의 예술적 표현을 나타낸 다이어그램
유형성간 구름
크기약 30 광년 (9.2 파섹)
다른 이름국부 구름, LIC
위치태양계 내 (특정 별자리에 속하지 않음)
상세 정보
설명태양계가 현재 지나고 있는 성간매질.
특징비교적 따뜻하고 밀도가 낮음.
온도는 약 7,000 켈빈.
수소 원자 밀도는 0.26 atoms/cm 정도임.
상호작용태양계는 약 150,000년 전에 국부 성간 구름에 진입했으며, 앞으로 10,000 ~ 20,000년 동안 머무를 것으로 예상됨.
인접 구름헬리오스피어
인터스텔라 볼로이드
G 구름
다른 여러 작은 구름들
추가 정보
참고 문헌Encyclopedia of Astrobiology
Centauri Dreams - Into the Interstellar Void
Egu General Assembly Conference Abstracts

2. 구조

태양계은하의 성간 매질 밀도가 낮은 지역인 국부 거품 안에 있으며, 이 안에는 수소 밀도가 약간 더 높은 국부 성간 구름(LIC)이 있다.[9] 태양계는 지난 1만 년 안에 LIC에 진입한 것으로 추정된다.[5] 태양이 아직 LIC 안에 있는지, 아니면 LIC와 G 구름 사이의 전이 지역에 있는지는 불확실하다.[3][5][6] 최근 분석에 따르면 태양은 1,900년 안에 LIC를 완전히 벗어날 것으로 보인다.[7]

국부 성간 구름은 별이 형성되는 지역인 별 연관의 일종인 전갈자리-켄타우루스자리 연관에서 바깥쪽으로 흘러나오고 있다.[12][13]

2. 1. 밀도와 온도

국부 성간 구름(LIC)의 온도는 약 7,000,000로,[8] 태양 표면 온도와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밀도는 매우 낮아 비열은 0.3/cm3에 불과하다. 이는 은하수의 성간 매질 평균 밀도(0.5/cm3)보다 낮지만, 국부 성간 구름을 둘러싼 뜨겁고 밀도가 낮은 국부 거품(0.05/cm3) 내 가스보다는 6배 더 높다.[9][10] 비교하자면, 지구 대기의 카르만 선(해수면에서 100km)에는 입방 센티미터당 약 1.2 × 1013 개의 분자가 있으며, 450km에서는 약 5.0 × 107 개로 떨어진다.[11]

2019년, 연구자들은 남극에서 성간 철-60(60Fe)을 발견했으며, 이를 국부 성간 구름과 연관시켰다.[14]

2. 2. 기원과 이동

태양계는 은하 성간 매질의 저밀도 지역인 국부 거품 내에 위치해 있으며, 이 지역 내에는 수소 밀도가 약간 더 높은 국부 성간 구름(LIC)이 있다.[9] 태양계는 지난 10,000년 안에 LIC에 진입한 것으로 추정된다.[5] 태양이 아직 LIC 내에 있는지, 아니면 이미 LIC와 G 구름 사이의 전이 지역에 진입했는지는 불확실하다.[3][5][6] 최근 분석에 따르면 태양은 1,900년 안에 LIC를 완전히 벗어날 것으로 추정된다.[7]

국부 성간 구름은 전갈자리-켄타우루스자리 연관에서 바깥쪽으로 흘러나오고 있으며, 이는 별이 형성되는 지역인 별 연관이다.[12][13] 2019년, 연구자들은 남극에서 성간 철-60(60Fe)을 발견했으며, 이를 국부 성간 구름과 연관시켰다.[14]

2. 3. 남극 성간 철 발견

2019년, 연구자들은 남극에서 성간 철-60(60Fe)을 발견했으며, 이를 국부 성간 구름과 연관시켰다.[14]

3. 태양 자기장과의 상호작용

성간 물질 내의 태양계, 다양한 영역과 거리(로그 척도, 물체 크기는 실제와 다름)


국부 성간 구름이 지구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은 태양풍과 태양 자기장에 의해 크게 감소한다.[8] 헬리오스피어와 국부 성간 구름의 상호작용은 NASA의 성간 경계 탐사선(IBEX)을 통해 연구되고 있다.

3. 1. 성간 경계 탐사선 (IBEX)

2009년, ''보이저 2호''의 자료는 국부 성간 매질의 자기 강도가 이전에 추정했던 180~250 pT보다 훨씬 강한 370~550 pT임을 보여주었다. 국부 성간 구름이 강하게 자화되어 있다는 사실은 국부 거품을 밖으로 날려 보낸 바람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구름이 계속 존재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15]

국부 성간 구름이 지구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은 태양풍과 태양 자기장에 의해 크게 줄어든다.[8] 헬리오스피어와 국부 성간 구름의 상호작용은 태양계와 성간 공간 사이의 경계를 탐사하는 NASA의 성간 경계 탐사선(IBEX) 위성을 통해 연구되고 있다.

4. 관련 서적


  • 마크 앤더슨, "Don't stop till you get to the Fluff", 《뉴 사이언티스트》 2585호, 2007년 1월 6일, 26-30쪽

참조

[1] simbad NAME LIC 2014-03-15
[2] 서적 Encyclopedia of Astrobiology 2022-07-01
[3] 웹사이트 Into the Interstellar Void http://www.centauri-[...] 2010-09-01
[4] 간행물 What lies immediately outside of the heliosphere in the very local interstellar medium (VLISM): morphology of the Local Interstellar Cloud, its hydrogen hole, Stromgren Shells, and 60Fe accretion Copernicus GmbH 2020-03-23
[5] 저널 The Interstellar Medium Surrounding the Sun https://www.annualre[...] 2021-12-28
[6] 저널 The Interface between the Outer Heliosphere and the Inner Local ISM 2019-11-18
[7] 저널 New results concerning the environment of the heliosphere, nearby interstellar clouds, and physical processes in the inter–cloud medium 2020-03
[8] 웹사이트 Near-Earth Supernovas https://science.nasa[...] NASA 2011-02-01
[9] 웹사이트 Our Local Galactic Neighborhood http://interstellar.[...] NASA 2012-08-08
[10] 콘퍼런스 Course 7: Dust in the Interstellar Medium
[11] 서적 U.S. Standard Atmosphere, 1976 NOAA, NASA and U.S. Air Force 1976-10
[12] APOD The Local Interstellar Cloud 2016-12-21
[13] APOD The Local Bubble and the Galactic Neighborhood 2016-12-21
[14] 저널 Interstellar 60Fe in Antarctica 2019-08
[15] 저널 A strong, highly-tilted interstellar magnetic field near the Solar System http://www-personal.[...] 2009-12-24–31
[16] 웹인용 NAME LIC -- Cloud http://simbad.cfa.ha[...] SIMBAD 2014-03-15
[17] 웹인용 Into the Interstellar Void http://www.centauri-[...] 2010-09-01
[18] 웹인용 Near-Earth Supernovas http://science.nasa.[...] 2011-02-01
[19] 웹인용 Our Local Galactic Neighborhood http://interstellar.[...] 2013-07-23
[20] 콘퍼런스 Course 7: Dust in the Interstellar Medium
[21] 서적 U.S. Standard Atmosphere, 1976 NOAA, NASA and U.S. Air Force 1976-10
[22] 웹인용 The Local Interstellar Cloud http://antwrp.gsfc.n[...] 2011-02-01
[23] 저널 A strong, highly-tilted interstellar magnetic field near the Solar System http://www-personal.[...] 2014-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