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궁도는 활과 화살을 사용하여 과녁을 맞히는 한국의 전통 무예이자 스포츠이다. 활과 화살은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의 무과 시험에서 중요한 평가 항목이었다. 일제강점기에도 조선 궁사들에 의해 명맥이 유지되었으며, 현재는 대한궁도협회를 중심으로 전국 400여 개의 활터에서 계승되고 있다. 궁도는 사법팔절을 포함한 엄격한 사법과 예절을 중시하며, 사계라는 모임을 통해 운영된다. 경기 시설로는 활터, 과녁, 사대 등이 있으며, 각궁과 개량궁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궁술 - 화살
화살은 활과 함께 사용되는 발사체로, 살대, 살촉, 깃, 오늬 등으로 구성되며 전쟁, 사냥, 스포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문화적 상징성을 지니기도 한다. - 궁술 - 규도
규도는 일본의 전통적인 궁술로 정신 수양과 예의범절을 중시하며, 선사 시대부터 시작되어 무사 계급의 등장과 함께 발전했고, 다양한 유파와 전일본궁도연맹을 중심으로 현대 스포츠화되었으며, 사법팔절을 기본 동작으로 수련하고, 도구와 기술 단계를 거쳐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 정확성 스포츠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 정확성 스포츠 - 궁술
궁술은 활과 화살을 사용하여 화살을 쏘는 기술로, 수렵과 전쟁의 주요 기술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스포츠와 레크리에이션 활동으로 발전했고 한국에서는 전통 무예이자 스포츠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여름 스포츠 - 태권도
태권도는 한국의 발차기 중심 무술이자 스포츠로, 1950년대 여러 무술 도장 통합 과정에서 명칭이 확립되었으며, 국제 태권도 연맹(ITF)과 세계 태권도 연맹(WT)으로 발전하여 WT 태권도는 올림픽 종목, ITF 태권도는 공산권 국가에 보급되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여름 스포츠 - 드래곤보트
드래곤보트는 20명 이상의 선수들이 북소리에 맞춰 노를 젓는 수상 경주용 배와 경기이며, 중국 남부에서 시작되어 벼농사 풍년 기원 의식 및 용신 숭배와 관련된 단오절 전통 행사로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 전파되었고, 아시안 게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될 만큼 국제적인 스포츠이자 오랜 역사와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궁도 | |
---|---|
궁도 정보 | |
이름 | 궁도 |
별칭 | 없음 |
2. 역사
활과 화살은 아프리카 지역에서 최소 2만 년 전 중석기 시대에 사용된 유물이 발견되었다.[6] 활은 사냥과 전쟁을 위해 전 세계에서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도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에 이르는 돌화살촉 유물이 발굴되고 있으며, 화살촉이 금속으로 바뀐 것은 철기시대 이후이다.[7]
활은 오랫동안 전쟁 무기로 사용되었다. 상고 시대를 기록한 중국의 역사서에는 예의 단궁(檀弓)이나 고구려의 맥궁(貊弓)과 같은 활의 이름을 남기고 있다.[3] 활은 크기에 따라 장궁과 단궁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말을 타고 사용하는 활은 기동성을 위해 길이가 짧은 단궁으로, 길어도 1 미터를 넘지 않는다. 고구려의 벽화에 나온 수렵도를 보면 말을 타고 각궁을 사용하여 사냥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8]
고려와 조선 시대에는 무과 과거시험에서 활쏘기가 기본적인 평가 항목이었다. 조선의 무과 초시와 복시에는 목전이 사용되었다. 과녁은 240보 거리에 놓였으며, 기본으로 3발을 쏘아 과녁에 맞으면 7점을 주었다. 그 보다 먼 과녁에 대해서는 5보마다 1점을 더하였고, 50보를 넘기면 과녁을 맞추지 못했어도 1점을 주었다.[9] 조선 시기 사용하던 화살촉은 목전 이외에도 철전(鐵箭)·유엽전(柳葉箭)과 같은 것이 있다.[10]
한국의 전통 활쏘기는 자생적인 근대 스포츠로 발전해 왔으며, 일제강점기에도 조선 궁사들의 끈질긴 생명력으로 전승되어 왔다. 1928년 조선궁술회가 조직되고 같은 해에 서울에 있는 활터 황학정에서 전조선궁술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를 계기로 조선의 궁술은 근대 스포츠로 정착하게 되며 당시 제정된 경기 규정 및 운영 방식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9] 또한 조선궁술연구회에서는 1929년 을 간행하여 활쏘기 사법과 풍속이 지속적으로 전승되도록 했다. 조선궁술연구회는 1932년 일제의 강압에 의해 조선궁도회로 개칭되었으며, 1946년 조선궁도협회로, 1954년 3월 대한체육회에 가맹하였다. 씨름, 택견 등과 함께 자생적 스포츠로 전국체전 종목에 편입되어 우리 민족의 무예를 이어 가고 있다. 1983년 대한양궁협회가 분리되어 대한국궁협회로 개칭하였으나, 협회 내 여론에 의하여 4년 후 대한궁도협회로 다시 개칭하였다. 현재는 전국 400여 개의 활터에서 전통 활쏘기가 전승되고 있다.
2. 1. 고대
활과 화살은 아프리카 지역에서 최소 2만 년 전 중석기 시대에 사용된 유물이 발견되었다.[6] 활은 사냥과 전쟁을 위해 전 세계에서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도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에 이르는 돌화살촉 유물이 발굴되고 있다. 화살촉이 금속으로 바뀐 것은 철기시대 이후이다.[7]활은 오랫동안 전쟁 무기로 사용되었다. 상고 시대를 기록한 중국의 역사서에는 예의 단궁(檀弓)이나 고구려의 맥궁(貊弓)과 같은 활의 이름을 남기고 있다.[3] 활은 크기에 따라 장궁과 단궁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말을 타고 사용하는 활은 기동성을 위해 길이가 짧은 단궁으로, 길어도 1 미터를 넘지 않는다. 고구려의 벽화에 나온 수렵도를 보면 말을 타고 각궁을 사용하여 사냥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8]
2. 2. 고려와 조선
고려와 조선 시대에는 무과 과거시험에서 활쏘기가 기본적인 평가 항목이었다. 조선의 무과 초시와 복시에는 목전이 사용되었다. 과녁은 240보 거리에 놓였으며, 기본으로 3발을 쏘아 과녁에 맞으면 7점을 주었다. 그 보다 먼 과녁에 대해서는 5보마다 1점을 더하였고, 50보를 넘기면 과녁을 맞추지 못했어도 1점을 주었다.[9] 조선 시기 사용하던 화살촉은 목전 이외에도 철전(鐵箭)·유엽전(柳葉箭)과 같은 것이 있다.[10]2. 3. 일제강점기
한국의 전통 활쏘기는 자생적인 근대 스포츠로 발전해 왔으며, 암흑기 시대인 일제강점기에도 조선 궁사들의 끈질긴 생명력으로 전승되어 왔다. 1928년 조선궁술회가 조직되고 같은 해에 서울에 있는 활터 황학정에서 전조선궁술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를 계기로 조선의 궁술은 근대 스포츠로 정착하게 되며 당시 제정된 경기 규정 및 운영 방식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조선궁술연구회에서는 1929년 을 간행하여 활쏘기 사법과 풍속이 지속적으로 전승되도록 했다. 조선궁술연구회는 1932년 일제의 강압에 의해 조선궁도회로 개칭되었으며, 1946년 조선궁도협회로, 1954년 3월 대한체육회에 가맹하였다.[9]2. 4. 현대
한국의 전통 활쏘기는 자생적인 근대 스포츠로 발전해 왔으며, 일제강점기에도 조선 궁사들의 끈질긴 생명력으로 전승되어 왔다. 1928년 조선궁술회가 조직되고 같은 해에 서울에 있는 활터 황학정에서 전조선궁술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를 계기로 조선의 궁술은 근대 스포츠로 정착하게 되었으며 당시 제정된 경기 규정 및 운영 방식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9] 또한 조선궁술연구회에서는 1929년 을 간행하여 활쏘기 사법과 풍속이 지속적으로 전승되도록 했다. 조선궁술연구회는 1932년 일제의 강압에 의해 조선궁도회로 개칭되었으며, 1946년 조선궁도협회로, 1954년 3월 대한체육회에 가맹하였다. 씨름, 택견 등과 함께 자생적 스포츠로 전국체전 종목에 편입되어 우리 민족의 무예를 이어 가고 있다. 1983년 대한양궁협회가 분리되어 대한국궁협회로 개칭하였으나, 협회 내 여론에 의하여 4년 후 대한궁도협회로 다시 개칭하였다. 현재는 전국 400여 개의 활터에서 전통 활쏘기가 전승되고 있다.3. 경기 시설 및 용구
궁도 경기에 사용되는 시설 및 용구는 다음과 같다.
- '''사정(활터):''' 활을 쏘는 장소이다. 황학정은 고종이 활을 쏘던 곳이며, 인천 무덕정과 전주 천양정도 전통 있는 사정이다.[11][12] 전국 각지에 활터가 분포해 있다.
- '''과녁:''' 대한궁도협회 공인 과녁은 가로 2m, 세로 2.66m의 사각형이며, 후방 15도 경사각으로 설치된다. 과녁 간 간격은 5m 이상이며, 후면에 안전지대가 있어야 한다.[14]
- '''활:''' 조선시대에는 여러 종류의 활이 있었으나, 현재는 각궁과 개량궁이 주로 사용된다.
- '''화살:''' 전통적인 죽시와 현대적인 카본시가 있다.
- '''기타 용구:''' 화살 보관통인 '''전통''', 엄지손가락 보호구인 '''깍지''', 궁체 확인용 '''고침''', 활 보관 자루인 '''궁대''' 등이 있다.
3. 1. 사정 (활터)


활을 쏘는 장소인 활터는 전국에 걸쳐 분포하며, 조선 후기에 국궁이 번성했던 것을 보여주듯 다수의 사정이 그 명맥을 잇고 있다. 황학정은 고종이 활을 쏘던 곳이며[11], 인천 무덕정과 전주 천양정도 전통 있는 대표적인 사정이다.[12]
3. 1. 1. 활터 구조
활을 쏘는 장소인 활터는 전국에 걸쳐 분포하며, 조선 후기에 국궁이 번성했던 것을 보여주듯 다수의 사정(射亭)이 그 명맥을 잇고 있다. 황학정은 고종이 활을 쏘던 곳이며[11], 인천 무덕정과 전주 천양정도 전통 있는 사정이다.[12]
활터에는 사정(본 건물)과 그 앞에 사대가 있다. 과거에는 여러 사거리에 과녁을 두었으나, 현재 대한궁도협회에서 관리하는 활터는 사대 앞에 공터가 있고 145m 앞에 과녁이 설치되어 있다. 사대 폭은 선수 간 간격이 80cm 이상이고, 과녁 좌우 10m 이상 위치에 대피소가 설치되어 안전을 보장한다. 사정은 사대로부터 5m 거리에 있고, 기 게양대는 사대 좌우측에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13]
3. 1. 2. 과녁
과거의 과녁과 다르게 궁도의 과녁은 근현대화를 거치며 형성되었다. 현대 대한궁도협회에서 공인된 과녁은 가로 2m, 세로 2.66m의 사각형 모양이다. 과녁은 수직으로부터 후방 15도의 경사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과녁이 여러 개이면, 과녁과 과녁 사이는 5m 이상 떨어져야 하고, 과녁 후면에는 안전지대가 확보되어 있다. 과녁은 보통 나무로 만든 구조물에 고무판이 여러 겹 덧대어 있어 화살이 관중될 때 충격을 완화한다.[14]
3. 2. 활
조선시대까지는 정량궁, 예궁, 목궁, 철궁, 철태궁, 동개활, 각궁 등 7종류의 활이 있었으나, 현재 전해지는 것은 각궁뿐이다.[15] 현대에는 개량궁이 보급되어 널리 쓰인다.3. 2. 1. 각궁
조선시대부터 전해오는 유일한 대한민국의 전통 활이다. 물소뿔, 산뽕나무, 소 힘줄, 부레풀, 참나무, 대나무, 화피가 각궁의 재료이다.[16] 각궁은 활을 쏘았을 때 활 자체가 충격을 흡수하여 사수에게 긴장과 부담을 덜어준다.[16]3. 2. 2. 개량궁
현대에는 개량궁이 보급되어 널리 쓰인다. 활에는 좌궁과 우궁이 있으며, 좌궁은 왼손으로 현과 화살을 당기고 왼쪽 눈으로 과녁을 겨냥하여 주로 왼손잡이들이 사용한다. 국궁 보급을 위하여 만들어진 활로, 처음에는 글레스화이바로 만들어지다가 화학소재와 화피, 고자와 도고지를 갖춘 것이 만들어졌다.[17] 각궁보다 얹었을 때 10cm가량 길고, 활을 쏘았을 때 충격 흡수가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3. 3. 화살
화살은 활을 쏘는 데 쓰이는 막대 모양의 무기이다. 궁도에서 사용되는 화살은 크게 전통적인 재료로 만든 화살과 현대적인 재료로 만든 화살로 나눌 수 있다.전통적으로 사용된 화살은 죽시이며, 과거에는 '유엽전'이라 불렸다. 죽시는 대나무, 싸리, 도피, 꿩깃, 소심, 부레풀, 촉으로 만들며 길이는 2자 5치에서 2자 8치로 다양하다.[18] 현대에는 죽시 외에 카본과 금속을 합성하거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카본시도 사용된다.
3. 3. 1. 죽시
과거에 '''유엽전'''이라 불렸으며 현재는 촉만 바뀌어 '''죽시'''라 불린다. 대, 싸리, 도피, 꿩깃, 소심, 부레풀, 촉으로 만들며 길이는 2자 5치~2자 8치로 다양하다. 촉 부분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둥근 모양이며, 몸통은 속이 빈 대나무이다. 끝 부분에는 깃이 3개 붙어있으며 오니를 깎아놓아 현의 절피에 걸 수 있게 하였다.[18]3. 3. 2. 카본시
카본과 금속을 합성해서 만든 것과 플라스틱으로 만든 것으로 나뉜다. 죽시에 비해 값이 싸고 기상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하며 정확도가 높아 널리 보급되고 있다.3. 4. 기타 용구
전통은 화살을 보관하는 통이다. 재료로는 종이, 대나무, 오동나무 등이 쓰이며, 통 표면에는 소나무와 대나무, 십장생, 호랑이 등을 그리거나 무사를 상징하는 글귀를 새겨 넣기도 한다. 화살 10~15개 정도를 넣을 수 있는 크기이다.[19]깍지는 활을 쏠 때 엄지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해 손에 끼는 장치이다. 활을 당길 때 깍지에 시위를 얹고 당긴다. 암깍지, 숫깍지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재질은 플라스틱, 물소뿔, 도자기, 금속 등 다양하다.
고침은 볏짚을 묶은 것을 말한다. 궁체를 확인하고자 고침쏘기를 할 때 주로 사용된다. 현대에는 사용하는 활터가 소수이며, 보통 특수 제작된 안전망이나 솔포를 사용한다.
궁대는 활을 보관하는 천으로 된 긴 자루이다. 활을 쏠 때는 허리에 둘러 화살을 꽂을 수도 있다. 궁대는 외매듭으로 삼등분하여 좌궁은 좌측 뒷주머니에, 우궁은 우측 뒷주머니에 매듭이 가도록 매면 된다.
4. 복장
대한궁도협회에서 지정한 정규 대회 복장은 상하의 모두 흰색이어야 하고 흰색 운동화를 착용해야 한다. 경기복 상의에는 소속 시도나 사정의 이름을 표기한다.[1] 복장 규정은 1970년대에 만들어졌지만 공식 대회에 모두 적용된 것은 1980년대 이후이다. 흰색이라고 하더라도 운동복 차림이어야 하고 한복은 금지되고 있다.[20]
5. 사법 (射法)
국궁의 사법(射法)은 가장 대표적으로 '''사법팔절(射法八節)'''이 있는데, 이는 활을 쏠 때의 자세와 동작을 8단계로 나누어 가르치는 방법이다. 사법팔절의 8단계는 단절된 동작이 아니라 물 흐르듯 이어지는 일련의 동작으로, 발디딤, 화살점검, 살먹이기, 들어올리기, 밀며당기기, 만작, 이시, 잔신으로 이루어진다.[21]
6. 커뮤니티와 예절
사정은 그 지역의 궁도 모임인 사계를 중심으로 운영되며, 회원인 사원(射圓)들은 자체적인 조직을 갖추고 예절을 중요시한다. 사계의 구성원으로는 사두, 부사두, 선생, 사무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연전꾼, 고전, 거기한량과 같은 사람들이 있다.[22]
6. 1. 사계 (射契)
사정은 그 지역의 궁도 모임인 사계(射契)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사계는 회원을 사원(射圓)으로 칭하며 자체적인 조직을 갖추고 예절을 중요시한다. 사계의 구성원에는 우두머리인 사두와 부사두, 활쏘기를 가르치는 선생, 행정업무를 처리하는 사무 등이 있다. 이 외에 활쏘기를 하면서 떨어진 화살을 줍는 사람을 연전꾼, 과녁을 맞추었는 지를 알려주는 고전, 편을 나누어 활을 쏠 때 자기 편의 관중 여부를 알려주는 거기한량과 같은 사람이 있다.[22]6. 2. 예절
사정은 그 지역의 궁도 모임인 사계(射契)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사계는 회원을 사원(射圓)으로 칭하며 자체적인 조직을 갖추고 예절을 중요시 한다. 사계의 구성원에는 우두머리인 사두와 부사두, 활쏘기를 가르치는 선생, 행정업무를 처리하는 사무 등이 있다. 이 외에 활쏘기를 하면서 떨어진 화살을 줍는 사람을 연전꾼, 과녁을 맞추었는 지를 알려주는 고전, 편을 나누어 활을 쏠 때 자기 편의 관중 여부를 알려주는 거기한량과 같은 사람이 있다.[22]
궁도는 정신 수양을 강조하고 예절을 중시한다. 예로부터 다음과 같은 궁도구계훈이 전하여 온다.[23]
- 정심정기(正心正己): 몸을 바르게 함이 그 마음을 바르게 함에 있고
- 인애덕행(仁愛德行): 어짐과 사랑으로 덕스러운 행실을 하고
- 성실겸손(誠實謙遜): 정성스럽고 참되고 실속 있게 남에게 나를 낮추어 순하게 대하고
- 자중절조(自重節操): 자신의 품의를 소중하게 하고 절개와 지조를 굳게 지키고
- 염직과감(廉直果敢): 곧고 청렴하며 용감하고 결단성을 강하게 가지며
- 예의엄수(禮儀嚴守): 예를 차리는 절차와 몸가짐을 엄하게 지키며
- 습사무언(習射無言): 활 쏠 때는 말하지 말 것이며
- 불원승자(不怨勝者): 나를 이긴 사람을 원망하지 말 것이고
- 막만타궁(莫彎他弓): 남의 활을 당기지 말 것이다.
이 가운데 습사무언은 사정의 활마당 마다 비석으로 새겨져 있다.
새로 활을 쏘게 된 사람은 신입사를 하고 처음으로 과녁을 맞추면 관중례를 하였다. 사정에 도착하면 먼저 복장을 갖춰 입고 사대에 올라서기 전에 사정의 어른들께 인사를 올려야 한다. 다음으로 정간배례를 하는데 이는 초순을 쏘기 전에 정간을 향하여 절을 하는 예이다.[24] 다음으로 활을 준비한 후 다른 사람들이 활을 쏘러 사대에 오를 때 같이 오르도록 한다. 사대에 올라서는 과녁을 향해 인사를 한 후 ‘활 배우러 왔습니다’라고 한다. 다른 사람이 ‘활 배우러 왔습니다’ 라고 하면 ‘많이 맞히세요’등 덕담을 해준다.[25] 사대에 올라 활을 쏠 때는 가장 연장자 또는 높은 분부터 좌측에서 순서대로 서서 쏜다. 활을 쏠 때는 잡담을 금하며 이는 남이 활을 쏠 때도 마찬가지다. 활을 한 순(5시)을 쏘면 다시 과녁을 향해 인사를 한 후 사대에서 내려온다. 이 때 다른 사람이 모두 다 쏠 때까지 기다려 모두 함께 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일정 시간을 쉬고 다시 입장하며 몇 순을 쏜 후 화살을 주우러 갈 때는 모두가 함께 주우러 가며 함부로 사대 앞으로 나아가지 않도록 한다.
정간례에 대해서는 필요없다는 의견도 있고[26] 활터의 예절 역시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27]
7. 단계
국궁은 그 기본이 무예인 만큼 단이 있어 궁도 정신을 선양하고 유단자의 긍지를 진작시킨다. 승단급은 한 번에 2계단급 이상 허용되지 않으며, 승단은 1년에 최대 2회까지만 허용된다. 승단 심사 때는 9순, 즉 45시를 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다음의 심사 기준에 의해 단을 부여받는다. 5단 이상의 유단자에게는 ‘명궁’ 호칭이 부여된다.[28]
단 | 기준 |
---|---|
초단 | 24중 이상 |
2단 | 26중 이상 |
3단 | 28중 이상 |
4단 | 30중 이상 |
5단 | 31중 이상 |
6단 | 33중 이상 |
7단 | 35중 이상 |
8단 | 37중 이상 |
9단 | 39중 이상 |
10단 | 41중 이상 |
이 외에도 활쏘기에 관련된 다양한 협회에서 다양한 승단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경기규칙
http://kungdo.sports[...]
대한궁도협회
2019-10-06
[2]
뉴스
'50보 100보', 국궁 활쏘기에 견주어보니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2-11-06
[3]
서적
21세기에서 바라본 조선의 궁술 한국의 몸짓 우리의 대표 신체문화 국궁 - 21세기에서 바라본 조선의 궁술
한국학술정보
2010
[4]
웹사이트
유래
http://kungdo.sports[...]
대한궁도협회
2019-10-06
[5]
웹사이트
경기일정
https://national.spo[...]
제100회 전국체육대회
[6]
논문
Middle Stone Age bone tools from the Howiesons Poort layers, Sibudu Cave, South Africa
https://www.scienced[...]
[7]
서적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기획
2004
[8]
웹사이트
동아시아 최고의 활과 기사술
http://contents.hist[...]
우리역사넷
[9]
웹사이트
목전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0]
웹사이트
화살
http://www.cultureco[...]
문화콘텐츠닷컴
[11]
웹사이트
황학정
http://www.hwanghakj[...]
[12]
웹사이트
민간의 활터
http://www.cultureco[...]
문화콘텐츠닷컴
[13]
웹사이트
대한궁도협회
http://kungdo.sports[...]
2012-04-11
[14]
서적
한국의 궁도
대한궁도협회
1986
[15]
서적
한국의 궁도
대한궁도협회
1986
[16]
서적
한국의 궁도
대한궁도협회
1986
[17]
뉴스
개량국궁 '송무궁'을 아십니까
http://www.sjsori.co[...]
세종의 소리
2012-11-08
[18]
서적
궁도입문
황학정
1997
[19]
서적
한국의 궁도
대한궁도협회
1986
[20]
뉴스
전통성 담은 다양한 복장 필요
http://www.archeryne[...]
국궁신문
2016-12-18
[21]
웹사이트
활쏘는 기본 자세
http://www.koreabow.[...]
대한궁술협회
2019-01-17
[22]
웹사이트
활터의 구성원
http://www.cultureco[...]
문화콘텐츠닷컴
[23]
웹사이트
부천의 궁시문화
http://kccfgg.org/we[...]
경기문화저널
[24]
웹사이트
활터 문화와 예절
http://www.cultureco[...]
문화콘텐츠닷컴
[25]
웹사이트
무작정 궁도장을 찾아가 봤다
https://brunch.co.kr[...]
브런치
2019-10-06
[26]
뉴스
대한궁도협회의 정간론에 대한 비판
http://www.archeryne[...]
국궁신문
2010-06-19
[27]
뉴스
권위적이고 관료적인 경직성에서 탈피해야
http://www.archeryne[...]
국궁신문
2018-06-24
[28]
서적
한국의 궁도
대한궁도협회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