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귀함별황자총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함별황자총통은 1992년 발견되어 국보 제274호로 지정되었으나, 1996년 조작된 사실이 밝혀져 국보에서 해제된 사건과 관련된 유물이다. 해군 충무공해전유물발굴단이 경상남도 통영시 앞바다에서 발견했다고 발표했으나, 수사 결과 발굴단 단장이었던 해군 대령이 실적 부진을 이유로 골동품상과 짜고 위조한 총통을 바다에 넣었다가 인양하는 방식으로 국보 지정을 받았다. 문화재청은 1996년 8월 31일 국보 지정을 해제했고, 국보 제274호는 결번 처리되었다. 이 사건은 문화재 진위 판별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선 논의를 촉발시켰으며,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관련 시스템 개선과 재발 방지책 마련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날조 - 웅진여성
    웅진여성은 1991년 웅진문화에서 창간되었지만, 에이즈 관련 기사와 허위 일기장 게재로 사회적 물의를 빚어 두 달 만에 폐간되고 발행사마저 청산된 월간 여성 잡지이다.
귀함별황자총통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귀함별황자총통 정보
명칭귀함별황자총통 (龜艦別黃字銃筒)
종류국보
지정 번호274호
지정일1992년 9월 4일
해제일1996년 8월 31일
소장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앵곡동 해군사관학교박물관
문화재청 지정 코드11,02740000,38
제작 정보
제작 시기1596년

2. 유물 발견

1992년 8월 18일, 대한민국 해군 충무공해전유물발굴단은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문어포 앞바다에서 귀함별황자총통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1]

2. 1. 발견 당시 상황

1992년 8월 18일 오후 3시경, 해군 산하 충무공 해전유물발굴단은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문어포(問語浦) 마을 북서쪽 약 460m 지점 해저에서 귀함별황자총통을 인양했다.[1] 발견된 총통은 길이 89.2cm, 구경 5.9cm였다.[1]

2. 2. 명문과 국보 지정

총통에는 "귀함황자경적선일사적선필수장"(龜艦黃字驚敵船 一射敵船必水葬, 거북선의 황자총통은 적군의 배를 놀라게 하고 한 발만 쏘아도 적군의 배를 바다에 침몰시킨다)이라는 명문과 "만력병신육월일조상"(萬曆丙申六月日造上, 1596년(명나라 만력(萬曆) 24년) 6월 제조)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3] 대한민국 문화부거북선의 존재를 입증하는 최초의 유물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1992년 9월 4일에 귀함별황자총통을 국보 제274호로 지정했다.[3] 이후 해군사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었다.[3]

3. 조작 사실의 발각

1996년 6월, 발굴단 단장인 대한민국 해군 대령이 민간인 출입 금지 해역의 입장에 편의를 제공하고 뇌물을 수수한 뇌물 수수죄 혐의로 체포되었다. 그러나 수사 과정에서 귀함별황자총통의 날조 사실이 밝혀졌다.[1]

1996년 8월 31일, 문화재청은 총통의 국보 지정을 해제했고, 국보 제274호는 결번 처리되었다.

3. 1. 수사 과정

1996년 6월, 검찰은 수산업자 홍무웅을 조사하던 중 황동환 대령이 총통을 조작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1] 황동환 대령은 검찰 조사에서 골동품상 신휴철에게 총통을 구입하여 해저에 빠뜨린 후 발굴한 것처럼 꾸몄다고 자백했다.[1]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장 조성도 교수도 사건에 관여한 정황이 드러났다.[1]

수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공범인 골동품상은 1987년경 자신이 운영하는 주물 공장에서 총통을 제작했다.
  • 1992년 8월 10일에 발굴단 단장은 공범인 골동품상으로부터 해당 총통을 구입하여 일단 바다에 침몰시켰다.
  • 1992년 8월 18일에 마치 자신이 '발견'한 것처럼 행동하며 총통을 인양했다.


발굴단 단장은 동기에 대해 "자신이 단장을 맡은 발굴단의 실적이 좋지 않아 고민했다"고 진술했다고 한다. 또한 이 골동품상은 청동 측우기와 거북선의 돌출부인 칼자루도 날조한 사실이 밝혀졌다.[1]

3. 2. 해군 검찰부 발표

1996년 6월, 발굴단 단장인 대한민국 해군 대령이 뇌물 수수죄 혐의로 체포되었다. 그러나 수사 과정에서 귀함별황자총통의 날조 사실이 밝혀졌다.[1]

수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공범인 골동품상은 1987년경 자신이 운영하는 주물 공장에서 총통을 제작했다.
  • 1992년 8월 10일, 발굴단 단장은 공범에게서 해당 총통을 구입하여 바다에 침몰시켰다.
  • 1992년 8월 18일, 발굴단 단장은 총통을 '발견'한 것처럼 행동하며 인양했다.


발굴단 단장은 발굴단의 실적이 좋지 않아 고민하던 중 이러한 범행을 저질렀다고 진술했다. 또한, 이 골동품상은 청동 측우기와 거북선의 돌출부인 칼자루도 날조한 것으로 밝혀졌다.

3. 3. 추가 범행 확인

대한민국 해군 검찰부와 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의 공조 수사 결과, 신휴철의 집에서 총통 13점 및 제작 도구가 발견되었다.[1] 신휴철은 1987년 동료들과 함께 주물공장을 설립, 총통류 40여 개, 측우기 2개 등 모조 골동품을 제조한 사실이 확인되었다.[1]

4. 국보 해제 및 후속 조치

1996년 6월, 귀함별황자총통 발굴단장이었던 대한민국 해군 대령이 뇌물 수수죄 혐의로 체포되면서 총통의 날조 사실이 밝혀졌다.[1] 1996년 8월 31일, 문화재청은 국보 지정을 해제했고, 국보 제274호는 결번 처리되었다.

4. 1. 국보 해제 사유

문화재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귀함별황자총통이 가짜라고 판정했다.[1]

  • 공범인 골동품상은 1987년경 자신이 운영하는 주물 공장에서 총통을 제작했다.
  • 1992년 8월 10일에 발굴단 단장은 공범인 골동품상으로부터 해당 총통을 구입하여 일단 바다에 침몰시켰다.
  • 1992년 8월 18일에 마치 자신이 '발견'한 것처럼 행동하며 총통을 인양했다.


발굴단 단장은 동기에 대해 "자신이 단장을 맡은 발굴단의 실적이 좋지 않아 고민했다"고 진술했다고 한다. 또한, 이 골동품상은 청동 측우기와 거북선의 돌출부인 칼자루도 날조한 사실이 밝혀졌다.

4. 2. 후속 조치

1996년 6월, 발굴단 단장이었던 대한민국 해군 대령이 뇌물 수수죄 혐의로 체포되었다. 수사 과정에서 귀함별황자총통이 날조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

수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공범인 골동품상은 1987년경 자신이 운영하는 주물 공장에서 총통을 제작했다.
  • 1992년 8월 10일, 발굴단 단장은 공범인 골동품상에게서 총통을 구입하여 바다에 침몰시켰다.
  • 8월 18일, 발굴단 단장은 자신이 '발견'한 것처럼 행동하며 총통을 인양했다.


발굴단 단장은 "발굴단 실적이 좋지 않아 고민했다"고 동기를 진술했다. 또한, 골동품상은 청동 측우기와 거북선의 돌출부인 칼자루도 날조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996년 8월 31일, 문화재청은 총통의 국보 지정을 해제했고, 국보 제274호는 결번 처리되었다.

5. 사회적 영향

이 사건은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문화재 관리 체계의 허점을 드러냈다. 문화재 전문가들은 물론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문화재 진위 판별과 보존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참조

[1] 뉴스 오, 가엾은 해군의 명예 http://www.sisajourn[...] 1996-07-04
[2] 웹사이트 '가짜 총통' 계기로 본 문화재 지정·관리 실태 '감정가 눈·입'에 전적 의존 https://newslibrary.[...] 2023-12-04
[3] 뉴스 후손이 욕보인 거북선 銃筒(총통) 발굴 사기극 보존 상태 너무 좋아 "의혹"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6-06-19
[4] 뉴스 오, 가엾은 해군의 명예 https://www.sisajour[...] 시사저널 1996-07-04
[5] 뉴스 "「거북선 銃筒(총통)」은 가짜"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6-06-19
[6] 뉴스 "「문화재 감정」 신뢰 \"흔들\" 가짜 「별황자총통」 국보 지정 파문"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6-06-19
[7] 뉴스 國寶(국보) 지정 어떻게 했나 전문가 없이 30분만에 "통과"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6-06-19
[8] 뉴스 "총통 골동품상이 제작"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6-06-26
[9] 뉴스 측우기·물시계도 제조 '가짜총통'수사 https://newslibrary.[...] 한겨레 1996-06-29
[10] 뉴스 "가짜총통 40개 제작"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6-07-04
[11] 뉴스 '가짜 총통' 계기로 본 문화재 지정·관리 실태 '감정가 눈·입'에 전적 의존 https://newslibrary.[...] 한겨레 1996-06-21
[12] 뉴스 보물 지정 다른 銃筒(총통)도 진위 조사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6-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