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르바비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르바비차는 야스밀라 즈바니치 감독의 2006년 영화로, 보스니아 전쟁 이후 사라예보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 이 영화는 전쟁 중 성폭력의 희생자인 에스마와 그의 딸 사라의 이야기를 통해 전쟁의 상처와 개인의 트라우마, 그리고 진실을 마주하는 용기를 그린다. 그르바비차는 제56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곰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으로 호평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영화 작품 -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누리 빌게 세일란 감독의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는 아나톨리아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을 배경으로, 시신을 찾는 밤 동안의 과정을 통해 인물들의 심리 묘사와 진실의 모호성을 탐구하며 2011년 칸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했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영화 작품 - 사라예보의 죽음
    사라예보의 죽음은 스네자나 마르코비치 등이 출연하고 개봉 후 엇갈린 평가를 받은 영화 작품이다.
  • 크로아티아의 영화 작품 - 진저 앤 로사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를 배경으로 핵전쟁의 공포 속에서 성장하는 두 소녀 진저와 로사의 이야기를 그린 2012년 영화 《진저 앤 로사》는 샐리 포터 감독이 불안한 시대 속에서 우정과 갈등을 겪는 십 대 소녀들의 모습을 섬세하게 그려냈으며, 엘르 패닝의 연기를 비롯해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크로아티아의 영화 작품 - 신부의 아이들
    아드리아해의 작은 섬에서 젊은 사제 돈 파비얀이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신문 판매원, 약사와 함께 콘돔에 구멍을 내는 계획을 실행하면서 예상치 못한 사건들이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 전쟁 범죄를 소재로 한 영화 - 헌팅 파티 (2007년 영화)
    2007년 개봉한 리처드 셰퍼드 감독의 영화 《헌팅 파티》는 보스니아 전쟁을 배경으로 몰락한 언론인이 전쟁 범죄자를 사냥하려는 위험한 계획을 실행하는 액션 스릴러 영화이며, 스콧 앤더슨의 에스콰이어 잡지 기사를 원작으로 리처드 기어, 테런스 하워드, 제시 아이젠버그 등이 출연했다.
  • 전쟁 범죄를 소재로 한 영화 - 머신건 프리처
    샘 칠더스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머신건 프리처는 알코올 및 마약 중독에서 벗어난 샘 칠더스가 아프리카 수단에서 고아원을 설립하고 무장 투쟁을 벌이는 이야기를 그린 전기 액션 영화이다.
그르바비차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그르바비차 영화 포스터
원제Grbavica
감독야스밀라 주바니치
각본야스밀라 주바니치, 바르바라 알베르트
출연미랴나 카라노비치, 루나 미요비치, 레온 루체프, 케난 차티치
음악에네스 즈라탈
촬영크리스티네 A. 마이어
편집니키 모스베크
제작타냐 아치모비치, 바르바라 알베르트, 다미르 이브라히모비치, 브루노 바그너
배급사Dogwoof Pictures, 알바트로스 필름(일본)
개봉일2006년 2월 12일(BIFF)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006년 3월 1일
영국2006년 12월 15일
일본2007년 12월 1일
대한민국2008년 1월 3일
상영 시간90분 (95분)
제작 국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오스트리아, 독일, 크로아티아
언어보스니아어

2. 배경

영화의 제목은 에스마가 살고 있는 사라예보의 한 구역을 가리키는데, 이곳은 도시에서 가장 큰 상처를 입은 지역 중 하나였다.[1]

감독 야스밀라 즈바니치에 따르면, 1992년에 모든 것이 변했고, 성이 여성들을 굴욕시키고, 결과적으로 한 민족 집단을 파괴하기 위한 전쟁 전략의 일부로 사용되는 전쟁 속에 살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전쟁 중 보스니아에서 2만 명의 여성이 조직적으로 강간당했다.

영화에서 세르비아인 강간범들은 체트니크로 불리는데, 이는 사라예보를 포위한 세르비아 군대를 지칭하는 용어로, 주로 보스니아 무슬림, 크로아티아인 및 사라예보 세르비아인들이 사용했다.

3. 줄거리

싱글맘 에스마는 종전 후 사라예보에서 12살 딸 사라와 함께 살고 있다. 사라는 학교 소풍을 가고 싶어 했고, 엄마는 소풍 비용을 벌기 위해 나이트클럽에서 웨이트리스로 일하기 시작한다.[1]

사라는 자신처럼 아버지가 없는 사미르와 친구가 된다. 그들의 아버지 모두 전쟁 영웅으로 사망했다고 알려져 있었다. 사미르는 사라가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상황을 모른다는 것을 알고 놀랐다. 사미르의 아버지는 그가 지키던 참호를 떠나기를 거부했을 때 Žuč 근처에서 세르비아 군에 의해 살해되었다. 그러나 사라와 그녀의 어머니가 이 민감한 주제에 대해 논의할 때마다 에스마의 답변은 항상 모호했다.[1]

전쟁 영웅의 자녀임을 증명하는 증명서를 제공할 수 있는 학생들은 소풍을 무료로 갈 수 있게 되면서 상황은 더욱 복잡해진다.[1] 에스마는 사라에게 아버지의 시신을 찾지 못했고 증명서가 없다고 설명한다. 그녀는 서류를 얻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한다. 그러나 에스마는 사라에게 필요한 돈을 친구 사비나, 이모, 그리고 그녀의 상사에게서 빌리려고 한다.[1]

사라는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찝찝한 느낌에 시달린다. 학교 소풍에 가는 학생 명단에 전쟁 영웅의 자녀로 언급되지 않은 것을 알고 충격과 당황에 휩싸인 사라는 사미르에게 화를 낸다. 하지만 집으로 돌아와 그녀는 어머니와 대면하여 진실을 밝히라고 요구한다. 에스마는 무너져 마침내 자신이 포로 수용소에서 강간을 당했고 이 폭력의 결과로 아이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고 시인한다. 사라는 자신이 세르비아 군인의 자녀라는 것을 깨닫는다. 이 발견은 그녀를 어머니와 더 가깝게 만들고 그녀의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결국 사라는 소풍을 떠나 마지막 순간까지 어머니에게 손을 흔들지 않는다. 버스 안에서 학생들은 케말 몬테노가 쓰고 연주한 70년대 인기곡 "Sarajevo, ljubavi moja"(사라예보, 나의 사랑)를 부르기 시작하고 사라가 함께 한다.[1]

에스마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 사라예보에서 딸 사라와 둘이서 살고 있었다. 수입은 적었고, 밤늦게까지 일하는 날들이 이어졌다. 아직 12살인 사라는 엄마가 집을 비우는 일이 잦아지면서 외로움을 더해갔다.

어느 날, 사라는 반 친구 사미르와 싸우게 되지만, "아버지가 분쟁으로 돌아가셨다"는 공통점에서 차츰 친해진다.

에스마로부터 "아버지는 순교자"라고 배웠고, 사라 자신도 그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했지만, 학교 수학여행을 계기로 아버지의 죽음에 의문을 품기 시작한다. 아버지의 전사 증명서가 있으면 여행 경비가 면제되므로, 에스마에게 증명서를 내달라고 조르는 사라. 그러나 아버지는 시신을 찾을 수 없었기 때문에 증명서 발급이 어렵다고 괴로운 변명을 하는 에스마다.

증명서를 건네주지 않는 엄마에게 불신감을 키워가는 사라에게, 반 친구가 "전사자 명단에 아버지의 이름이 없다"며 놀린다. 참다못한 사라는 사미르에게서 빌린 권총으로 에스마를 협박하여 진실을 말해달라고 한다. 그리고 에스마는 숨겨왔던 과거의 비밀을 털어놓고 만다.

전쟁이 낳은, 사람들의 사랑과 증오, 트라우마, 절망을 그린다.

4. 등장인물

미르자나 카라노비치, 루나 미요비치, 레온 루체프, 케난 차티치, 야스나 베리, 데얀 아치모비치, 보그단 디클리치, 에미르 하지하피즈베고비치, 에르민 브라보, 셈카 소콜로비치-베르토크, 마이케 횔네, 야스나 잘리차, 나다 주레브스카, 에미나 무프티치, 둔야 파시치 등이 이 영화에 출연했다.

4. 1. 주연

배우역할일본어 더빙
미랴나 카라노비치에스마 할릴로비치미나가와 준코
루나 미요비치사라나가타 료코
레온 루체프펠다마츠모토 다이
케난 차티치사미르스기야마 다이
야스나 베리사비나
데얀 아치모비치쳉가
보그단 디클리치사라
에미르 하지하피즈베고비치푸슈카
에르민 브라보무하 교수
셈카 소콜로비치-베르토크펠다의 어머니
마이케 횔네야볼카
야스나 잘리차플레마
나다 주레브스카사피야 이모
에미나 무프티치바스비야
둔야 파시치밀라


4. 2. 조연

역할배우일본어 더빙
에스마 할릴로비치미르자나 카라노비치미나가와 준코
사라루나 미요비치나가타 료코
펠다레온 루체프마츠모토 다이
사미르케난 차티치스기야마 다이
사비나야스나 베리
쳉가데얀 아치모비치
푸슈카에미르 하지하피즈베고비치
무하 교수에르민 브라보
펠다의 어머니셈카 소콜로비치-베르토크
야볼카마이케 횔네
플레마야스나 잘리차
사피야 이모나다 주레브스카
바스비야에미나 무프티치
밀라둔야 파시치


5. 제작진

분야이름
감독·각본야스밀라 즈바니치
촬영크리스틴 A. 마이어
편집니키 모스벡
의상레이라 호지치
제작바바라 알버트, 다미르 이브라히모비치, 브루노 바그너
공동 제작보리스 미찰스키, 다미르 리프타리치
자막 번역후루타 유키코
자막 감수시바 요시히로
후원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사관
배급알바트로스 필름 (일본)


6. 평가 및 수상

《그르바비차》는 전쟁의 상처와 개인의 트라우마, 그리고 진실을 마주하는 용기를 다루며 국제적으로 큰 호평을 받았다. 특히, 여성의 시각에서 전쟁의 비극을 섬세하게 그려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1]

6. 1. 수상 내역

영화제상 종류결과비고
제56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황금곰상 – 최우수 작품상수상[1]
베를린 국제 영화제평화 영화상수상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수상
코소라마상최우수 작품상수상
레이캬비크 국제 영화제최우수 작품상수상
AFI 영화제내러티브 심사위원 대상수상
브뤼셀 유럽 영화제최우수 작품상 TV 캔버스상 및 여우주연상 (미르야나 카라노비치)수상
오렌세 영화제여우주연상 (미르야나 카라노비치)수상
포틀랜드 국제 영화제관객상수상
테살로니키 영화제여성 및 평등상수상
뉴욕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영화제관객상수상
사라예보 영화제이비차 마티치 상 감독상수상
선댄스 영화제심사위원 대상후보
유럽 영화상최우수 작품상 및 여우주연상후보
제55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1]금곰상, 에큐메니컬상, 평화 영화상수상
코스모라마 트론헤임 국제 영화제코스모라마상수상
브뤼셀 유럽 영화제칸바스 텔레비전 작품상, 여우주연상수상
예루살렘 영화제자유의 정신상수상
레이캬비크 국제 영화제디스커버리상수상
AFI 영화제장편 외국 영화 부문 심사위원 대상수상
테살로니키 국제 영화제여성과 평등상수상
유럽 템플턴 영화상수상


6. 2. 후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