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 교회는 초대 교회 시대부터 기독교의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관할 아래 있었다. 오스만 제국 치하에서 그리스인들의 독립 운동으로 인해 1830년 그리스 왕국이 독립하면서, 1833년 정치적 결정으로 그리스 정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로부터 독립하여 자치 교회가 되었다. 1850년에는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으며, 현재 아테네 대주교를 중심으로 하는 주교회의가 그리스 정교회의 최고 권위를 갖는다. 그리스 정교회는 헌법상 그리스의 주요 종교로, 정부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기독교 - 동방교회성
동방교회성은 과거 교황 겸임 장관 시대 차관 추기경을 두었으나, 1967년부터 장관 추기경을 임명하여 운영하며, 이 문서는 1917년부터 현재까지의 역대 차관 및 장관 추기경 목록과 정보를 제공한다. - 그리스의 동방 정교회 - 아토스산
그리스 북부 할키디키 반도 동쪽 끝에 위치한 아토스 산은 동방 정교회의 중요한 수도원 중심지이자 험준한 지형과 독특한 자연환경을 지닌 반도로, '성스러운 산'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여성 출입 금지 구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는 자치 공동체이다. - 그리스의 동방 정교회 - 크레타 정교회
크레타 정교회는 오스만 제국 말기부터 반자치 교회였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총대주교청의 관할 아래 이라클리오에 본부를 두고 여러 교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스 교회 | |
---|---|
일반 정보 | |
![]() | |
고유 명칭 | Ἐκκλησία τῆς Ἑλλάδος (Ellēnikḗ Orthódoxē Ekklēsía) |
유형 | 동방 정교회 |
방향 | 그리스 정교회 |
경전 | 칠십인역, 신약성경 |
신학 | 동방 정교회 신학, 팔라미즘 |
정치 체제 | 주교 정치 |
언어 | 그리스어 (카타레부사) |
전례 | 비잔틴 양식 |
본부 | 아테네 대성당 및 페트라키 수도원, 아테네 |
영역 | 그리스 |
창립자 | 디오니시오스 아레오파기테스 (전통) |
창립 장소 | 아카이아, 로마 제국 |
독립 | 1833년 |
승인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에서 1850년 자가 교회로 승인 (1850년 6월 29일자 토모스) |
분리 대상 | 그리스 구력주의자 |
분기 | 그리스 정교회 (1979년) |
신도수 | 1,000만 명 |
웹사이트 | 그리스 교회 공식 웹사이트 |
조직 | |
수석 | 아테네의 예로니모스 2세 |
주교 | 101명 |
사제 | 8,515명 |
수도사 | 3,541명 |
수도원 | 541개 |
역사 | |
기원 | 바울로스에 의해 설립됨 |
독립 인정 | 1850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로부터 인정받음 |
2. 역사
그리스는 초대 교회 시대부터 기독교의 중심지 가운데 하나였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구가 설정된 이후, 그리스 지역 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의 재치권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1833년 그리스 국왕 오톤의 바이에른 관료들의 정치적 결정에 따라 그리스 정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로부터 독립하여 자치 교회가 되었다. 그리스 정교회의 독립은 1850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의 승인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2]
19세기 초 그리스인들의 민족 의식이 높아지면서, 1821년 오스만 제국의 의도를 받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위로를 뿌리치고 현재 그리스 땅에서 민족 봉기가 일어났다. 1830년 그리스 왕국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하면서, 신생 그리스 왕국 내의 정교회는 아테네 대주교를 수장으로 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부터의 교회 독립을 선언했다. 1850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승인을 받아 서로 독립을 승인하는 교회의 관계가 되었다. 다만, 그리스 정교회의 수좌 주교는 총대주교가 아닌 아테네 대주교로 남아 있다.[13]
2. 1. 초기 기독교와 동로마 제국 시대
그리스는 초기 기독교의 중심지였다. 총대주교구가 형성되면서 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일부였다. 동로마 제국의 수도였던 콘스탄티노폴리스(후의 이스탄불)에 총대주교좌가 있었으며, 중심지는 현재 그리스 영토 내에 있지 않았다.2. 2. 오스만 제국 시대와 독립
그리스는 초기 기독교의 중심지였다. 총대주교구가 형성되면서 교회는 원래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일부였다. 오스만 제국 통치 하에서 무슬림은 교회에 대한 통제력을 행사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리스 왕국이 수립되면서 정부는 교회를 통제하기로 결정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대주교와 결별했다. 정부는 1833년 미성년자였던 오토 왕을 대신하여 활동한 바이에른 섭정의 정치적 결정으로 교회를 자치 교회로 선언했다. 이 결정은 왕실 당국이 통제력을 강화하면서 수십 년 동안 그리스 정치에 혼란을 야기했다. 새로운 지위는 1850년 총대주교청에 의해 마침내 인정되었으며, 특별한 "토모스" 법령을 통해 정상적인 지위로 복귀하는 타협 조건을 따랐다. 결과적으로 "모 교회"와 특정 특수 관계를 유지한다.[2]1833년 의회는 5명 미만의 수도승이나 수녀가 있는 400개의 작은 수도원을 해산했다. 이 수도원은 여러 세대에 걸쳐 그리스어와 예술, 전통을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 사제는 봉급을 받지 않았다. 시골 지역에서는 스스로 소작농이었으며 농사일과 교구민의 수수료 및 헌금에 생계를 의존했다. 그들의 교회 업무는 성사 집행, 장례식 감독, 작물 축복, 그리고 축귀에 국한되었다. 신학교에 다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1840년대에 이르러 순회 설교자들이 주도하는 전국적인 부흥이 일어났다. 정부는 여러 명을 체포하고 부흥을 막으려 했지만 부흥가들이 세 명의 주교가 직위를 매수했다고 비난하면서 너무 강력해졌다. 1880년대에 "Anaplasis"("재생") 운동은 새로운 영적 에너지와 깨달음으로 이어졌다. 이 운동은 세속적인 서유럽에서 스며든 합리주의적이고 물질주의적인 사상에 맞서 싸웠다. 이 운동은 교리 문답 학교와 성경 연구 모임을 장려했다.[4]
2. 3. 근현대
그리스는 초기 기독교의 중심지였다. 총대주교구가 형성되면서 교회는 원래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일부였다. 오스만 제국 통치 하에서 무슬림은 교회에 대한 통제력을 행사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리스 왕국이 수립되면서 정부는 교회를 통제하기로 결정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대주교와 결별했다. 정부는 1833년 미성년자였던 오토 왕을 대신하여 활동한 바이에른 섭정의 정치적 결정으로 교회를 자치 교회로 선언했다.[2] 이 결정은 왕실 당국이 통제력을 강화하면서 수십 년 동안 그리스 정치에 혼란을 야기했다. 새로운 지위는 1850년 총대주교청에 의해 마침내 인정되었으며, 특별한 "토모스" 법령을 통해 정상적인 지위로 복귀하는 타협 조건을 따랐다. 결과적으로 "모 교회"와 특정 특수 관계를 유지한다.[2]1833년 의회는 5명 미만의 수도승이나 수녀가 있는 400개의 작은 수도원을 해산했다. 이 수도원은 여러 세대에 걸쳐 그리스어와 예술, 전통을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 사제는 봉급을 받지 않았다. 시골 지역에서는 스스로 소작농이었으며 농사일과 교구민의 수수료 및 헌금에 생계를 의존했다. 그들의 교회 업무는 성사 집행, 장례식 감독, 작물 축복, 그리고 축귀에 국한되었다. 신학교에 다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1840년대에 이르러 순회 설교자들이 주도하는 전국적인 부흥이 일어났다. 정부는 여러 명을 체포하고 부흥을 막으려 했지만 부흥가들이 세 명의 주교가 직위를 매수했다고 비난하면서 너무 강력해졌다. 1880년대에 "Anaplasis"("재생") 운동은 새로운 영적 에너지와 깨달음으로 이어졌다. 이 운동은 세속적인 서유럽에서 스며든 합리주의적이고 물질주의적인 사상에 맞서 싸웠다. 이 운동은 교리 문답 학교와 성경 연구 모임을 장려했다.[4]
3. 교계제도
그리스 정교회에서 법적인 최고 권위는 아테네 대주교를 중심으로 수도 대주교의 직함을 가진 교구장 주교 전체가 모인 주교회의(Ἱερὰ Σύνοδος τῆς Ἐκκλησίας τῆς Ἑλλάδος|Hierà Sýnodos tês Ekklēsías tês Helládosel)이다.[13] 주교회의는 교회의 쟁점이나 논의 등을 처리하는 기구이다. 상임 시노드라는 기구도 있는데, 역시 관구 대주교를 의장으로 하여 12명의 주교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교회의 재치권과 관련한 세세한 문제를 처리한다.[13]
그리스 정교회는 발칸 전쟁 이후 그리스 영토로 편입된 '새 땅'이라고 불리는 그리스 북부와 에게 해 북동쪽 주요 섬들에 소재한 36개 교구를 포함하여 총 81개의 교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 36개 교구는 표면상 및 영적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재치권 아래에 있지만, 독특하게도 자체적으로 신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를 지명할 수 있는 특별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13] 반면, 크레타 대교구, 도데카니사 제도, 아토스산은 그리스 정교회 소속이 아닌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소속이다.[13]
3. 1. 교구 구성
그리스 정교회는 총 81개의 교구로 구성되어 있다.[13] 이 가운데 36개 교구는 그리스 북부와 에게 해 북동쪽 주요 섬들에 위치하며, 표면상 및 영적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재치권 아래 있다.[13] 이들 교구는 발칸 전쟁 이후 그리스 영토로 편입되어 '새 땅'이라고 불리며, 이 지역 주교들은 상임 시노드를 구성하는 12명의 주교 가운데 6명을 차지한다.[13] 이들 주교는 자체적으로 신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를 지명할 수 있는 특별한 권한을 가지며, 선거를 통해 '새 땅'의 주교들 가운데 한 명을 새로운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로 선출하여 비준한다.[13]크레타 대교구, 도데카니사 제도, 아토스산은 그리스 정교회 소속이 아닌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소속이다.[13] 크레타 대교구는 반(半)자치적 지위를 갖고 있어, 주교는 지역 시노드에서 선출하고, 대주교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가 그리스 교육종교문화체육부에서 제시한 세 명의 인물 가운데 한 명을 선택하여 임명한다.[13]

3. 2. 성직자와 수도자
다른 모든 동방 정교회와 마찬가지로 그리스 정교회는 그리스 정부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아 신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신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보제로 서품되고 최종적으로 사제로 서품된다. 보제품을 받기 전에 혼인을 하는 것은 허용되지만, 보제품을 받은 후부터는 혼인할 수 없다. 그리스 정교회의 본당 사제 대부분은 기혼 사제이다. 성직자 대신에 수도 생활을 택하여 수사가 되는 경우도 있다. 신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사제로 서품된 수사들은 주교품 또는 대수도사제 예비 후보자 자격을 갖게 된다. 여성들 또한 수도 서원을 하여 수녀가 될 수 있지만, 사제품을 받지는 못한다.각 수도원은 해당 수도원이 소재하는 지역 교구나 정교회 총대주교들 가운데 한 명에게 소속되는데, 후자의 경우에는 특별히 직속(Stayropēgiaká) 수도원이라고 부른다.
4. 전례와 신앙
그리스 정교회는 정교회의 독립 정교회 중 하나로, 사도에 의해 창시되었다.[13] 1833년 독립 교회로 선언되었고, 1850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에 의해 승인되었다.[13] 현재 수좌 주교는 이에로니모스 2세이며, 아테네에 대주교청을 두고 주로 그리스를 관할한다.[13] 크레타 섬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관할 하에 있다.[13]
그리스 정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한 교구가 아니라 완전한 독립 정교회이며, 이는 서방 교회와의 관계[15]나 북부 그리스 교구의 관할 문제[16] 등에서 견해 차이가 나타나기도 한다.
항목 | 내용 |
---|---|
창시자 | 사도 |
독립 교회의 선언 | 1833년 |
총대주교청 및 타 교회의 승인 | 1850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에 의해) |
현재의 수좌 주교 | 이에로니모스 2세 |
대주교청 소재지 | 아테네 (그리스) |
주요 관할 | 그리스 |
전례 언어 | 그리스어 |
성가 전통 | 비잔틴 성가 |
달력 | 수정 율리우스력 |
추정 신도 수 | 10,000,000명 |
공식 페이지 | 그리스 정교회 공식 사이트(그리스어・영어) |
4. 1. 전례력
1924년 그리스 정교회의 시노드에서 부활절과 고정된 몇몇 축일의 기념을 위해 옛 교회력 대신에 그레고리오력의 방식을 일부 채용한 율리우스력의 개정판을 도입하기로 결의하자 교회 안에 거센 반발과 함께 분열이 일어났다. 이때 그리스 정교회의 지체에서 갈라져 나온 이들은 옛 율리우스력을 오늘날까지도 그대로 따르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이들을 ‘옛 전례력주의자들’(palaioimerologites)이라고 부른다. 옛 전례력주의자들도 하나의 교회를 이루지 못하고 몇 차례 분열을 겪었다. 이 가운데 가장 큰 조직은 흐리소스토모스 2세 키오우시스 대주교를 중심으로 한 조직으로서 스스로 ‘참 정교회’라고 칭하고 있다. 이들은 그리스 정교회나 기타 다른 동방 정교회와 일치를 이루고 있지는 않지만, 그리스 정부로부터 합법적인 정교회 단체로 공식적인 인정을 받았다.[13]4. 2. 성가
비잔틴 성가는 그리스 정교회의 성가이다.[13]4. 3. 신학적 특징
그리스 정교회는 다른 정교회와 마찬가지로 정교회의 성사(성례)를 모두 유효하다고 인정한다. "루마니아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 등은 조직명일 뿐이며, "러시아 정교를 신앙한다"는 식의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15]5. 현대 그리스 사회와 정교회
그리스 독립 전쟁 기간 중 제정된 1822년 에피다우로스 법은 현대 그리스 헌법의 초기 형태로, 동방 정교회를 그리스 민족 정체성의 주요 요소로 명시하고 있다. 모든 그리스 헌법 서문은 "거룩하시고, 동일한 본질을 지니심과 더불어 서로 분리될 수 없으신 삼위일체의 이름 아래"라는 문구로 시작하며, 그리스도의 동방 정교회가 그리스의 주요 종교임을 밝히고 있다.
주류 정교회 성직자들은 교사와 비슷한 수준으로 국가에서 봉급과 연금을 받는다. 과거에는 교회가 수입의 35%를 세금으로 냈지만, 2004년 법 3220/2004에 의해 폐지되었다. 교회법은 교회 행정과 관련된 문제에서 그리스 정부에 의해 인정되며, 이는 국회에서 통과된 "그리스 교회 헌법"에 의해 관리된다. 종교 결혼과 세례는 법적으로 민간 결혼 및 세례와 동등하며, 관련 증명서는 집전 성직자가 발행한다.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모든 그리스 정교회 학생들은 종교 교육을 받는다. 교회와 국가 간의 관계는 교육종교문화체육부에서 담당한다.[13]
5. 1. 헌법상 지위
그리스 독립 전쟁 기간 중에 제정된 1822년 에피다우로스 법은 현대 그리스 헌법의 초기 형태로, 그리스인들의 동방 정교회에 대한 확고한 충성을 보여준다. 이 헌법은 그리스 민족의 독자성을 증거하는 가장 대표적인 특징으로 동방 정교회를 기술하고 있다. 뒤이어 제정된 모든 그리스 헌법의 서문은 “거룩하시고, 동일한 본질을 지니심과 더불어 서로 분리될 수 없으신 삼위일체의 이름 아래”라는 문구로 시작하며, 그리스도의 동방 정교회는 그리스의 주요 종교로 확립되어 있다는 내용을 명시하고 있다.그리스 정교회 성직자들은 정부로부터 교사들과 거의 비슷한 수준의 봉급과 연금을 지급받았다. 교회는 기본 수입의 35%를 세금으로 국가에 냈지만, 2004년에 3220/2004법으로 이 세금은 폐지되었다. 그리스 정교회는 국내에서 사실상 국교로서의 지위를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 교회 행정과 관련된 사안에 있어서 그리스 정부로부터 교회법을 인정받는다. 그리스 헌법에서 이와 관련된 조항은 ‘그리스 교회법’이라고 불린다. 그리스 정교회에서의 세례와 혼인은 법적 효력을 지니며, 관련 증명 서류들은 해당 성무를 집전한 사제가 발행한다. 그리스의 모든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의 학생들은 종교 교육을 받고 있다. 교회와 국가 간의 문제를 다루는 그리스 정부 부처는 교육종교문화체육부에서 담당하고 있다.

5. 2. 정부와의 관계
그리스 독립 전쟁 기간 중 제정된 1822년 에피다우로스 법을 시작으로 현대 그리스 헌법은 동방 정교회를 그리스 민족 정체성의 주요 요소로 명시하고 있다. 모든 그리스 헌법 서문은 "거룩하시고, 동일한 본질을 지니심과 더불어 서로 분리될 수 없으신 삼위일체의 이름 아래"라는 문구로 시작하며, 그리스도의 동방 정교회가 그리스의 주요 종교임을 밝히고 있다.주류 정교회 성직자들은 교사와 비슷한 수준으로 국가에서 봉급과 연금을 받는다. 과거에는 교회가 수입의 35%를 세금으로 냈지만, 2004년 법 3220/2004에 의해 폐지되었다. 교회법은 교회 행정과 관련된 문제에서 그리스 정부에 의해 인정되며, 이는 국회에서 통과된 "그리스 교회 헌법"에 의해 관리된다. 종교 결혼과 세례는 법적으로 민간 결혼 및 세례와 동등하며, 관련 증명서는 집전 성직자가 발행한다.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모든 그리스 정교회 학생들은 종교 교육을 받는다. 교회와 국가 간의 관계는 교육종교문화체육부에서 담당한다.[13]
5. 3. 사회적 역할
그리스 독립 전쟁 중 1822년 최초의 근대 그리스 헌법인 "1822년 에피다우로스 법"에서 동방 정교회를 따르는 것이 그리스 민족 정체성의 결정적인 특징으로 확립되었다. 모든 후속 그리스 헌법의 전문은 "거룩하고, 동질적이며, 불가분적인 삼위일체의 이름으로"라고 명시하고 있으며, ''그리스도의 정교회''는 그리스의 "우세한" 종교로 확립되었다.[13]주류 정교회 성직자 봉급과 연금은 교사의 급여와 비슷한 수준으로 국가에서 지급된다. 교회는 이전에는 교회의 일반 수입의 35%를 세금으로 국가에 보상했지만, 2004년 ''법 3220/2004''에 의해 이 세금이 폐지되었다. 우세한 종교로서의 지위에 따라 교회의 교회법은 교회 행정과 관련된 문제에서 그리스 정부에 의해 인정된다. 이는 국회에서 법으로 통과된 "그리스 교회 헌법"에 의해 관리된다. 종교 결혼과 세례는 법적으로 민간 결혼 및 세례와 동등하며 관련 증명서는 집전하는 성직자가 발행한다. 그리스의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모든 그리스 정교회 학생들은 종교 교육을 받는다. 교회와 국가 간의 연락은 국민 교육 종교부에서 처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Church of Greece
https://www.oikoumen[...]
World Council of Churches
2017-10-14
[2]
서적
Christianity in a Revolutionary Age, II: The Nineteenth Century in Europe: The Protestant and Churches.
1959
[3]
웹사이트
Monasteries
http://www.visitgree[...]
[4]
서적
Christianity in a Revolutionary Age
1959
[5]
논문
The "Zoë Movement in Greece," St. Vladimir's Seminary Quarterly
http://intraweb.stoc[...]
1959
[6]
서적
Christianity in a Revolutionary Age
1961
[7]
문서
The ROC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Ecumenical Patriarchate in 2018, and later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primates of the Church of Greece, the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the Church of Cyprus in 2020.
[8]
문서
Autocephaly or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9]
문서
Semi-autonomous part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hose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10]
문서
UOC-MP was moved to formally cut ties with the ROC as of May 27th 2022.
[11]
서적
詳説 世界史B
山川出版社
2003-03-05
[12]
웹사이트
OCA - Q&A - Greek Orthodox and Russian Orthodox
http://oca.org/quest[...]
[13]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Wiley-Blackwell
2001-12-05
[14]
웹사이트
Other Jurisdictions affiliated with the Ecumenical Patriarchate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merica
http://www.goarch.or[...]
[15]
뉴스
Orthodox patriarch hits at "unacceptable" attacks on ecumenism
http://www.eni.ch/fe[...]
eni.ch
2012-04-04
[16]
웹사이트
Patriarchal Letter to the Orthodox Churches about the Dioceses of the Ecumenical Patriarchate in the Nothern Greece and the islands of the Egean Sea (09/05/2004)
http://www.orthodoxa[...]
2004-05-09
[17]
뉴스
ギリシャ正教会トップの大主教、69歳で死去
http://www.cnn.co.jp[...]
CNN・日本語
[18]
뉴스
Greek Orthodox bishops elect leader
http://www.cnn.com/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