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린란드의 아틀리 노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린란드의 아틀리 노래는 《왕의 서》에 수록된 시로, 아틀리가 처남인 군나르와 호그니를 죽이려는 음모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구드룬은 음모를 알고 형제들에게 경고하지만, 아틀리의 배신으로 형제들은 죽음을 맞이한다. 구드룬은 복수를 위해 아틀리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을 죽여 아틀리에게 먹이고, 호그니의 아들 흐니플룽그의 도움을 받아 아틀리를 살해한다. 시는 구드룬과 아틀리의 대화로 마무리되며, 시의 기원과 관련하여 그린란드 기원설이 제기되지만, 학계에서는 논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다 - 고 에다
    고 에다는 북유럽 신화와 영웅 전설을 담은 고대 노르드어 시가 모음집으로,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에다》와 구별되며, 13세기 《왕의 사본》에 기록되어 신화시와 영웅시를 포함한 다양한 시가들로 구성되어 스칸디나비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에다 -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은 《고 에다》에 수록된 서사시로, 오딘이 요툰 바프스루드니르와 지혜를 겨루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지혜, 권력, 운명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그린란드의 아틀리 노래
아틀라말 인 그뢴렌즈쿠
다른 제목그린란드의 아틀리의 노래
유형영웅시
부분고 에다
언어고대 노르드어

2. 서사시 줄거리

아틀리는 처남들인 규키의 아들 군나르호그니를 죽일 음모를 꾸미고, 전령을 보내 자신의 저택으로 초대한다. 구드룬은 음모를 알아채고 형제들에게 룬 문자로 경고하지만, 전령 빈기(Vingi)에 의해 내용이 훼손된다. 호그니의 아내 코스트베라와 군나르의 아내 글라움보르는 악몽을 통해 불길한 징조를 감지하지만, 군나르와 호그니는 운명을 받아들이고 세 명의 동행자와 함께 아틀리를 찾아간다.

아틀리의 문 앞에서 빈기는 자신의 배신을 고백하고 죽임을 당한다. 아틀리는 군대를 동원하여 형제들을 공격하고, 구드룬은 형제들 편에 선다. 격렬한 전투 끝에 군나르와 호그니는 제압당하고 처형된다. 호그니는 웃으면서, 군나르는 발가락으로 수금을 연주하면서 죽는다.

구드룬은 복수를 위해 아틀리와의 사이에서 낳은 두 아들을 죽이고, 아틀리에게 아들들의 머리뼈로 만든 술잔과 구운 염통을 먹게 한다. 이후 구드룬은 호그니의 아들 흐니플룽그(Hniflungr)의 도움을 받아 아틀리를 죽인다.

구드룬은 시구르드와 함께 했던 과거를 회상하고, 아틀리는 구드룬에게 청혼했던 일과 그녀가 만족하지 못했던 결혼 생활을 이야기한다. 아틀리는 구드룬에게 명예로운 장례를 부탁하고, 구드룬은 이를 수락한다. 이후 구드룬은 자살을 시도하고 쓰러진다. 시는 규키의 자식들과 같은 자식을 낳은 자는 복된 자라는 말로 끝을 맺는다.[49]

2. 1. 아틀리의 초청과 형제들의 출발

아틀리는 자신의 처남들인 규키의 아들 군나르호그니를 죽일 음모를 꾸미고, 전령을 보내 자기 저택으로 초대한다.[27] 규키의 딸이자 아틀리의 아내인 구드룬은 음모를 알아차리고[28] 형제들에게 룬 문자로 전갈을 보내지만, 전갈 내용이 전령 빈기(Vingi)에 의해 훼손된다.[29]

호그니의 아내 코스트베라는 룬에서 무언가 잘못되었음을 알아차리고 호그니에게 경고한다.[30] 호그니는 그녀의 두려움을 무시하지만 코스트베라는 간밤의 끔찍한 악몽을 묘사하며 경고의 징조로 해석한다.[31]

군나르의 아내 글라움보르 역시 악몽을 꾸었고, 남편에게 그 꿈 이야기를 한다. 군나르 역시 그 꿈이 중요하지 않음을 설명하려 한다.[32] 군나르는 자신들의 목숨이 얼마 남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인정하지만, 운명을 벗어날 길은 없다고 글라움보르에게 말한다.[33]

두 형제는 단 세 명의 동행자를 거느리고 아틀리를 찾아간다.[34] 여자들은 피오르드까지 형제를 따라간다. 글라움보르는 빈기에게 손님의 존엄함을 상기시키고, 빈기는 속임수가 없다고 맹세한다.[35] 코스트베라와 호그니는 작별 인사를 하고, 사내들은 멀어져 간다.[36]

2. 2. 아틀리의 배신과 형제들의 죽음

아틀리의 문 앞에 도착한 형제들은 빈기의 배신을 알게 되고, 빈기를 죽인다.[37] 아틀리는 군대를 동원하여 형제들을 공격하고, 싸움은 몇 시간 동안 계속된다. 구드룬은 보석을 내던지며 형제들 편에 서서 싸움에 참여한다.[38] 아틀리의 전사 열여덟 명을 쓰러뜨린 뒤에야 마침내 규키의 아들들은 제압된다.[39] 아틀리는 아내 구드룬을 비난하고[40] 군나르호그니의 처형을 명령한다.[41] 아틀리의 요리사 햘리가 등장하는 희극적인 이야기가 지나간 뒤,[42] 아틀리는 두 형제를 처형한다. 호그니는 웃으면서, 군나르는 발가락으로 수금을 연주하면서 죽음을 맞는다.[43]

2. 3. 구드룬의 복수

구드룬은 아틀리와의 사이에서 낳은 두 아들을 죽이고, 아틀리가 모르게 아들들의 머리뼈로 만든 술잔을 사용하게 하고 구운 염통을 먹게 한다.[45] 이후 구드룬은 호그니의 아들 흐니플룽그(Hniflungr)의 도움을 받아 아틀리를 죽인다. 시의 마지막 부분은 구드룬과 아틀리의 대화로 이루어져 있다. 구드룬은 시구르드와 자기 형제들과 함께 약탈을 나가던 영광스러운 과거를 회상한다. 아틀리는 자신이 구드룬에게 청혼했던 일과, 그 모든 부에도 불구하고 구드룬이 결혼 생활에 만족한 적이 없음을 상기시킨다.[46] 아틀리는 구드룬에게 자신을 명예롭게 묻어 달라고 부탁하고, 구드룬은 그러겠다고 답한다.[47] 그리고 구드룬은 자살을 시도하고 쓰러진다.[48]

2. 4. 구드룬과 아틀리의 대화

구드룬은 시구르드와 자기 형제들과 함께 약탈을 나가던 영광스러운 과거를 회상한다.[46] 아틀리는 구드룬에게 청혼했던 일과, 그 모든 부에도 불구하고 구드룬이 결혼 생활에 만족한 적이 없음을 상기시킨다.[46] 아틀리는 구드룬에게 자신을 명예롭게 묻어 달라고 부탁하고, 구드룬은 그러겠다고 답한다.[47]

3. 시의 기원과 배경

〈그린란드의 아틀리 노래〉와 〈아틀리의 서사시〉는 모두 《왕의 서》에서 ‘그린란드의’ 시가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아틀리의 서사시〉가 노르드인그린란드 식민지 건설 이전에 지어졌다고 판단하여 그린란드 유래설을 부정한다.[50] 반면, 〈그린란드의 아틀리 노래〉는 그린란드에서 지어진 작품들과 연대가 일치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시 자체의 일부 요소, 예를 들어 코스트베라의 불길한 꿈에 나타난 북극곰에 대한 사실적인 묘사는 그린란드를 연상시킨다. 시의 음울한 분위기와 족장들의 상대적으로 누추한 상황 역시 그린란드 문화에서 기원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51]

3. 1. 그린란드 기원설

〈아틀리의 노래〉와 〈아틀리의 서사시〉는 모두 《왕의 서》에서 '그린란드의' 시가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아틀리의 서사시〉가 노르드인그린란드 식민지 건설 이전에 지어졌다고 판단하여 그린란드 유래설을 부정한다.[50] 그러나 〈아틀리의 노래〉는 그린란드에서 지어진 작품들과 연대가 일치하며, 시 자체의 일부 요소(예: 코스트베라의 꿈에서 북극곰에 대한 사실적인 묘사)가 그린란드를 연상시킨다. 시의 음울한 분위기와 족장들의 누추한 상황(예: 니플룽 일족의 신하가 10명뿐인 점)도 그린란드 기원설을 뒷받침한다.[51]

3. 2. 그린란드 기원설에 대한 반론

대부분의 학자들은 〈아틀리의 서사시〉가 노르드인그린란드 식민지 건설 이전에 지어진 것이라고 판단하여, 해당 시의 그린란드 기원설을 부정하고 있다.[50][25] 하지만 〈그린란드의 아틀리 노래〉는 그린란드에서 지어진 작품들과 연대가 일치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시 자체의 일부 요소가 그린란드를 연상시키고 있는데, 예컨대 코스트베라의 불길한 꿈에서는 북극곰을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시의 음울한 분위기 역시 그린란드 정착지에 대해 알려져 있는 것과 일치한다. 시에 등장하는 족장들의 상대적으로 누추한 상황(예컨대 니플룽 일족은 신하가 오직 열 명 뿐이다)은 이 시가 그린란드 문화에 그 유래를 두고 있다는 가설에 힘을 실어 주고 있다.[51][26]

참조

[1] 서적 The Meters of Old Norse Eddic Poetry: Common Germanic Inheritance and North Germanic Innovation 2014
[2] 기타 Stanza 2. All stanza numbers refer to Dronke's edition. See Dronke 1969:77-98.
[3] 기타 Stanza 3.
[4] 기타 Stanza 4.
[5] 기타 Stanzas 9-12.
[6] 기타 Stanzas 14-19.
[7] 기타 Stanzas 20-25.
[8] 기타 Stanza 26.
[9] 기타 Stanzas 27-29.
[10] 기타 Stanzas 29-31.
[11] 기타 Stanzas 33-35.
[12] 기타 Stanzas 36-39.
[13] 기타 Stanzas 40-50.
[14] 기타 Stanza 50-51.
[15] 기타 Stanzas 52-55.
[16] 기타 Stanza 56.
[17] 기타 Stanzas 58-61.
[18] 기타 Stanzas 62-64.
[19] 기타 Stanzas 65-73.
[20] 기타 Stanzas 74-81.
[21] 기타 Stanzas 85-99.
[22] 기타 Stanzas 100-101.
[23] 기타 Stanza 102.
[24] 기타 Stanza 103.
[25] 서적 Dronke 1969
[26] 서적 Dronke 1969
[27] 기타 Stanza 2. All stanza numbers refer to Dronke's edition. See Dronke 1969:77-98.
[28] 기타 Stanza 3.
[29] 기타 Stanza 4.
[30] 기타 Stanzas 9-12.
[31] 기타 Stanzas 14-19.
[32] 기타 Stanzas 20-25.
[33] 기타 Stanza 26.
[34] 기타 Stanzas 27-29.
[35] 기타 Stanzas 29-31.
[36] 기타 Stanzas 33-35
[37] 기타 Stanzas 36-39
[38] 기타 Stanzas 40-50
[39] 기타 Stanza 50-51
[40] 기타 Stanzas 52-55
[41] 기타 Stanza 56
[42] 기타 Stanzas 58-61
[43] 기타 Stanzas 62-64
[44] 기타 Stanzas 65-73
[45] 기타 Stanzas 74-81
[46] 기타 Stanzas 85-99
[47] 기타 Stanzas 100-101
[48] 기타 Stanza 102
[49] 기타 Stanza 103
[50] 기타 Dronke 1969:45
[51] 기타 Dronke 1969:1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